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진단비 난소의 과립막세포종 진단 암진단비 받을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손해사정사 이준석 입니다.
대한민국은 암 진단율이 높은 만큼 암보험에 대한 수요도 높은 보험시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많은 보험계약자가 암진단비를 포함한 보험계약을 체결하더라도 막상 내가 암에 걸려도 보험회사로 부터 암진단비를 거절당하는 경우도 있죠
이유는 왜그럴까요?
우선 암진단은 전문의사가 객관적인 검사를 통해 최종 진단을 결정하게 됩니다.
그러나 주치의가 충분한 검사를 시행했는지, 객관적인 검사는 시행하였는지, 단순 임상학적 소견에 의한 진단이었는지
또는 개정된 코딩지침에 따라 진단코드를 부여하는 것이 아닌 과거 임상적 기준으로 진단 코드를 부여하여 암진단비를 받을 수 있는 종양이었더라도
몰라서 보험금청구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사례도 코딩지침이 변경되어 과거에는 일반암진단비로 보험금을 지급받지 못하였으나 현재 받을 수 있는 난소의 과립막세포종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보험계약시기에 따라 지급여부의 판단은 달라질수 있음에 유의
1. 난소(Ovary)
여성의 골반내의 좌, 우에 한개씩 한쌍으로 이루어진 위아래로 납작한 타원모양의 기관으로서 길이는 약 4cm 무게가 약 7gm 내외 입니다.
난소는 복막에 둘러싸여 매끈하하고 광택이 나며, 난소를 둘러싸는 복막을 난소간막이라고 합니다.
난소는 혈액공급을 자궁동맥의 난소가지와 난소동맥에서 받으며 정맥은 난소정맥을 통하여 좌측의 정맥은 좌신장정맥으로, 우측의 정맥은 하대정맥으로 흘러들어가게 됩니다.
2. 난소종양(Ovarian Tumors)
난소에 발생한 종양으로 난소종양이라고 하는데 난소에서 생기는 종양의 85%는 양성이며, 난소의 종양은 종양이 발생하는 조직에 따라 크게 구분이 됩니다.
가장 많은 것은 난소의 표층을 덮고 있는 세포에서 생기는 상피성 종양으로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암), 양성과 악성의 중간적 성질을 지닌 종양(경계성) 입니다.
상피성 암은 난소암의 9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3. 난소의 과립막세포종, 성인형
Granulosa cell tumor, adult type
조직검사 결과상 상기내용이 있다면 일반암진단비 지급여부를 검토해 볼 수 있습니다.
난소암으로 인한 암진단비의 경우
보험가입시점, 진단시점, 조직검사 시점 등에 따라 보험금 지급여부가 결정됩니다.
때에따라서는 면책기간내 진단일 경우 보험금 지급이 거절될 수 있죠.
정밀검사 이후 조직검사 결과상 자신이 받은 진단서상 진단코드가 적절했는지 한번 확인한 후에 암진단비를 청구하는 것이 주용하다 하겠습니다.



- NEW보험[실손의료비] 전립선비대증으로 진단을 받고 수술한 경우에 실손의료비[실비]을 받을 수 있나요? 최근에는 우수한 전립선비대증 약제가 많이 개발되어 과거에 비해 수술하는 빈도는 많이 감소하였습니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요로감염, 혈뇨, 요폐 등이 발생하거나 방광 내 결석이 생기는 경우, 또는 약물치료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되게 됩니다.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수술 방법으로는 TURP 경요도절제술[수술비 대략 150만원], 워터젯 로봇수술[아쿠아블레이션 요법: 수술비 대략 1,000만원], 홀렙수술[홀뮴 레이저: 수술비 대략 150~200만원], 유로리프트[전립선결찰술: 수술비 대략 400~2,000만원], 플라즈마 투리스[수술비 대략 1,000만원]가 있습니다.그 중에서도 요즘 보험사에서 문제를 삼고 있는 수술명이 유로리프트수술입니다.이 수술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에서 정한 사용대상에 일치하지 않는 환자가 수술을 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기준치가 미달되는 경우에 실손의료비에서 보상하지 않겠다는 내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이박지연 손해사정사・4064
- NEW보험[실손의료비] 할인(감면)전 의료비로 보험금 청구 가능한가요?보험금을 청구할 때, 종종 질의 들어오는 질문 중의 하나가 실손의료비 보상대상금액(=보험금 계산의 기준)을 "감면 전 금액으로 계산되나요? 아니면 감면 후 금액으로 계산하나요?"입니다.이 부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의료비 할인대상부터 알아야 합니다. 대상은 아래의 4가지 경우가 해당됩니다.1. 의료기관 임직원 본인2. 의료기관 임직원 가족3. 의료기관 임직원 지인4. 특정단체에서 지원하는 의료비 할인 예> 국가유공자 및 독립유공자 법률에 따른 감면 등여기서 문제가 되는 항목이 1~3번입니다. 가입시기별로 보상 가능한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표준화이전(~09.08)별도의 규정이 없으므로 감면 전 의료비로 보상 가능(1~4번 보상)1차 표준화개정(13.04~15.08)의료비를 감면 받을 경우 감면 전 의료비를 기준으로 입/통원 의료비로 보상 가능(1~4번 보상)2차 표준화개정(15.09~15.12)의료비를 감면 받을 경우 감면 전 의료비를 기준으로 입/통원 의료비로 보상 가능(박지연 보험전문가・2033
- NEW보험[실손의료비] 정신과 질환으로 진단받고 보험금 청구했는데, 보상 가능한가요? 실손의료비담보에서 부지급(=면책=보험금 안줌)되는 경우는 크게 2가지입니다.첫번째는 보험사에서 손해율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보험금을 주지 않는 경우와 두번째는 약관상 면책(=보험금 안줌)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정신과 질환은 약관상 면책이 아니라면 지급된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즉, 약관만 보시면 됩니다.다만, 정신과 질환은 과거 치매[F01~F03]를 제외하고 지급되지 않았다가 2016년 3차 표준화 이후부터는 일정부분 보상하는 형식으로 보장의 범위가 확대되었기 때문에 가입시점에 따른 해당 약관 확인이 중요합니다! ♣ 약관보는 방법1. 가입한 특약이름 메모(=지급 가능)2. 가입시점(년월까지 반드시 확인)의 약관을 다운 : 각 보험사의 홈페이지상 상품공시실에서 확인 가능3. ctrl+F(찾기기능)을 통해서 메모한 특약을 검색4.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부분 (1) 보상하는 손해 : 지급 기준(예- 어떤 검사를 통해서 확정진단을 받을 수 있는지 등) (2)박지연 손해사정사・2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