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24.01.27

생물학에서 종의 분류할때 순종과 잡종은 어떤 기준으로 정하는건가요?

생물학족에서 꼭 나오는게 종을 분류하는게 핵심이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여기서 궁금한점은 순종과 잡종을 구분하는게 대게 모호하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대표적으로 라이거는 순종이아닌 잡종 기준으로 분류할텐데 구체적으로 순종과 잡종은 어떤 기준으로 정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종을 분류하는 것은 생물학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종을 분류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준은 생물학적 특성과 유전적 유사성입니다. 이 두 가지 기준을 통해 종을 분류하게 됩니다.

    순종은 동일한 종 내에서 서로 교배하여 생식이 가능한 개체들을 말합니다. 즉 같은 종 내에서 생물학적 특성과 유전적 유사성이 높은 개체들이 순종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호랑이와 사자는 서로 다른 종이지만 같은 고양이과에 속하고 서로 교배하여 생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순종에 해당합니다.

    반면 잡종은 서로 다른 종의 개체들이 교배하여 생식이 가능한 개체를 말합니다. 즉 서로 다른 종의 생물학적 특성과 유전적 유사성이 낮지만 교배가 가능한 개체들이 잡종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라이거는 사자와 호랑이의 교배로 태어난 개체이기 때문에 잡종에 해당합니다. 이를 통해 종을 분류하고 서로 다른 종의 교배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순종과 잡종을 구분합니다.

    저희는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생물학적 특성과 유전적 유사성을 분석하여 종을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물학적 다양성을 보존하고 종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제가 제공하는 정보가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식적 기준은 두 개체가

    교배하여 자손을 생산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합니다.

    순종은 같은 종의 개체끼리

    교배하여 자손을 생산할 수 있는 반면

    잡종은 다른 종의 개체끼리

    교배하여 자손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유전적 기준은 두 개체의 유전자가

    얼마나 유사한지를 기준으로 합니다.

    순종은 같은 종의 개체끼리

    교배하여 유전적으로 매우 유사한

    자손을 생산하는 반면 잡종은

    다른 종의 개체끼리 교배하여

    유전적으로 차이가 큰 자손을

    생산합니다.

    라이거의 경우 사자와

    호랑이가 교배하여

    만들어지는 잡종입니다.

    사자와 호랑이는 같은 속에

    속하지만 종은 다르기 때문에

    교배하여 자손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대체적으로 순종이라 함은 부+모=자 가 같은 종으로 수대를 내려가도 계속 같은 종이 나오는 것이고

    잡종은 부+모 가 다른종으로 자식이 태어나는것을 의미합니다.

    대체적으로 순종은 그종의 색, 형태, 맛 등이 잘보전되어 후대에 유전되는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물학에서 종의 분류 시 순종과 잡종은 유전적 차이를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순종은 같은 종 내에서 동일한 유전형을 가진 개체들의 집단입니다. 즉,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자가 서로 동일하여 같은 특징을 나타냅니다. 인공적으로 교배를 통해 순종을 만들 수도 있으며, 자연에서도 오랫동안 자연 선택을 통해 순종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잡종은 서로 다른 유전형을 가진 개체들의 교배로 태어난 개체입니다.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자가 다르기 때문에, 특징이 순종보다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잡종은 자연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고, 인공적으로 교배를 통해 만들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