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나는 자연인이다 재방송 할때도 연예인들 출연료 지급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도 궁금해서 기사를 찾아봤는데요.재방송 출연료는 방송사마다 집계 기준이 좀 다르다. 지상파 3사의 경우 재방송은 기본 출연료의 20%, 삼방은 12%, 사방 이후는 10%가 나온다. 오전 1~6시 새벽 시간대는 3사 모두 7%로 같다. 케이블은 상황마다 다른데, 처음 출연할 때 재방송 출연료까지 한꺼번에 받기도 한다. 케이블에서 지상파 드라마를 재방송하면, 프로그램 복제권이라고 해서 그 금액의 일부를 배우들한테 준다. 아이피티브이에서는 무조건 출연료의 몇 %가 아니라, 일정 금액을 출연자들한테 나눠준다. 출연료 대비 몇 % 기준이다.출연료가 많을수록 재방송 출연료도 많은 건 당연하다. 하지만 재방송 출연료는 상한선이 있다. 출연료 1억원을 받는 배우한테 20%인 2000만원을 재방송 출연료로 줄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한국연기자방송노동조합과 지상파 3사가 정한 등급을 기준으로 한다. 성인은 최저 6등급에서 최고 18등급으로 나누는데, 18등급의 경우 회당 출연료는 200만원 가까이 된다. 재방송 출연료를 정산할 때는 모두 등급에 따라 정한다. 1억원을 받는 톱스타도 등급으로 따지면 최고인 18등급이기 때문에, 재방송 출연료는 200만원의 20%를 가져간다.그래서 재방송 출연료는 비중은 적더라도 여러 프로그램에 많이 나오는 조연 배우들이 더 쏠쏠하다. 재방송 출연료는 분기별로 1년에 총 4번이 나오기 때문에 때가 되면 통장에 찍히니 결혼한 배우들은 비상금으로 몰래 숨겨두기도 한다. 부인이나 가족들한테 재방송도 출연료가 있다는 걸 말하지 않는 게 보통이다.재방송은 각 방송사에서 받아서 한국 연기자방송노동조합에 지급하는데, 관계자들한테 출연료 통장이 아닌 다른 통장으로 넣어달라고 부탁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그러나 출연료 지급 통장 외에 다른 통장에 넣는 건 절대 안 된다는 게 관계자의 대답이다.여기서 팁 하나. 일반인도 재방송 출연료를 받을 수 있다. 한국방송실연자협회에 가입하면 된다. 반대로 연예인이라도 한국방송실연자협회에 가입되어 있지 않으면 받을 수 없다. 라고 나옵니다. 출처:https://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2603.html
학문 /
음악
23.01.02
0
0
탑과 부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는 탑은 부처님의 무덤, 부도는 스님들의 무덤으로 쓰입니다.자세한 내용<탑> 탑’이란 말은 인도의 옛말 스투파에서 유래되었는데, 그것을 졸도파, 수두파, 탑파 등으로 번역하여 쓰다가 줄여서 탑이라고 하게 되었다. 탑은 본래 부처님의 유골인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만들어진 건축물에서 비롯되었다.석가모니부처님께서 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에 드신후 다비(화장)를 하였는데, 그때 나온 사리를 인도의 여덟 나라에서 나누어 가져다가 각기 탑을 세우고 생전의 부처님처럼 모셨다고 한다.이것을 근본 8탑이라고 하는데, 말하자면 이때부터 사리신앙과 더불어 불탑이 세워지기 시작한 것이다. 그 후 약 100년이 지난 뒤 인도를 통일하고 제국을 건설한 마우리야왕조의 아쇼카왕이 이전에 세운 8개의 탑을 해체한 뒤 사리를 다시 8만4천으로 나누어 전국에 8만4천개의 사리탑을 세웠다고 한다.<부도>부도(浮屠)는 부두(浮頭), 불도(佛圖), 포도(蒲圖)등으로 다양하게 표기되기도 한다. 어원적으로는 부처님을 뜻하는 인도의 옛말 붓다(Buddha)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하고 탑을 뜻하는 스투파에서 나왔다고도 하여 정확하지가 않다. 다만 일반적으로 부도라고 하면 스님들의 사리를 모신 승탑을 의미한다.우리 나라에 불교가 들어온 뒤부터는 주검을 화장하여 그 유골을 거두는 장골(藏骨)이라는 불교식 장제가 널리 유행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부도가 건립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통일신라시대에 선종이 크게 일어남에 따라 스님들의 지위가 높아져 불탑처럼 스님의 부도도 많이 건립하게 되었다.부처님의 진신사리나 부처님을 상징하는 불경과 불상등 법신사리를 봉안한 불탑은 가람의 중심이 되는 곳에 건립하는 반면에 승탑인 부도는 사찰 주변의 호젓한 곳에 석비와 함께 조영되었다. 부도는 불탑과 구분하여 단층의 건물 모양을 하고 있으며 고려시대부터는 석등이 함께 조성되기도 하였다.
