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1.11.22

참새는 전깃줄에 감전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전기줄에 새들이 많이 앉아있는걸 볼 수있는데요

전기가 고압고전류 인데 참새는 전깃줄에 감전안되나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초록가젤281입니다.

    '감전(感電·electric shock)'은 몸에 전류가 흘러 전기적 충격을 주는 현상입니다. 전류가 몸에 흐르기 위해서는 전위차가 있어야 합니다. 전위차가 '0'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이 말은 참새(날짐승)와 전선의 전위차가 '0'이라는 의미입니다.

    고압선에 참새가 앉으면 참새의 발과 전선은 서로 병렬연결 됩니다. 이 때 두발과 전선 사이의 저항이 0이 돼 전위차도 0이 됩니다. 병렬회로에서 따로 나누어진 회로들은 전위차가 모두 같기 때문에 참새와 전선 사이의 전위차도 0이 되는 원리입니다. 전위차는 물의 수위 개념과 같습니다. 수위가 같으면 물은 어느 한쪽으로 흐르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전위차가 같으면 저항값이 적은 쪽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병렬연결된 회로는 저항값이 큰쪽보다 적은 쪽으로 전류가 더 많이 흐르는데 참새의 저항값과 전선의 저항값 중 참새의 저항값이 더 큽니다. 인체나 동물의 저항값이 전선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더 쉽게 이야기하면, 전위차가 수위라면 저항값은 물길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물길이 있는데 물이 흐르기 쉬운 곳과 흐르기 어려운 곳 중 물은 어느 곳으로 흐를까요? 자연의 이치는 힘든 곳과 편한 곳 중에 늘 편한 곳으로 흐르려고 합니다. 전기의 입장에서는 갑자기 생긴 장애물인 참새를 향해 흐르기보다 잘 흐르도록 길이 잘 닦인 전선으로 흐르는 것이 당연한 것입니다.


  • 참새가 고압전기줄에 앉아있는 모습을 자주 목격하실겁니다.

    하지만 전기란 음극과 양극이 만나야 전기가 통하고 감전이 됩니다. 대부분의 고압전기선들은 이격이 되어 있기에 새들이 다리가 아무리 길어도 걸칠수없으므로 감전이 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주씨먹는하마입니다.

    참새가 하나의 거대한 저항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전기는 저항이 큰 쪽으로는 흐르지 않기 때문에

    참새는 감전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재빵야빵야입니다.

    그 이유는 참새가 숏다리라 그렇습니다

    전기는 +극 -극이 있잖습니까?

    전선줄을 자세히 보면 +극전기줄 -극전기줄 따로 잇습니다

    따로 있는 이유는 같이 있으면 전기는 열 발산을 하게 되죠?

    그러면서 전선줄에 불이 납니다

    그래서 따로 놓는데요

    전기가 감전 될려면 +극과 -극이 다 있어야 하지만 참새는 지극히 숏다리라 뭐 닳기야 하겠지만

    어떤 참새는 -극에 있는 전선줄만 있을수 밖에 없게 되고 다른 참새는 +극에만 있게 되어 감전이 되지 않

    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