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우리나라 가계부채 증가율은 어떤가요?

요즘 경제뉴스를 보면 가계부채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다른나라에비해 많이 높은 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2023년 기준 가계부채 증가율은 3.2%로 GDP성장 대비해도 높은 편이고 다른나라에 비해서도

      속도가 빠른 편입니다

    • 다만 우리나라의 경제가 휘청일정도의 상승은 아닙니다

    • 문제는 이 자금들이 대부분 부동산에 묶여있다는 점이고 이 부동산 가격이 하락했을 때

      가계가 겪는 경제적인 부담이 크기 때문에 우리나라 경제의 뇌관으로 뽑히는 이유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비율과 같은 경우에는

    2008년 138.5%에서 2022년 203.7%로 지난 10여년간 꾸준히 높아졌습니다.

    이는 2022년 기준 한국은 OECD 주요 국가들 중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편에 속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의 가계부채 증가율은 최근 몇 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습니다. 특히 2020년대 초반에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과 저금리 정책으로 인해 가계부채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가계부채 증가율이 6%를 넘는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2023년에도 가계부채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정부는 이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근 기사를 보니 금리 1% 내릴때 가계빚 167조 늘었다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역대 최대 가계빚 1900조원에 육박하고 있고 주담대가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작년 기사를 보니 우리나라 부채는 전세계 3위 정도에 랭크 될 만큼 많은 것 같습니다.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

  •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비율은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국제금융협회(IIF)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8.9%로, 세계 34개국 중에서 가장 높습니다.

    우리나라의 뒤를 이어 홍콩(92.5%), 태국(91.8%), 영국(78.1%), 미국(71.8%) 등도 높은 편이지만, 우리나라가 가장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가계부채액은 

    2018년말 1,537조원 (+89조) / 

    2019년말 1,600조원 (+63조) / 

    2020년말 1,727조원 (+127조) / 

    2021년말 1,863조원 (+136조) / 

    2022년말 1,868조원 (+5조) / 

    2023년말 1,885조원 (+17조) / 

    2024년 2분기 1,896조원(+11조)로 지속 증가해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사 시점 대비하여 다르긴하지만,

    세계 10위권 내로 매우 높은 수준이며, 덴마크, 노르웨이, 스위스, 스웨덴 등 복지성향 국가 바로 뒤를 따른다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전년대비 2.3% 증가하여 올해 세웠던 가계대출 증가치 목표를 이미 초과했습니다.

    이는 GDP대비 적정 수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증가율은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매우 높은 편입니다. 2023년 말 기준, 한국의 가계부채는 GDP 대비 222.7%로 OECD 38개국 중 네 번째로 높은 수준이며, 최근 몇 년간 가장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한국의 가계부채 증가율은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해도 빠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금융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경제 안정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