학문 /
미술
23.01.02
0
0
새해때 왜 떡국을 먹는건가요!? 유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옛부터 설날에 떡국을 먹어야 한살 더 먹는다고 생각 하지요.방앗간 지나가다가 가래떡 뽑는 전경을 보신적 있나요?시루에 찐 떡을 길게 늘려 뽑는 전경 말입니다.이유는 재산이나 행복 그리고 기쁨이 쭈욱쭈욱~ 늘어나듯이 좋은 의미를 가지고 떡을 뽑는 답니다. 떡을~~둥근 모양으로 써는 이유는~~옛날 화폐인 엽전의 모양과 같기에 재산이 풍족하기를 바라는 소망과, 보름달 처럼 환한 미소를 상기 시키기 위해 둥글게 썰어 왔답니다.꽃떡이나 꿀떡 처럼 화려하고 예쁜떡들도 많은데 볼 품없는 하얀 가래떡을 먹는 이유는 소박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새해를 맞이 한다는 조상들의 지혜가 엿 보이기도 하는 대목 일 것입니다. 이북 개성지방에서는 조랭이 떡국을 즐겼답니다. (조랭이 떡 아시죠?? 8자 모양)엣부터 나쁜 액을 쫓기 위해 달아 주었던 조롱나무를 닮았기에 새해 첫날 조랭이떡국을 먹음으로서 일년내내나쁜 기운을 막아 주십시요 하는 마음으로 먹기도 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1
0
0
조선시대에도 남자는 의무적으로 군대를 갔다 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남자 16세 이상 60세 미만까지 가는거고 1년에 2~6개월씩 가는 형식인데...근데 임진왜란 후에는 직업군인이 생겨서 군역 대신군포를 냈지만 농한기때는 양민들도 군사훈련을 했답니다
학문 /
역사
23.01.01
0
0
우리나라의 첫 올림픽출전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48년 7월 29일, 태극기를 앞세워 '코리아'라는 이름으로 제14회 런던 올림픽에 첫 출전.정항범을 단장으로 육상·역도·복싱·레슬링·사이클·축구·남자농구에 52명의 선수가 출전.역도 미들급 김성집, 올림픽 사상 첫 동메달로 올림픽 무대에서 태극기를 휘날리게 함.세계에서 명성 얻던 멕시코와 첫 축구경기,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5대 3으로 한국이 승리.
학문 /
역사
23.01.01
0
0
문재인 전대통령의 업적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재인 지지자들은 '문재인때 있었던 긍정적인 일들'을문재인의 업적으로 둔갑해서 도배를 많이 하더군요.그런식으로 평가를 하면 안되고,문재인 정부가 만든 정책 방향이--->이끌어낸 영향을 가지고 평가해야 합니다.이중 한반도 평화정책은 완전 실패로 끝났는데요.문재인은 내가 알기론 사상최초로 임기중에 국사교과서에 등장한 사람입니다.어떤 대통령도 자신을 임기중에 교과서에 이름올린적은 없었거든요.결과는 대실패.북한은 문재인을 '삶은 소대가리' 라고 조롱하며다시는 상종안하겠다고 했죠.그러든 말든 지금도 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에 대한 세뇌작업은 계속 되고 있는데이런것 빨리 끝장내야겠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1
0
0
귀납법과 연역법은 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역법은 일반적인 원리에서 시작해서 개별적인 사례로 갑니다.귀납법은 개별적인 사례에서 시작해서 일반적인 원리로 갑니다.순서가 반대입니다.연역법사람은 죽는다. (일반적인 원리)나는 사람이다. (개별적인 사례)따라서 나는 죽는다. (결론: 개별적인 사례에 일반적인 원리를 적용한 것)귀납법이순신은 죽었다. (개별적인 사례 1)세종대왕은 죽었다. (개별적인 사례 2)안중근은 죽었다. (개별적인 사례 3)사도세자는 죽었다. (개별적인 사례 4)윤동주는 죽었다. (개별적인 사례 5)이순신, 세종대왕, 안중근, 사도세자, 윤동주는 모두 사람이다. (개별적인 사례들의 공통점)따라서 사람은 죽는다. (결론: 개별적인 사례들의 공통점에서 추출한 일반적인 원리)
학문 /
역사
23.01.01
0
0
우리나라의 호랑이가 없어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호랑이의 마지막 기록은 1920년대 남한에서 포획된 것이다. 그 후 우리 숲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멸종의 결정적인 이유는 일제강점기에 실행된 생태계 파괴 정책, ‘해수구제사업’ 때문이다. ‘사람과 재산에 해를 끼치는 동물(해수)을 제거한다’는 명분으로 우리나라에서 호랑이의 자취를 없앴다.
