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풋풋한물개287
풋풋한물개287
23.06.11

무지개는 어떻게 생기는건가요? 물이랑 햇빛 있으면 만들 수 있나요?

무지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건지 알고 싶어요 물이랑 햇빛만 있으면 만들 수 있나요? 일반인이 무지개가 생기도록 할 수 있나요? 무지개는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23.06.11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가 생기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빛의 굴절: 햇빛이 물방울 표면에 닿을 때, 빛은 공기와 물 사이의 경계면에서 굴절됩니다. 이 때 빛은 속도와 방향이 변하게 됩니다.

    2. 빛의 반사: 굴절된 빛이 물방울 내부에서 반사됩니다. 이 반사는 물방울 내부의 뒷면과 만난 후 다시 앞면으로 돌아갑니다.

    3. 빛의 굴절과 반사 반복: 굴절된 빛이 다시 물방울 표면에서 굴절되면서 앞면을 향해 나아갑니다. 이 과정에서 반사와 굴절이 반복되면서 빛은 물방울 내부를 여러 번 왔다갔다합니다.

    4. 빛의 분산: 빛은 다양한 파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방울 내부에서 반사와 굴절을 반복하면서, 빛은 분산되어 다양한 색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비가 내리면서 태양이 비추는 반대편에 물방울이 있을 때 나타나는 자연 현상으로 물방울 안에서 태양 빛이 반사와 굴절이 일어나면서 태양에서 나온 빛이 여러 색상 분해되어 보이는 현상으로 맑은날 분무기로 물을 뿌리면 무지개를 만들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태양빛이 여러개의 파장의 색으로 구성된특징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빛싀 파장에따라 물방울과 공기의 계면을 통과할 때 굴절률이 달라지는데, 태양빛이 물방울을 통과하며 빛이 나눠지고 우리눈에 들어오면 무지개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공기중에 머무르는 매우 얇은 물방울들에 특정각도로 햇빛이 들어가 굴절 및 반사되며 하얀 가시광선이 파장에따라 경로가 나눠지는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