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뽀로로
뽀로로
23.02.18

달걀을 식초에 담궈놓으면 탱탱볼처럼 말랑해지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날달걀을 식초에 담궈놓으면 딱딱한 껍질이 사라지고 탱탱볼처럼 말랑해진다는 실험 영상을 보았습니다.

식초와 달걀이 어떤 반응을 일으켜서 그렇게 되는건지 과학적인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걀은 주로 칼슘 탄산염으로 이루어진 단단한 알갱이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두꺼운 탄산칼슘 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식초는 아세트산이 농축된 물로, 산성 용액입니다. 식초에 달걀을 담그면 아세트산이 달걀의 탄산칼슘 막을 녹여내고, 이어서 내부의 단단한 알갱이를 녹여냅니다. 이 과정에서, 녹아내린 알갱이와 막이 식초 속으로 녹아들어가게 됩니다.

    단단한 알갱이와 막이 녹아내려 식초 속으로 녹아들어가면서, 달걀은 식초 안에서 산성 용액과 맞닿아 있게 됩니다. 이 산성 용액은 달걀 속의 단백질을 녹여냅니다. 이 과정에서, 달걀 속의 단백질이 응고하여 고체가 되면서, 이를 둘러싸고 있던 막을 가지런히 집어넣습니다. 이렇게 막이 달걀 내부로 끌려들어가면서, 달걀은 식초 안에서 공처럼 탄력있는 부드러운 물체가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식초는 아세트산이라는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세트산은 약한 산으로서, 달걀껍질과 같은 칼슘 카보네이트로 된 물질과 반응할 때 이온 교환이 일어납니다. 이온 교환은 달걀껍질의 칼슘이온(Ca2+)이 아세트산의 수소이온(H+)과 교환되는 화학 반응입니다. 이 과정에서 아세트산은 칼슘 카보네이트를 녹여서 이온으로 만듭니다. 이렇게 되면 껍질은 탱탱하던 구조에서 물이 들어가면서 말랑하게 변하는 것입니다.

    즉, 식초에 담그면 달걀껍질의 칼슘 카보네이트가 아세트산과 반응하여 녹고 이온으로 바뀌어서 껍질이 말랑하게 변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성용액은 탄산칼슘을 잘 녹이는 성질이 있습니다. 달걀의 딱딱한 껍질 부분에 약 97%가 탄산칼슘으로 이우러져 있는데, 식초에 들어있는 아세트산에 반응하여 녹게 됩니다. 그러고 나면 질문에서 처럼 반투명하면서 탱탱한 막만 남아 탱탱볼처럼 됩니다.

  •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달걀이 식초에 잠기면 식초 속의 아세트산과 달걀 껍질 속의 탄산칼슘 사이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초의 초산은 달걀 껍질에 있는 탄산칼슘을 녹이게 되고 달걀 껍질의 단단한 구조를 만들기 위해 존재하는 칼슘 이온이 없어지게 되어서 부드럽고 고무 같은 질감을 남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