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지구를지켜라마보
지구를지켜라마보23.07.16

푸릇푸릇 초록색이던 나뭇잎이 가을만 되면 왜 단풍이 드는 걸까요?

우리나라는 매년 가을만 되면 온 산이 울긋불긋한 색깔들로 바뀌게 됩니다. 봄과 여름 내내 파릇파릇했던 초록색,연두색 나뭇잎들이 가을이 되면 어떤 원리로 단풍이 드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며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

    또한 색이 다른 이유는 색소의 종류와 함유량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붉은색은 엽록소가 분해되며 안토시아닌을 생성하며 띠게되고, 노란색크산토필, 카로티노이드가 생성되면서, 갈색크산토필, 타닌이 생성되면서 띠게되는 색입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는 이유는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으로부터 에너지(양분) 공급을 중단 받아 나뭇잎의 농도가 올라 산화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돼 단풍이 들게하며 이후에 낙엽이 되어 떨어지게 만드는 것이죠.


  • 봄과 여름에 초록색 잎이 가진 주요 색소인 엽록소는 가을이 되면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면 노란색과 주황색 색소들이 드러나게 되어 나뭇잎이 노란색과 주황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가을에는 일정 기간 동안 나뭇잎에 색소가 축적되는데, 이 과정에서 나뭇잎은 살짝 빨갛게 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색소 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가을에는 온도와 일조량의 변화가 생기는데, 이러한 날씨 변화가 나뭇잎의 색깔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저온과 긴 밤에 노출된 나뭇잎들이 단풍 색깔을 더욱 강조하게 됩니다.

    가을에는 나뭇잎의 내부 화학 구성이 변화하는데, 이로 인해 다양한 색깔이 드러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