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살은 왜찌는걸까요?ㅇ?ㅇ?ㅇ?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이 살이 찌는 이유를 알려면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과거 인간이 수렵, 채집활동응 하던때 그리고 농사가 발달하지 못하여 식량문제가 있던때 정해진 시간에 음식을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우리 몸은 음식물을 섭취시 잉여 에너지를 우리 몸에 축척하여 음식물이 부족할때 꺼내 쓰는 쪽으로 진화해왔습니다.그러나 현대 시대에는 음식 공급에 있어 크게 문제가 없으며 잉여에너지가 우리 몸에 들어오는 기회과 과거에 비해 훨씬 많아지면서 살이찌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물론 미래에 잉여에너지를 축척하지 않는 쪽으로 진화 할 수 있겠지만 진화를 수백, 수천년에 걸쳐 진행되기 때문에 현재에는 비만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운동, 식단, 수술적 치료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화학
23.02.11
0
0
드라이 아이스를 만지면 화상을 입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드라이아이스는 화상을 입히지 않습니다.사람은 피부에 다양한 감각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에 차가움을 느끼는 냉점, 따뜻함을 느끼는 온점, 아픔을 느끼는 통점이 있습니다.뜨거운 물체을 만지면 온점에서 느낄 수 있는 범위 이상을 통점에서 아픔으로 인식합니다. 반대로 차가운 물체를 만지면 냉점에서 느낄 수 있는 범위 이상에서 통점으호 역시 아픔을 느낍니다.결론은 같은 아픔을 느껴 화상이라 생각하지만 실제 화상은 입지 않습니다. 다만 오랫동안 드라이 아이스를 만진다면 동상에 걸릴수 있겠네요.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3.02.11
0
0
지구에 오존층이 없으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오존층이 없다면 대부분의 생물이 살아가는데 매우 힘들것 입니다.오존층은 태양에서부터 오는 자외선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자외선은 인간에게 피부암, 백내장 등을 일으키는 매우 위험한 파장에너지 입니다.에초에 생물이 바다에서 지상으로 올리올 수 있는 이유가 오존층의 형성때문입니다. 아마 오존층이 없어지면 바다 생물을 제외한 지상 생물은 살아가는데 매우 힘들 것이며 많은 생물이 멸종을 맞게 될겁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1
0
0
귤을 많이 먹으면 왜 손이노랗게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귤을 많이 먹으면 손 발이 노랗게 변하는 이유에 대해 질문하셨는데요.귤에는 카로틴이란 성분이 있습니다. 카로틴은 귤 당근 등 존재하며 이 카로틴이 피부에 쌓여 피부가 노랗게 변색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섭취를 중단하면 원래 피부색으로 돌아 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화학
23.02.11
0
0
아기 손에 손가락을 대면 꽉 쥐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파악반사라는 것입니다.아이의 손바닥에 손가락이나 다른 물건을 갖다 대면 주먹을 꽉 쥐면서 움켜잡는 것인데 손바닥의 파악반사는 생후 2~3개월 무렵 사라지고, 발바닥의 파악반사는 생후 8~9개월 무렵 사라집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육아 /
양육·훈육
23.02.11
0
0
아이가 시계 보는 법을 어려워합시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임의로 조작할 수 있는 시계 장난감을 부모님과 함께 가지고 놀면서 배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시계 장난감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또 다른 방법으로는 타이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보통 조리타이머이며 시계바늘을 조정하여 작동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아이와 같이 활동을 할때 시간을 정해좋고 타이머를 아이가 직접 맞추어 시간의 간략한 개념을 이해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육아 /
유아교육
23.02.11
0
0
비가 오지 않아도 계곡물이 계속 흐르는 이유?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산에는 많은 풀과 나무 흙이 존재합니다. 보통 도시 아스팔트에서는 물이 일정부분 지하루 흡수되고 표면에 남은 물은 태양 빛에 의해 증발합니다.하지만 나무와 풀이 많은 산은 비가 올 경우 나무와 풀 흙이 물을 흡수하여 머금고 있으며 이에 일부가 계곡으로 꾸준히 흘러 내리게 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1
0
0
태양빛이 비춰도 안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천웅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에서는 다량의 자외선 등 생물에게 유해한 것들이 많이 방출 됩니다. 하지만 지구의 경우 성층권에 오존층 있어 이 자외선을 차단해 줘서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습니다.오존층은 태양으로부터 전파돼 오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데, 오존층이 파괴되면 지구에 도달하는 자외선이 많아져 피부암ㆍ백내장 등을 유발하며, 농작물이나 해양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방해하는 등 지구환경에 밀접한 영향을 미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1
0
0
무지개는 왜 항상 나타날때 반달모양인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대기 중 수증기에 의해 태양광선이 굴절, 반사, 분산되면서 나타나는 기상학적 현상입니다.무지개는 하늘에서 태양이 위치한 반대편에 형성되며, 대부분 호 모양으로 생기지만 원형으로도 생길 수도 있습니다.지상에서 관찰할때는 원의 절반만 관찰이 되기때문에 반원 모양이지만 하늘에서 관찰할때는 둥근 원모양의 무지개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1
0
0
전세계의 바닷물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될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염분의 농도는 바다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바닷물 1㎏에 들어 있는 염류의 총 무게(그램)로 측정되고, 단위는 퍼밀(‰ 천분율)이다.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등 대부분의 큰 바다는 그 농도가 33~37‰ 정도이고, 세계 해양의 평균 염분 농도는 35‰입니다.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리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북반구의 해수는 남반구의 해수보다 염분이 낮으며 이는 북반구에 더 많은 대륙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많은 양의 담수가 대륙으로부터 유입되기 때문입니다.그러나 대서양은 또 다르게 강을 통하여 유입되는 담수 총량의 약 80%가 대서양으로 흘러들어 감에도 불구하고 대서양 해수의 염분은 태평양 해수에 비하여 다소 높습니다. 그 이유는 강수량보다 증발량이 훨씬 더 큰 지중해에서 고온, 고염분의 특징을 갖는 해수가 대서양으로 유입되어 염분을 높이고, 무역풍을 따라 태평양의 열대 수렴대로 운반되는 막대한 양의 수증기가 태평양의 염분을 낮게하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1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