학문 /
역사
23.01.01
0
0
조선시대에 제일 짧게 임기를 한 왕이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제12대 왕인 인종(仁宗)이 음력 1544년 11월 20일 즉위해서 1545년 7월 1일 승하해 가장 짧은 재위 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1
0
0
터키와 한국은 역사적으로 연결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적이유돌궐족:(突厥族)몽고 내몽고 상시성일대 유목민족 중앙이사아로 이동하여 현재 카자크스탄 키르키스탄 일대와 현재 터기 족으로 전래됨(돌궐 트르크 터키로 변화됨) 한국과 관계세월의 흐름에 따라 한국에서는 잊혀졌지만, 돌궐과 고구려의 동맹 이후로 터키는 한국을 형제의 나라라고 생각하고 있다. 터키가 한국 전쟁 때 대한민국을 지원하므로써, 한국에서 잊혀져 있던 터키는 다시 '형제의 나라'로 재조명받고 있습니다.아래지도는 수나라시대 지도인데 돌궐제국(현 몽고지역)이 고구려와 인접하였고 고구려가 수나라 당나라와 전쟁 당시동맹하여 당나라를 처부순 적이 있습니다 터키 말로 칸가르데쉬란 말이 있습니다 이말은 피를나눈형제란 말입니다한국전쟁 참전으로 칸가르데쉬 코리아라고 불려지게되었는데 이에 연유 합니다회교권특히 터키에서 가장흔히 사용하는단어 입니다 이들은 자신들에 이익에 관련된 사람이든 국가이면이 단어를자주 사용합니다 한국에도 일본에도 중국인에게 하는말입니다이말을 우리가 아전인수식 해석으로 천년전 돌궐과 고구려 돌궐과 발해란 역사를갖다 부처 해석한 우리잘못입니다터키와 한국은 지리적으로 역사적으로 인종적으로 전혀 다른 인과관계를갖고있습니다 터키의 한국전참전터키가 한국전에 참전한것은 공산주의 이념에대한 거부감이나 터키국내 문제 에 고민은 있었지만 가장큰 이유는첫째는 2차대전이후 설립된 국제연합의 회원국으로서 의무를 다한다는 대의 명분이 작용했고둘째는 터기 의 국제적입장을 확고히하는데 목적이 있었고세번째로 미국의 영향과 지원을 이용하여 키프르스문제와 쿠르드 난민에대한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수있었던 실익을 고려하여 참전한것입니다. 위의 내용에 대한 사례로터키는 한국전 참전으로 얻은 실익은 먼저 국경지대에 있는 2천5백만명의 쿠르드족 난민을 이라크 접경지대로 밀어내는데 미국의 엄호하에 밀어냈고 이라크의 불만을 미국이 억제시킨 사례와 미국으로부터 군사원조키프러스 영토 관활권 문제로 그리스와 내전이 일어났을때 미국의 엄청난 지원으로 이문제를 터키 입장에 유리하도록 유엔에서 조정하였습니다곧이은 1956년 수에즈 운하사태시 이집트를 침공한 영국 프랑스 편을 들어주어 그리스 입장을 곤욕스럽게 만들었고 이에 서방세계의 지원덕분에 힘입어 1974년 터키가 키프러스 침공시 서방여론은 오히려 그리스를 어렵게 한 터키의 외교적 노력 의댓가라고 할수있습니다.즉 혈맹이란 국익과 실리가 작용하여야 혈맹이지 이익이 없는 혈맹은 존재할수없는것이 엄연한 국제사회입니다터키도 마찬가지 입니다만 그래도 우리와 큰 충돌없이 지낸 이유는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저있고 이해가 상충되는 사안이 없었고 우리가 천년전의 고구려와 돌궐이란는 역사적 관점을 갖고 터기를 대접한결과 때문에 일어난 양국의 우호관계 입니다국제사회는냉엄합니다 3년전 미국방장관이 미군철수문제를통보하면서 한국에서 반미 주한미군철수운동 맥아더 동상 철거 등이 사회적 쟁점이 되자 럼스펠드장관이 이런말을 했습니다"6·25전쟁 때 전사한 미군 5만4000여 명의 희생으로 맺어진 혈맹에 대한 ‘특별대우’는 끝났다"이말은 국익이 전제되지않는이상 혈맹이란 단어는 국제사회에 존재 하지 않는다는것입니다한국과 터키관계는 충돌할 문제가 없습니다 지리적으로 떨어저 있습니다 상충되는현안 이 없습니다 한국이 터키를일방적으로 형제국이란생각하는이상 값싼 한국 제품 장기 저리로 구매하고 특히 방산 무기의 저렴한 공급으로 그들은 실익을 챙기고터키로썬 손해볼게없는 것입니다 칸가르데쉬란 말한마디로 양국 교역동향 ㅇ 한-터 양국간 교역은 90년이후 연평균 15%가 넘는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면서 97년에는 11억대의 교역량을 기록하엿으나 98년 터키 경제불황과 국내 IMF사태의 영향으로 양국간 수입수요가 냉각됨으로써 사상 처음으로 수출액이 감소되었음. ㅇ 이후 양국간 교역액은 2000년 12억불대까지 증가하였다가 2001년 터키 경제위기로 인해 교역액이 8억불 대로 급감한 후 2002년 다시 회복세로 돌아서 2003년에는 13억불 대를 넘어섰으며, 2004년도에는 23억불, 2005년도에는 29억불을 상회함.
학문 /
역사
23.01.01
0
0
199
200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