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나침반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지구는 하나의 커다란 자석입니다. 북극은 s극 남극은 N극입니다. 그리고 나침반의 침은 자석으로 되어있으며 N극과 S극이 있습니다. 그래서 N극은 북극인 S극 에 끌려 침이 가르키는 것이죠.
학문 /
물리
23.06.25
0
0
신체는 36.5도인데 왜 30도만 돼도 더위를 느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 속의 온도는 36.5도 정도입니다. 하지만 피부 표면을 손으로 만져보면 아시겠지만 시원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즉, 우리 피부 표면의 온도는 36도 보다 훨씬 낮으며 외부와 닿아있기 때문에 낮은 온도로 존재합니다. 그리고 온도를 감지하는 온점은 피부 표면 살짝 아래에 위치하며 상대적인 온도를 감지합니다. 그래서 30도만 되어도 더움을 느끼는 이유는 피부표면의 온도가 30도보다 낮은 상태에서 외부온도 30도를 온점이 감지하기 때문에 덥다고 느낍니다. 더 잘 와닿은 예시로 목욕탕에서도 뜨거운 물에 있다가 미지근한 물에 들어가면 순간적으로 시원함을 느끼죠,
학문 /
화학
23.06.25
0
0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자역학은 원자단위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것입니다.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그런데 전자가 원자핵 주변에 어떤 형태로 어떻게 운동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싶다고 생각해보죠.흔히 잘 알고있는 예시로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를 설명하면 중력을 받아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고전역학입니다. 무거운 짐을 들기위해선 물체의 중력만큼의 힘이 필요하죠.하지만 원자세계에서는 원자핵 주변으로 전자가 있다를 기술하기 위해서는 중력, 만유인력으로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양자역학으로 설명이 가능하죠. 이에 대해서는 조금 더 상세히 이해하기 위해서 관측에 대해 이해를 해야합니다. 더 궁금하면 답변을 달아주세요.상대성 이론은 물체간 운동에 대해서(관찰자와 관찰 대상) 어떤식으로 물리 법칙을 기술하는지에 대항 이론입니다.예를들어 우리가 도로에 서있는 상황에서 달리는 차량을 보고 차량의 속도나 시간의 흐름을 기술하는 이론이죠.특수 상대성이론은 일정한 속력에 대한 운동을 기술한 것이고, 일반 상대성 이론은 가속운동을 하거나 중력과 같은 힘이 작용하는 상황에서 운동하는 것을 기술하는 이론이죠.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관측자를 기준으로 운동하는 물체의 시간은 시간이 느리게 흐르고 길이가 수축되는 효과를 얻습니다.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강한 곳이나 가속이 강한 곳에서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6.25
0
0
던지면 다시 되돌아오는 부메랑의 원리를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부메랑이 리턴하는것은 기체에서 베르누이 원리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베르누이 원리는 유속이 다른 두 유체가 있을 경우 빠른 속력을 가진 유체의 압력은 작고, 느린 속력의 유체는 압력이 큽니다. 부메랑을 자세히 보시면 비행기의 날개와 같이 한쪽면은 곡면을 그리고 있고 다른 면은 평평한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속력을 받게 되면 곡면 쪽 기체의 속력이 빨라져 압력이 낮아지고 평평한 쪽의 유속이 느려 압력이 높아집니다. 즉, 위로 힘을 받아(양력)을 받게 되어 부메랑이 뜰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부메랑의 날개의 모양이 휘어 있거나 날개가 여러개가 존재합니다. 이는 부메랑이 날아 가면서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힘을 받게 하기 위함입니다.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힘을 받게 되면 물체는 구심력을 받게되는것이고 원운동을하게 됩니다. 그래서 부메랑이 항상 제자리로 돌아오는 것이죠.
학문 /
물리
23.06.25
0
0
화성에서 총알을 쏘면 무한히 우주로 날아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성에도 기체(공기) 대기층이 있어 저항이 존재합니다. 또한, 공기저항이 없다한들 화성중력이 존재하여 우주로 영원히 날아갈 수는 없습니다. 화성의 탈출속도는 5km/s이며, 시속 18000km입니다. 이보다 빠르게쏴야 우주로 영원히 날아갈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1
0
0
바닷물은 왜 파란색으로 보이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이 푸른 이유는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의 빛은 투과가 잘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의 빛이 산란이 잘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산란은 물 분자와 빛과의 상호작용으로 빛의 경로가 뒤틀리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파란 빛이 물 분자에 산란되어 여기저기 튀다가 수면밖으로 나와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바닷물이 파랗게 보이는 것이죠.또한, 바다의 깊이에 따라 푸른 색이 미묘하게 달라집니다. 바다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짙은 파란색이 됩니다. 또한, 해수면에나 바다 속 생물의 영향도 받습니다. 해수에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등이 존재하는데, 수심이 얕은 곳에서부터 깊은 곳까지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순으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요인에 의해 바다의 색이 달라질 수 있죠.
학문 /
생물·생명
23.06.08
0
0
지구에서는 왜 달에 같은면만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의 한 면만 보이는 이유는 달의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즉, 달이 지구 주위를 한 바퀴 돌 때, 달 스스로 자전하며 한 바퀴 돌기 때문이죠. 그래서 우리는 달의 한면만 볼 수 있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08
0
0
봉지과자들을 질소 포장을 하는 과학적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소로 과자 봉지를 채우는 이유는 과자의 부패(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과자가 상하거나 하는 것은 공기중의 산소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질소로 채우게 되면 산소가 거의 없어지기 때문에 과자가 상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질소는 음식물이나 다른 물질과 반응을 거의 안하기 때문이기도 하며, 공기 중 대부분이 질소라 구하기도 어렵지 않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3.05.16
0
0
이제 우리나라도 지진안전 지대가 아닌가요?
네,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닙니다. 지진의 원인은 판의 경계부에서 충돌(수렴), 발산하는 등 판의 운동에 의해 나타납니다.그런데, 우리나라는 판의 경계부와 근접해 있기 때문에 지진의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안전지대는 아닙니다. 물론 일본이나 다른 나라에서의 지진의 빈도나 규모에 비해 약하지만 그래도 지진의 피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16
0
0
화이트홀 근처에 가면 무슨일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이트홀의 경우 블랙홀과 반대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모든 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입니다. 다만 이는 수학적이고 이론적인 현상이며 관측된 현상은 아닙니다. 모든 물질이 외부로 방출되기때문에 빛조차 화이트홀로 갈 수 없으며 모든 물질이 나오는 곳이라 하얗게 보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11
0
0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