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일기예보는 왜 이렇게 안맞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기예보의 경우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하여 예측합니다. 각 지역에 풍향, 풍속, 강수량, 온도 등을 측정하는 관측장비가 있으며 여기서 관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모델링을 통해 비가 올지, 바람은 얼마나 어디로 불지, 온도는 어떻게 될지 예측을 합니다. 예측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온도, 습도, 풍향 등 다양한 변수를 담고 있는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어내어 해를 구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특정 시간에 어떤 상태일것이라는것을 예측하는것이죠. 또한 비구름의 이동 경로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도 대략적인 예측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예측이 완벽한 예측은 아닙니다. 모델링을 하였다 하더라도 현실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을 완전히 고려한것은 아니니까요. 또한 관측값을 통해 예측을 실시하기도하는데, 관측값이 온전한 값일 수도 없습니다. 관측에는 항상 오차나 오류가 존재하기 때문이죠. 이러한 이유로 완벽한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변수의 변화에 따라 확률이 급격히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30
0
0
차량 앞유리 바깥 습기제거는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습기가 맺히는 이유는 차량 내부와 차량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수증기의 열을 빼앗겨 습기로 나타나는 것입니다.습기를 없애기 위해서는 외부온도와 내부온도의 균형을 맞추거나 수증기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차량 내부에 습기가 발생하는 경우는 히터나 에어컨을 사용하여 쉽게 없앨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름철과 같이 수증기량이 많은 경우 차량 외부의 경우는 까다롭습니다. 외부의 에어컨을 틀어 외부의 수증기량을 낮출수가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히터를 사용하면 외부의 온도와 맞춰지기 때문에 어느정도 습기를 제거할 순있습니다. 또한, 습기방지제 같은 화학약품 처리를 사전에 하여 습기가 생기는것을 막을 수도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6.30
0
0
바닷가에 적조현상이일어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해수의 수온이 높아지고, 햇빛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바다 내의 영양분이 많아지게 됩니다. 그러면, 녹조류와 적조류, 플랑크톤의 증식이 활발해지면서 녹조, 적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죠. 보통 무더운 여름 8~10월 내에 녹조, 적조 현상이 잘 발생될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30
0
0
커피나 녹차를 마시면 왜 소변을 많이 보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분을 자주섭취하게 되면서 소변이 자주 마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커피의 경우 이뇨작용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소변이 자주 마려울 수 있습니다.커피의 카페인은 신장으로 가는 혈류량을 늘리고 항이뇨호르몬의 분비를 억제시킵니다. 그러면서 이뇨작용이 활발해져 소변이 마려운것이죠.
학문 /
화학
23.06.30
0
0
비온뒤에 해가 비추면 산등성이끝에 무지개를 볼수 있는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내린 뒤 대기중에는 수증기, 물이 가득 분포하여 습한 상태가됩니다.무지개는 햇빛이 수증기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이 물방울이 마치 프리즘 역할을 하여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것입니다. 이 분산된 빛이 빨간색파장부터 파란색 파장, 보라색 등 여러 색을 띠는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게되며 무지개가 형성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30
0
0
남극이나 북극애서도 땀이 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추운곳에서 움직여도 땀이 배출될 수 있습니다.항상성은 체온 유지, 체내 농도 유지, 체중 유지 등이 있습니다. 대표적인것은 체온 유지입니다. 우리의 체온은 36도씨 정도로 항상 유지되는 온도입니다. 우리가 움직이게 되면 몸 내부에서 열이 발생해 36도보다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이를 식히기 위해서 아무리 추운 지역에서도 땀을 배출하는 과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30
0
0
전자담배는 누가 처음 개발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담배의 최초의 발명은 1927년 조셉 로빈슨(John Joseph Robinson)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이분은 최초의 기화기를 만들었으며 전자담배의 시초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6.30
0
0
피곤할 때 눈이 충혈이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피곤할 때 눈이 충혈되는 이유는 눈의 피로도가 쌓여 눈의 휴식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피곤할 경우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게 되며 눈의 혈관이 확장되게 됩니다. 그러면서 혈액의 공급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충혈이 되는 것이죠. 또한, 모니터를 보거나 문서를 보는 등 눈의 피로도를 높이는 작업으로 인해 눈의 수분이 부족하면서 혈관이 확장되어 충혈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6.30
0
0
블랙홀이 되기 위해선 어느정도의 질량을 갖고 있는 항성이어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수백배가 되는 별의 죽음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여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별의 죽음으로 생기는 원리는, 거대한 별은 중력이 강합니다. 그래서 별이 살아 있을 때에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열이 발생돼 별의 자체적인 중력과 평형을 이루며 별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별이 죽게되면서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못하고 결국 자체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별이 붕괴하여 블랙홀이 되는것이죠.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면서 만들어진 블랙홀은 물질이 뭉쳐 자체적으로 강한 중력을 이길만한 열, 에너지를 만들지 못하고 붕괴되어 블랙홀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30
0
0
항성 즉 별은 중심부에서 어떻게 에너지가 방출되고 흡수된다는데 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별에서 빛(열)이 나는 이유는 핵융합 반응에 의한 것입니다.별은 주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빛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별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은 원자(원자핵) 2개가 더 큰 원자(원자핵)이 되는 반응입니다. 이 과정에서 반응전 원자(원자핵) 2개의 질량을 더하면 반응 후 원자(원자핵) 질량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는데, 반응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에너지(빛, 열)로 변한 것이죠. 이를 핵융합 반응이라고합니다. 이 때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은 E=mc^2을 통해 계산할 수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30
0
0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