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고독한노루300
고독한노루30023.03.08

미국 한국 금리 차이가 언제까지 벌어진 채로 유지될까요?

안녕하세요.

미국에서는 곧 기준금리가 5프로가 넘얼갈려고 하는데 한국 금리는 3.5프로에서 막아놓고 있습니다. 니중에 가서 한번에 오르면 경제에 타격이 더 심할 듯한데, 언제까지 못올리고 버틸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서 한국의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 상황이기는 하나 국내의 부채리스크로 인해서 미국의 금리를 온전하게 따라가지는 못하는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리스크를 감안한다면 최대한 금리를 올리지 않고 환율을 방어하는 정책으로서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여지며,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는 1.5%범위 내에서 유지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러한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의 유지는 미 연준의 금리인하가 결정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이며, 이 시기는 미 연준의 금리인하가 예상되는 내년 상반기 혹은 중반부터 조금씩 좁혀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우 3월 FOMC에서 50bp의 금리인상이 예고되어 있는바 개인적으로 한국은행은 더이상 한미 금리차이가 크게 차이나지 않기 위해 4월에는 금리인상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2월에는 동결을 했지만 일시적인 동결로 해석이 됩니다. 이대로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차가 벌어지게 되면 외화 자금이 빠져나가게 되고 그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한국은행도 조만간 기준금리를 올리며 격차를 좁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한국의 금리 변동은 각각의 경제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미국과 한국의 경제 상황이 미래에 어떻게 전개될지에 따라 금리 차이가 좁아질 수도,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 한국의 중앙은행이 정책 금리를 결정하는 방식이나 시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금리 차이가 언제까지 유지될지는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미국과 한국의 경제 상황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정책 금리와 관련된 발표나 이벤트 등을 주시하여 금리 차이가 언제까지 유지될지에 대한 예측을 수시로 조정해 나가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3.5%이고 미국의 기준 금리는 4.75%이고 3월 24~25일 주간에 FOMC 회의를 통해서 최소 0.25% 인상이 유력합니다. 이럴 경우 금리차이는 1.5% 이상 벌어지게 됩니다. 시장은 이미 해당 금리차이를 고려해서 원화 환율이 상승하고 있고 주식 시장은 약세입니다. 언제까지 이러한 큰 폭의 한미 기준금리 차이가 유지될지는 알 수 없으나 미국의 경제 여건 보다 한국의 경제 여건이 좀 더 빡빡한 측면이 있어서 올해 내로 해당 격차가 줄어들 것 같지는 않습니다.

    예측하기 힘드나 내년 하반기 이후는 되어야 비슷한 금리 수준이 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날 미연준에서 빅스텝을 얘기하는 매파적 발언이 나왔는데 그럼 2%가량 차이가 납니다.

    한국은 금리인상이 쉽지않아 당분간 금리차이는 좁혀지지 않을겁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침체상황이 길어질것같습니다.수출에서는 무역수지적자가 몇개월째 계속지속되고 국민총생산은 감소하고 부동산경기하락과 물가상승여파로 서민들의 삶은 고단해져가고있고 출산율하락세와 경기방향을 잘못읽은 국민연금투자의 80조손실 고령화는 빨라지는데 노동임금의상승으로 생산성하락 자칫하여 미국과의 금리격차가 외화투자자본의 유출로 이어져 외환보유고가 감소하고 시장의 혼란만 가증시킬지 모르겠습니다.이럴때 일수록 국민들의 단합과 정부정책의 효용성평가에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어 효과적인.경기정책과 그에 따른 국회의 정치적협조로 어려운상황을 극복해나가면 분명 다시반등할기회가 올것이고 미래산업의 투자를 소홀히 하면 안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더 벌어진다면

    원달러환율 상승 및 자본유출 등이 우려되어 우리나라에서도

    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뉴노멀의 시대로 한국이 미국보다 금리가 낮은채로 1년이상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수시장의 체력이 약한 한국은 금리를 올리기 전에 가계부채 등 내적인 문제가

      자리잡고 있어서 미국과 동일하게 금리를 올리기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