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장난감솜사탕316
장난감솜사탕31623.07.29

에어컨에서 물이 생겨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요금같이 덥거나 장마로 축축한 날에 에어컨을 오래 틀면 에어컨 주변에 물이 많이 생기는데

왜 이렇게 많이 생기는건가요? 그냥 습기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정용이든 차량용이든 에어컨 설비에서 물이 나오는 이유는 냉매의 상태 변화와 습도 조절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에어컨은 주로 실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냉매라는 물질을 사용하여 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데요

    이때, 냉매의 상태 변화로 인해 물이 생성되며, 에어컨의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답니다.

    냉매의 압축을 통해 기압과 온도를 올리고 압축된 냉매는 냉각코일을 통과하면서 기압이 낮아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 냉매는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하며 열을 흡수하게되죠...이 과정을 냉매의 증발이라고 합니다.

    냉매의 증발과정에서 주변 공기에서 수분이 응축되어 물이 형성되괴, 이때 물은 냉방기의 코일 주위에 응축하여

    물방울이 형성되며...형성된 물방울은 배수관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에어컨 주변에 물이 생기는 것은 온도차 또는 에어컨이 매우 차가워져서 생기는 물입니다.


  • 에어컨에서 물이 생겨나는 원리는 기상학적인 현상 중 하나인 '습도 조절'과 냉각 작용에 기인합니다. 에어컨은 주로 냉방을 위해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원리로 물이 생성됩니다:

    1. 냉각 작용: 에어컨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냉매라는 물질과 열 교환을 통해 실내의 열을 빼앗아 냉각합니다. 이 과정에서 냉매가 실내 공기의 열을 흡수하고, 냉각된 공기를 다시 방출합니다.

    2. 습도 조절: 에어컨은 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동시에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도 합니다. 냉각된 공기는 냉매에 의해 실내의 수분을 응축시킵니다. 이렇게 응축된 수분은 에어컨의 물받이 판에 모이게 됩니다.

    3. 물이 생겨나는 현상: 냉각된 공기에 응축된 수분이 에어컨의 물받이 판에 모이게 되면, 이를 통해 물이 생겨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에어컨의 물받이 판은 물을 수집하여 물탱크에 저장하거나 외부 배수관으로 배출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에어컨은 냉각과 습도 조절을 통해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며, 물이 생겨나는 현상은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물이 생겨나는 것은 에어컨의 정상적인 동작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냉각과 습도 조절을 위한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에어컨 내부 냉각 장치에서는 공기를 차갑게 만드는데, 이 차가워 지는 과정에서 습한 공기가 차가운 냉각장치와 만나며 액화됩니다.

    이렇게 액화된 물을 모아서 버리게 됩니다.

    그냥 공기중의 습기를 잡아두었다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에서 나오는 물은 습도조절을 해서 나오는 물이고 에어컨 주변에 물이 맺히는 것은 질문자님 말씀 처럼 에어컨이 차가워져거 주변에 수증기가 액화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에어컨은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킨 후 실내로 내보냅니다. 이때 에어컨은 실내의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여 응축시킵니다. 응축된 습기는 물이 되어 에어컨의 배수관을 통해 배출됩니다


  • 안녕하세요.

    에어컨에는 속칭 에바, 정식적으로는 열교환기라고 하는게 들어있어요.


    그리고 내부에 냉각판이 있고, 냉각판 사이로 냉매가 지나는 관이 있어요.


    냉매는 아주 차가운 상태로 관을 통과하고, 냉각판을 차갑게 하는데 차가운 표면에는 공기중에 떠돌아다니던 기화상태의 수증기가 들러붙게 되고 이게 양이 많아지면 응결되어 물이 생기지요.


    마치 냉장고에서 차가운 병을 꺼내면 습기가 달라붙는 것과 같아요.


    이 방식으로 에어컨으로 제습을 하기도 하구요.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에어컨 냉매와 실외기온과의 온도차이 때문에 물기가 생깁니다.

    예컨대 에어컨 온도 설정을 18도로 해놓고

    실외기온은 36도라고 하면 온도차이로 인해 물기가 생기게 되는 것이죠.

    얼음물을 마실 때 컵 외부에 이슬이 맺히는 것과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에어컨은 냉매를 통해 차가워진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

    차가운 공기를 만들다보니 주면 습기를 끌어들여 냉매관에 맺히게 하여 물이 생기는 것입니다 .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에어컨에서 물이 생겨나는 원리는 응축입니다. 에어컨은 공기를 실내에서 흡입하여 냉각하고, 그 과정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됩니다.

    에어컨은 냉매라고 불리는 물질을 사용하여 열을 흡수하고 실내 공기를 냉각합니다. 실내 공기가 에어컨 내부의 코일을 지나가면 냉매가 열을 흡수하여 실내 공기를 차갑게 만듭니다. 그리고 차가운 공기는 공기 중의 수분을 냉각하여 수분이 응축되어 물방울이 형성됩니다.

    이 응축된 물은 에어컨 내부에 수집되고, 일정량이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처리됩니다. 이 배출 과정을 통해 에어컨은 실내의 습도를 낮추고, 냉각된 공기를 제공하여 우리에게 시원함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