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기내식을 맛없게 느끼는게 기내 상황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내식은 기내에 탑승하는 승객을 대상으로 대접하는 음식으로 건강을 신경쓴 음식입니다. 그래서 간이 강하거나 자극적이지 않기 때문에 맛없게 느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2.07
0
0
이뉴잇족의 집인 이글루는 연료가 필요없이 지낼 수 있다고 하는데 어떤 과학적 원리로 집을 짓고 생활을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글루는 얼음, 눈으로 만들어진 집입니다. 얼음이나 눈은 굉장히 좋은 단열재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내부의 몇몇 사람만 있어도, 사람의 열기로 금새 따뜻해집니다. 또한, 이글루 벽은 얼음이기 때문에 물을 뿌리면 물이 얼어붙으면서 열을 발산하기 때문에 따뜻해질 수 있죠.이글루의 벽이 얼음이라 차가워 보이지만 이글루의 외부의 냉기가 이글루로 들어오지 못합니다. 그래서 내부의 온도를 따뜻하게만 만들어 줄 수 있으며,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나가지 않고 보존되 따뜻하게 하룻밤을 보낼 수 있죠. 또한, 이글루의 벽은 얼음이기 때문에 얼음에 물을 조금씩 묻혀주면 물이 얼음이 되면서 열을 방출하는데, 이러한 열로도 따뜻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7
0
0
우리나라 전통가옥의 난방방식인 온돌은 어떤 과학적인 원리에 의해서 만들어졌고, 난방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전통가옥의 경우 아궁이에서 불을 떼면 열기가 집안 바닥을 지나게 됩니다. 이때 바닥에 놓인 돌이 뜨겁게 달궈지면서 난방이 되는 것이죠. 그리고 열기나 연기가 나가는 통로는 집 밖으로 연결되어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단시간 빠르게 데울 수 있고 열기를 가둬 두게 되면 어느정도 긴 시간 보존됩니다. 하지만 현재 난방에 사용하는 물을 데우는 것보다는 장시간 지속되진 않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7
0
0
사해바다에서 그냥 물에 뜨는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에 의해 밀도(부피당 질량)가 큰 물질과 밀도가 작은 물질이 있을 때 밀도가 큰 물질이 가라앉고 밀도가 작은 물질이 뜨게됩니다. 사해같은 경우에는 바닷속 염분의 농도가 다른 바다에 비해 굉장히 높습니다. 그리고 염분의 농도가 높아지게되면 사람의 밀도보다 크게되죠. 사해의 경우 일반바다의 밀도인 1 정도보다 20퍼센트나 큰 1.25정도 됩니다. 사람의 밀도는 보통 1보다 작습니다. 그래서 사해보다 사람의 밀도가 작기 때문에 몸이 둥둥 뜨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털이 일정 길이까지만 자라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마다 머리카락이나 눈썹 등의 털이 자라나는 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털이 자랄 수 있는 길이 또한 다르고요. 털은 특정 길이가 되면 더 자라나지 않고 자연스럽게 빠지게 됩니다. 그래서 특정 길이까지만 자라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07
0
0
구의 총질량 마지막 단계에서 막혔는데 답변바래요 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a^3으로 나누실 때 (2.6)^3 부분에 a^3이 없습니다. 그래서 나누지 말고 전개해보시길 바랍니다.첫 항 전개시 4pi/3 (2.6)^3 (4.70)-4pi/3 a^3 (4.70)+4pi/3 a^3(1.23) 이런 식으로 전개됩니다.여기서 a^3으로 나눈다면 젤 앞 항이 4pi/3 (2.6)^3 (4.70)/a^3 이 되죠.
학문 /
화학공학
23.02.07
0
0
튀르키예 지진 미리 알수 있는 방법은 없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 전조 증상은 지하수의 수위, 수온, 냄새, 라돈 함유량 등의 변화와 가스의 분출 유무, 지진계, 지진파를 통해 모니터링 함으로써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지역적으로 전조 증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지는 않기 때문에 사실 상 100퍼센트 대처하긴 어렵다고 볼 순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블랙아이스가 영상 1~5도 사이에 생길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영상의 온도에서는 얼음이 얼지 않기 때문에 블랙아이스는 생길 수 없습니다. 다만 새벽에 영하의 기온으로 얼어있던 얼음이 영상의 기온이 되면서 차차 녹으며 더욱 미끌거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새벽 영하의 온도에서 영상의 온도로 넘어갔을 경우 굉장히 위험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무선충전은 무슨 원리로 충전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휴대폰에 코일을 내장시켜두고, 무선 충전기에도 코일을 내장시켜둡니다. 이 때 무선 충전기에 코드를 꼽고 전압을 걸어주면 무선 충전기 내에 있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우리는 교류 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코일에 흐르는 전류 또한 수시로 변화합니다. 그런데, 코일이나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주변에 자기장을 만들어 냅니다. 즉, 전자석이 되는것이죠. 그리고 전류가 수시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자기장 또한 변화합니다. 그래서 휴대폰을 무선충전기에 가져다 대면 무선 충전기의 자기장 변화로 휴대폰의 코일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것이죠. 그리고 이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베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3.02.07
0
0
분,시간,초 중에서 분과 초가 60 단위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시간의 단위가 60인 이유는 역사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과거 고대 수메르인들이 60진법을 사용하였으며, 분과 시간을 60단위로 쪼개 계산하였기 때문입니다. 왜 60진법이었냐라는 궁금증이 또 생기실 수 있습니다. 우리의 손가락을 보시면 10개로 10까지 밖에 못세지만 손가라의 마디까지 사용하면 3마디씩 10개 쥐었다 펼 수 있으므로 60까지 셀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대 수메르인들은 60진법을 사용하였죠.
학문 /
생물·생명
23.02.07
0
0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