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지적인벌새219
지적인벌새21924.02.02

레진 인레이 어떤걸 해야 할까요???

상악 좌측 제2 대구치와 제3 대구치 사이 맞물리는 면 쪽을 타고 살짝 깨진 부분이 있습니다

먼저 대학병원으로 가서 진료를 보았는데
대학병원 측에선 레진으로 간단히 때우면 되겠다고 하셔서 그 길로
동네 치과로 가서
때우려고 하니 동네 치과 선생님께서는
면 안쪽 안 보이는 곳에 충치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니 인레이를 추천하셨습니다
(엑스레이 상으로는 충치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난이도도 있고 해서 레진을 할 거면 차라리 대학병원에서 하는 걸 추천해 주셨습니다)

그렇다면 제가 궁금한 점은
1. 엑스레이 말고는 충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엑스레이상으로 나타나지 않아도 있을 수 있는지 그게 어느 정도인지)

2. 그렇다면 만에 하나 레진을 했는데 그 안보이는 부분이 충치일 경우 후에 문제가 될 수 있는지

3. 평소에는 통증이 없으나 깨진 부분으로 고기나 오징어 같은 걸 씹고 나면 통증이 좀 있고 이물질을 빼기 위해 치실 질을 좀 과하게 하고 나면 피가 조금 났습니다 이게 단순히 깨져서 그런 건지 충치의 가능성도 있는 건지

둘 중 하나 선택을 해야 되는데 너무 고민이 되고 궁금합니다!


ps . 아 제2 대구치 옆 사랑니는 최근 발치를 하였는데 살짝 충치가 있었습니다

그 외 구강 전체적으로 충치는 거의 없었습니다 있어도 양치만 잘해도 되는 수준이라고 하셨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엑스레이와 시진으로 대부분 확인가능하며 대학병원에서 레진으로 하셔도 되고 두가지 모두 괜찮습니다.

    피나는 것과 충치는 별 연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충치여부에 따라 다르겟지만, 인접면 충치이거나 충치가 깊어 보인다면 레진보다는 인레이 치료를 하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사진을 올려주시면 더 답변드리기가 쉬울것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운전면허 충치가 있을 경우에 인레이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레진으로도 충전을 할 수 있습니다.

    사진으로 확인을 하지 못하고 육안으로도 확인이 되지 않는다면 대부분의 충치는 다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치실을 할 때 치아 사이에서 출혈이 된다면 해당 부위에 충치가 있고 이물질 때문에 잇몸의 염증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