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여러차례 진료시, 실비 보상은 어떻게?
하루에 여러차례 진료시, 실비 보상은 어떻게?
선요약 : 하루에 이비인후과의 감기 치료와 내과의 위염 치료를 두 번 받았다면 각각 공제금액을 제외하고 보상이 됩니다.
또 하루에 동일한 질병으로 의원부터, 상급병원까지 내원했다면, 이는 1회의 외래 및 처방으로 간주하여 적용합니다.
하루에 여러 과를 내원하는 경우, 동일사고가 아닌 각기 다른 사고로 병원에 내원하여 치료를 받는 경우 실손의료비보험에서는 어떻게 지급이 될까요?
실제 우리나라의 실손의료비 가입률은 높습니다. 보험가입시 필수 가입해야 할 상품으로 실손의료비보험을 꼽고, 설계사도 제일 먼저 권유하는 보험이 실손보험입니다.
실손 보험은 말그대로 실제 손해 본 만큼 보상해주는 보험입니다. 그만큼 청구율도 높으나, 청구 시에는 여러 문제로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손보험의 약관을 살펴보면, "피보험자(보험대상자)가 질병 또는 상해로 인하여 병원에 통원해 치료를 받거나 처방조제를 받은 경우에는, 통원의료비로서 매년 계약해당일로부터 1년을 단위로 하여 외래(외래 제비용, 외래 수술비) 및 처방조제를 각각 보상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즉 각각 사고에 대하여 가입금액의 한도만큼 따로 보상합니다.
그러나 각각의 질병 또는 상해로 통원 치료 시에는 각 가입금액의 한도만큼 (ex:각 질병당 5천, 각 상해당 5천) 기본공제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지급합니다.
따라서 하루 동안 감기로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치료를 받아도 실손보험에서 해당 금액만큼 (약관에서 정의하는 본인부담금을 뺀 나머지)의 보험금이 지급되고, 같은 날 위염으로 내과 치료를 받아도 각각 공제금액을 제외하고 보상이 된다는 말입니다.
1. 각각 별개의 질병 또는 상해로 내원한 경우 각각 보상이 된다.
또 다른 경우로 하루에 동일한 질병으로 의원급부터 상급병원까지 두번 내원하는 경우가 있겠죠.
이 경우엔, 하나의 질병으로 인해 하루에 같은 치료를 목적으로 병원에 2회 이상 통원 치료 시 1회의 외래 및 처방으로 간주하여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동네 의원에 내원하여 치료를 받았는데 의사선생님이 상급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볼 것을 권유해서 2차 또는 상급종합병원에 갔다면, 두 병원의 의료비를 합산하여 한도만큼 지급합니다. 이 경우 보험회사에서 공제하는 금액은 두 병원 중 가장 큰 병원의 공제금액만 차감 후 지급합니다.
그래서 하루 동안 위염으로 동네 의원에서 2만 5천원, 3차병원에서 7만 5천원을 의료비로 썼다면, 총 지출의료비는 10만원입니다. 그리고 실손의료비에서는 총 금액에서 3차 병원의 공제금액인 2만원과 보상대상의료비의 20% 중 큰 금액인 2만원을 공제하고 8만원이 지급됩니다. (3세대 실손 기준)
2. 한 질병으로 두 병원을 갔다면 합산하고, 가장 큰 병원에 해당하는 공제금액을 공제한다.
+ 만약 4세대 실손이라면 보상이 어떻게 될까요.
급여부분에서 1차 공제 (의원급 1만원 또는 전체 20% 중 큰 금액, 종합·상급병원 2만원 또는 전체 20%중 큰금액)
비급여 부분에서 2차 공제 (3만원과 비급여 30%중 큰 금액 공제)
마지막으로 주사/도수/MRI 3대 비급여에서 공제(3만원과 30% 중 큰 금액 공제) 후 지급되겠죠.
혹시 한 번, 두 번 내원해서 치료받았는데, 모르고 청구하지 않은 영수증이 있다면 이제라도 청구하면 됩니다.
정리 : 하루에 이비인후과의 감기 치료와 내과의 위염 치료를 두 번 받았다면 각각 공제금액을 제외하고 보상이 됩니다.
