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인간이 달에 가려는 이유가 먼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현재 세계 각국이 경쟁적으로 달 탐사에 나서고 있는데 냉전시대에 이어 우주 강국들이 다시 달 개척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무엇보다 달에서의 우선권 확보와 화성으로의 진출 때문이라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태양은 에너지가 무한인가요? 아니면 서서히 식고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수명은 약 100억년. 현재 46억살 정도인 태양은 50억년 후 수소와 헬륨 등을 핵융합에 모두 소진하고 부풀면서 금성을 집어삼킬 만큼 큰 적색 거성(red giant)이 될거라고 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화학
23.02.07
0
0
개구리는 겨울을 어디서 견디나.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개구리 동면 장소에 대해 질문 주셨군요. 개구리는 10월경부터 유속이 느리고 수심이 깊은 곳에 있는 돌이나 바위 밑에서 동면을 시작합니다. 때로는 흙 밑으로 파고 들어가 동면 하는 경우도 있구요.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생물·생명
23.02.07
0
0
은행나무를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은행나무는 약 2억 년간 큰 변화(진화 등)가 없어 '살아있는 식물 화석'으로 불립니다. 특유의 부채꼴 모양 잎이 2억년 전이나 지금이나 거의 같으며 이는 과거 화석으로 검증 되었습니다. 이런 점을 활용해 지구가 지금보다 더 더웠던 때의 고대 기후를 파악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기도 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생물·생명
23.02.07
0
0
지구온난화가 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온난화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온실기체가 유력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온실기체로는 이산화탄소가 가장 대표적이며 인류의 산업화와 함께 그 양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메테인, 수증기가 대표적인 온실기체입니다. 이러한 온실기체는 태양으로부터 온 에너지만큼 우주로 에너지가 나가는 것을 방해하며 비닐하우스 같은 효과를 주어 지구온난화를 일으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지구는 왜 푸르게 보이나요? 달이나 별들은 하얗게 보이는데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파란 이유는 지구의 대기가 태양빛 중에서 단파장인 푸른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태양빛은 여러 파장으로 나눌 수 있고 그 중 한부분이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입니다. 가시광선은 빨주노초파남보 색깔로 나뉘게 되는데 빨간색은 상대적으로 파장이 길고, 파란색, 남색, 보라색으로 갈수록 파장이 짧습니다. 이에 대기는 상대적으로 짧은 푸른색의 빛들을 많이 산란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우리의 눈에는 푸른색이 비춰져 지구(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지진은 왜 생기는지 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이 일어나는 이유는 지구 내부와 연관이 있습니다.겉으로 보기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구 내부는 생각보다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지하수가 느리지만 끊임없이 흐르고 있고, 뜨거운 마그마가 흐르고 있습니다. 진한 액체 상태라 하며 맨틀은 아주 조금씩이지만 잠시도 멈추지 않고 움직여서 그 위에 떠 있는 지각에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이처럼 지구 내부의 변화는 평소에는 거의 느껴지지 않지만, 간혹 급격하게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 엄청난 힘과 에너지를 발생하며 바로 이 힘과 에너지가 땅으로 전달되어 지진을 일으키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어미새가 알을 품을 때 수분공급을 해주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알을 부화시킬때는 3가지 조건이 필요 합니다.-온도는 계란 부화 시 약 36~37도로 유지합니다.-위치이동 보통 인공 부화시 알을 굴리는데 자연에서는 어미가 알을 굴려주며 부화시킵니다.-질문에서 수분공급을 말씀하셨는데 알에 직접적인 수분공급이 아닌 습도 조절을 위해 수분 공급기를 사용합니다. 부화를 위한 적절한 습도는 약 50~60%가 적당하며 자연에서는 어미가 품는 과정에서 어미 피부를 통해 적당한 습도가 조절 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07
0
0
도도새라는 생물이 멸종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116세기 포르투갈의 선원들이 도도새의 서식지에 상륙하면서 이 섬은 향료 무역을 위한 중간 경유지가 되었다. 멸종이유:첫째. 도도새의 고기는 맛이 좋았으며 바로 잡이 먹을 수 있는 신선한 고기 였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선원들은 도도새를 사냥하여 잡아 먹었습니다.둘째. 네덜란드 인들이 이 섬을 죄수들의 유형지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죄수들과 함께 돼지와 원숭이들이 유입되었고 생쥐, 돼지 그리고 원숭이들은 바닥에 둥지를 트는 도도새의 알을 쉽게 잡아먹어 번식이 힘들어졌습니다.1681년에 마지막 새가 죽임을 당하며 멸종하게 되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07
0
0
흑인에게 곱슬머리가 많은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진화론적으로 보면 기후에 적응한 결과로 보고 있습니다.과거 흑인이 살던 아프리카 지역은 날씨가 덥고 특히 태양이 뜨거워 자외선으로부터 두피를 보호하기 위해 머리카락이 두꺼워지고 곱슬머리로 진화 했다고 합니다. 또 곱슬머리는 생머리에 비해 바람이 잘 통하여 체온을 닞추고 땀을 상대적으로 빨리 증발시켜주는 효과도 가지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07
0
0
37
38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