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에 녹지 않는 물질인데 수용해도가 나올 수 있는건가요?
한 물질에 대해 찾아보니 물에 녹지 않는 공유 결합 물질인데 이 물질의 용해도 물에서 17mg/L라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 두 개념이 분리된 개념인지 어떤 이유로 인해 이렇게 나올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물에 "녹지 않는다"고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물질도 사실은 대부분 물에 아주 조금이라도 용해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불용성' 또는 '낮은 용해도'를 가진 것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완전히 용해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공유 결합 물질이 물에 용해도가 17 mg/L라는 것은 그 물질이 물 1리터당 최대 17 mg까지 용해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런 수치는 일상적 사용에서는 거의 용해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화학적으로는 그 물질이 완전히 불용성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물에 녹지 않는 물질이라도 일부 용해도 값을 가질 수 있는 이유는 물리화학적 개념을 이해하는 데 있습니다. 용해도와 물에 녹지 않는다는 개념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물에 녹지 않는다는 의미"물에 녹지 않는다"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해당 물질이 물에 거의 녹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물과 혼합했을 때 매우 소량만이 물에 용해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실험적 측정에서는 완전히 녹지 않는 물질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용해도 (Solubility)용해도는 특정 온도에서 특정 용매에 물질이 어느 정도까지 녹을 수 있는 양을 나타냅니다. 용해도는 보통 mg/L 또는 g/L로 표현됩니다. 예를 들어, 물에 대한 용해도가 17 mg/L인 물질은 1리터의 물에 17밀리그램까지 녹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물에 녹지 않는 물질의 용해도비록 "물에 녹지 않는" 것으로 분류된 물질이라도, 과학적으로는 물에 소량이라도 녹을 수 있습니다. 이는 물과 물질 간의 약한 상호작용 때문입니다. 물질이 물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더라도, 분자의 일부분이 물 분자와 약한 인력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극히 미미하지만, 그 결과 일부 용해도 값을 갖게 됩니다.
예시벤젠: 벤젠은 비극성 물질로, 물에 거의 녹지 않습니다. 그러나 벤젠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약 1.79 mg/L입니다.
헥세인: 헥세인 역시 비극성 물질로 물에 거의 녹지 않지만, 용해도는 약 9.5 mg/L입니다.
분자 간 인력: 물 분자와 비극성 물질 간에도 극히 약한 인력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수성 물질이 물에 아주 미량 용해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열역학적 균형: 용해도는 물질이 용매에 녹는 양과 녹지 않고 남아 있는 양 사이의 평형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 평형 상태에서 물에 아주 소량의 물질이 용해될 수 있습니다.
실험적 측정 한계: 실험에서 측정되는 용해도 값은 매우 낮을 수 있지만, 완전히 0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물에 녹지 않는다"는 표현은 일상적인 용어로는 용해도가 매우 낮다는 의미입니다. 과학적으로는 이러한 물질들도 일정한 용해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분자 간 약한 상호작용과 열역학적 평형 상태에 의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1리터의 물에 17 mg/L가 녹을 수 있다는 용해도 값은 매우 낮은 농도이지만, 물리화학적으로 가능한 현상입니다.
공유 결합 물질이 물에 잘 녹지 않습니다. 그래도 일부 소량은 물에 녹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물 분자는 극성을 띠지만 비극성 물질이라도 극히 미약한 분산력과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녹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비극성 분자가 매우 낮은 농도로 분산이 될수 있습니다.
결국 물에 녹지 않는 다는 것은 극히 미세한 량이 물에 녹는다는 것이고 대부분은 녹지 않고 분리 된다는 이야기 입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