또 하루에 동일한 질병으로 의원부터, 상급병원까지 내원했다면, 이는 1회의 외래 및 처방으로 간주하여 적용합니다.



- NEW보험MG손해보험, 재매각 추진...??????안녕하세요.최근 MG손해보험의 가교보험사 설립으로 시끌시끌했는데요.정부가 바뀐뒤 갑자기 가교보험사 추진이 재매각하는 방향으로 바뀌었습니다.우선, 상당히 유감입니다.계약자만을 생각해야하는 보험사에서 120만 고객들의 계약보다도 600명 직원의 고용안정만을 추구하는 노조의 모습이 참으로 안타까운데요.작년 순손실이 약 1400억인데 직원월급으로 560억이 지급되었다는 뉴스를 접하고는과연 자본잠식이 심한 MG손해보험을 누가 인수할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아무리 노조친화적인 장관이 들어섰다고 해서 한번 결정된 방향을 손바닥 뒤집듯 뒤집어 버리는건 많이 아쉬운데요.그렇다고 획기적인 방법이 있는것도 아니고 일단 재매각 추진 후 상황을 지켜본다는 말이 참으로 안일하게 느껴졌습니다.물론, 고객들의 계약은 이전과 동일하게 안전하게 보호받겠지만 또다시 재매각 실패라는 이슈가 터지면 그땐 5대 보험사들도 계약을 온전히 다 받는것이 가능할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내 건강을 위해, 가족건강을 위해 들어놓은김지용 보험전문가・1022
- NEW보험MG손해보험 이대로 괜찮은가..?안녕하세요. 아하 보험전문가 김동우입니다.MG손해보험에 대해서 최근에 변화된 것이 있어 글을 적습니다.당초 MG손보는 서울예금공사에서 가교보험사를 설립하여 소비자들을 보호하려고 했으나최근에 MG손보의 노조에서 이를 반대하고 나섰다고 합니다.이유는 고용승계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개인전인 소견으론 소비자들의 자산을보호해야할 보험사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반대를 하고 있다고 밖에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보험금지급여력비율이 마이너스인 이 상황에서 자신들의 고용이 불안정하다고 소비자들을내몬 상황이라고 밖에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M&A를 할경우 고용이 안정적인데 비해 가교보험사를 설립해 폐쇄형으로 흡수되면 필수인력 10%를제외하곤 대부분 다른곳으로 가야 하는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농성을 벌이고 있다고 합니다.MG손보의 임직원들은 자신들의 책임을 통감하여 어떻게든 소비자들을 보호해야 하지만정반대의 행동을 하고 있는것으로 보아 이 농성(총파업)은 시간이 좀 걸릴 듯 싶습니다.더불어김동우 보험전문가・30361
- NEW보험[약관 Zoom-In] 도수치료 실비청구 하려면바쁘다바빠 현대사회 정보는 많은데 노이즈만 가득이라 빠르고 간결하게 핵심만 전달하는 글입니다.설득이나 주장은 없고, 약관이랑 팩트만 있습니다.[약관 Zoom-In] 도수치료 실비청구 하려면핵심: 실손보험 가입 시기부터 확인하세요.17년 4월 이전에 가입한 실비다? 그냥 받으면 됩니다.보험사에서 문제삼을 근거가 없습니다.1세대(~2009.9) · 비급여·급여 구분 없이 전액 보장 · 횟수·증명 제한 없음 (약관이 제각각)2세대(2009.10~2017.3) · 표준약관 도입(약관 통일)· 자기부담금은 있지만 도수치료 횟수 제한 없음1세대는 상품별로 한도가 다르니 내가 가입한 약관 '통원한도'를 꼭 확인 해보세요.17년 4월 이후다? 그럼 조금만 더 읽어보세요.2017년 4월, 청구 많던 도수치료·비급여 주사·MRI 항목을별도 특약으로 분리했습니다.보험료 부담 때문에 생긴 조치입니다.3세대(2017.4~2021.6) · 도수치료의 한도가 생겼습니다. 도수치료를 포함한 3대 비급여 치료 연윤석민 보험전문가・20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