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수출이 반도체와 선박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5.9% 증가했는데 일시적인 일일까요?
이러한 수출 회복세가 단기 전략인지, 중장기 회복의 신호인지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관세 이후 외교, 산업 전략을 통한 수출 안정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적 대응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7월 수출이 반도체와 선박 중심으로 늘어난 건 글로벌 경기 변동과 맞물려 있는 측면이 크기 때문에 단순한 반짝 효과인지, 아니면 추세 전환인지 판단하려면 몇 달간의 흐름을 지켜봐야 합니다. 반도체는 사이클 영향이 커서 재고 조정이나 수요 회복 국면에 따라 수치가 달라질 수 있고, 선박은 수주가 생산으로 이어지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단기 성과라기보다 중장기 전망에 가깝습니다. 정책적으로는 교역 파트너와의 안정적 외교관계, 공급망 다변화, 신산업 투자 확대 같은 대응이 뒷받침돼야 수출 회복세가 흔들리지 않고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수출이 반도체, 선박 수출의 호조로 인해 성장하였지만 단기적 요인 뿐 아니라 중장기적 회복의 신호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 수출액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인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어 실제 수출액이 감소할 위험이 있어 하반기의 수출이 지속적으로 성장할지에 대한 부분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7월 수출이 반도체와 선박 덕에 늘었다는 소식만 보면 반가운 일 같지만 한편으로는 좀 애매합니다. 반도체 가격이 단기간에 회복세를 타면서 실적을 끌어올린 부분이 크고 선박도 수주가 몰린 시점에 맞춰 출하가 이뤄진 결과라서 지속성이 있냐 없냐가 문제입니다. 단기 반짝일 수도 있고 또 다른 사이클의 시작일 수도 있습니다. 중장기 회복 신호로 볼 수 있으려면 글로벌 수요가 꾸준히 살아나는지 확인해야 하고 특히 반도체는 신규 투자와 기술 경쟁력 강화가 이어져야 의미가 있습니다. 정책적으로는 특정 품목에만 의존하지 않게 산업 다변화를 유도하는 게 중요합니다. 교역국과의 통상 외교도 같이 움직여야 수출 안정성을 조금이라도 담보할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