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라울곤잘
라울곤잘23.02.13

경제관련용어중 아모티제이션은 무엇인가요?

경제관련 자료를 찾다가, 아모티제이션(amortization) 이라는 단어를 알게 되었는데요.

아모티제이션은 어떠한 뜻으로 사용되어 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모티제이션이라는 것은 무형의 고정자산을 내용연수기간 내에 원가주의의 입장에서 감가상각을 하는 것을 말하는데, 유형고정자산의 감가상각과 소모성 자산의 감모상각과 구별해 보통은 '가격상각'이라고도 표현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모티제이션(amortization) 무형 고정자산을 내용기간 내에 원가주의 입장에서 감가상각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dic.mk.co.kr/cp/goodi/today_test.php?dic_key=9845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Amortization은 감모상각이라는 용어로 회계학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업 회계는 발생주의 원칙(accural basis) 하에서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matching priciple)을 적용합니다.

    가령, 2년 이상의 사용연수(useful life)를 가진 자산 취득은 예상 사용 연수만큼 나눠서 비용을 인식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인 감가상각(deprciation)입니다. 일반적으로 감가상각은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자산(phsical asset)에 사용하고 감모상각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시간이 지나면 자산량이 줄어드는 특별한 자산에 적용합니다.

    가령, 소프트웨어나 상각 대산 지적재산권에 감모상각이라는 용어를 많이 쓰고 교과서적인 관점에서는 휘발성이 있는 광물이나 천연자원 자산에 감모상각을 적용합니다. 가령, 야적장에 있는 석탄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약적량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고 석유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천연자원은 감모상각을 통해서 시간에 따른 줄어드는 자산량을 상각하게 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모티제이션(amortization) 회계상 자산 상각을 뜻합니다. 무형고정자산(영업권·특허권·상표권 등)이나 이연자산(시험연구비·개발비 등)의 상각을 말하며, 유형고정자산의 감가상각인 디프리시에이션(depreciation)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모티제이션은 무형 고정자산을 상각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비슷한 개념으로 감가상각은 건물 등 실물 자산의 가치를 상각하는 것입니다. 감모상각은 석유, 광물 등 천연자원의 가치를 감가상각하는 것을 말하고 질문 주신 아모티제이션은 영업권이나 어업권 등 무형자산의 가치를 상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국 어떤 자산을 상각하느냐에 따라 아모티제이션, 감가상각, 감모상각 등으로 나누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