고종의 손자 모모야마 켄이치는 왜 한국 국적을 버렸나요?
고종의 손자였지만 다른 손자들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고 국가에 대한 정체성을 가졌던 것과 달리 모모야마 켄이치는 왜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완전히 일본인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09년에 대한제국인으로 태어났다가 1910년에 일본인이 되고 1945년 종전으로 반 무국적 상태에 놓였다가 1952년에 일본 국적이 박탈되었다가 1955년에 일본인으로 완전 귀화하였다고 합니다. 결론은 조선 왕실 출신의 조선계 일본인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모야마 켄이치는 대한제국의 왕족으로 태어나 일본 육군에 복무하고 일본으로 귀화한 인물입니다. 본명은 이건(李鍵)으로, 고종의 손자이자 의친왕의 장남이었습니다1. 1931년 마쓰다이라 유타카의 장녀 요시코와 결혼하였으며, 1947년 모모야마 겐이치로 개명하고 1955년 일본에 귀화하였습니다.
이건이 일본인으로 귀화한 배경에 대해서는 아버지 의친왕의 미움이 컸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이건의 이복 여동생 이해경 여사의 <나의 아버지 의친왕>에 의하면 의친왕은 둘째 이우는 총애했는데 큰아들 이건은 유독 싫어했다고 합니다. 술을 마시고 취하면 이건에게 일본으로 가서 살라고 화를 내곤했다고 합니다. 또한 이건이 이우와 다르게 일본의 식민지배를 순종적인 태도도 해방 이후 귀화의 요인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종의 손자 모모야마 켄이치는 국적이 복잡한데 1909년에 대한제국에서 태어났으나
1910년 경술국치로 일본국적이 되었고,.
1945년 종전으로 반 무국적 상태에 놓였다가
1952년에 최종적으로 일본 국적을 취득 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모야마 켄이치는 대한민국인이라는 것에 대한
정체성이 없는 등 하였기에 그런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의친왕의 5녀이며 이건의 이복 여동생인 이해경 여사가 집필한 《나의 아버지 의친왕》에 기록된 이해원의 증언에 의하면, 의친왕과 이건 부자는 원만한 사이가 아니었다. 어째서인지 의친왕은 아들들이 어릴 때부터 둘째아들 이우는 무척 총애하면서 큰아들 이건을 노골적으로 미워해서, 술을 마시고 취하면 이건에게 일본으로 가서 살라고 화를 내곤 했다고 합니다. 이우가 방학 때 일본에서 돌아오면 직접 서울역으로 마중나갔지만, 이건이 돌아오는 날에는 일부러 외출하며 이건을 피하곤 했다. 어느날 이건이 일본에서 돌아왔는데 또 의친왕이 일부러 집을 비웠다고 합니다. 이것을 알고 참다 못한 이건이 웃통을 벗어부친 채 마당에서 장대비를 맞으며 울부짖는 것을 이해원 여사가 목격한 적도 있다ㄱ 합니다. 이건이 이우와 다르게 일본의 식민 지배에 순종적인 태도를 취하고 해방 후 아예 일본에 귀화한 데는, 아버지 의친왕의 미스터리한 미움과 구박이 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