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사회성 동물이나 생물은 어떤게 있나요?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라 합니다. 그러하기 때문에 가장 선진화된 진화를 통해 최고 우점종에 이르렀다고 보는데 이와 유사한 진사회성 생물군은 어떤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진사회성 동물은 두 세대 이상의 구성원이 함께 살면서 협동하고 이타적 행동을 하는 동물을 말합니다.
지구상에서 알려진 진사회성 동물은 개미, 벌, 딱총새우, 벌거숭이두더지쥐, 인간 등을 포함해도 20여종뿐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지구상에 가장 성공적인
생물군 중 하나입니다.
개미는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그중 일부는
매우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프리카의 개미 종인 마라부는
50만 마리 이상의 개미로
이루어진 군집을 형성하며
군집 내에는 여왕개미
일개미 병정개미 등 다양한 계급이 존재합니다.
꿀벌은 또한 매우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꿀벌 군집은 여왕벌 일벌
수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왕벌은 알을 낳고 일벌은 먹이를
모으고 수벌은 짝짓기를 담당합니다.
꿀벌은 협동적으로 일하여 먹이를 모으고
벌집을 짓고 여왕벌을 보호합니다.
오랑우탄은 유인원 중에서
가장 사회적인 종입니다.
오랑우탄은 2~30마리의 개체로
이루어진 무리를 형성하며
무리 내에서 복잡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합니다.
오랑우탄은 협동적으로 먹이를 찾고
새끼를 돌보고 적을 방어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은 indeed 사회적인 동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특성은 우리를 선진화된 진화의 최고 우점종으로 이끌었습니다. 진사회성 동물이나 생물은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와 가장 유사한 진사회성 동물로는 침팬지 고릴라 오랑우탄 등의 유인원류가 있습니다. 이들은 사회적인 계층 구조를 가지며 서로의 관계를 유지하고 소통하며 그룹 내에서 협력하여 생존하고 번식합니다.
그리고 늑대 사자 코끼리 등의 동물들도 진사회성 생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서로의 역할을 분담하고 협력하여 사냥을 하거나 자녀를 키우는 등의 활동을 합니다.
이처럼 진사회성 동물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종마다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사회적인 생활을 하며 서로의 관계를 유지하고 협력하여 생존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러한 진사회성 동물들을 연구하고 이해함으로써 우리 인간의 사회적 특성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