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습도계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습도계의 원리는 흡습성이 좋은 물질에 대해 습도에 따라 특정 물리량이 변화함을 이용해 습도를 측정해냅니다. 그래서 습도계의 종류는 굉장히 많습니다. 간단한 예시로 흡습성이 좋은 물질은 주변의 습도에 따라 흡수하는 수분의 함량이 결정됩니다. 이를 통해 흡습제의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여 습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습도에 따라 전기저항, 부피, 압력, 길이 등이 변화함에 따라 습도를 파악해주는 습도계가 존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09
0
0
모든 에너지를 반사하는 물질이 있다면 우리 눈에는 어떻게 보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빛(에너지)을 반사하는 물질이 있다면 하얗게 보일 것입니다. 모든 빛이 반사되면서 합성이되면 하얗게 보이기 때문이죠. 그리고 상대성 이론에서 블랙홀을 기술할 때 수학적인 해로 모든 물질이 나오는 해가 있는데 이를 화이트홀이라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지구에서 지금까지 가장 강력했거나 앞으로 가장 강력한 화산폭발은 무엇이고 위력은 어느 정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강력했던 화산은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한 토바화산이 있습니다. 학계에서는 가장 강력했던 화산으로 두고 있죠. 하지만 앞으로 더 강한 화산 폭발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으며, 그렇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미래는 정확하게 모르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빅뱅 우주론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의 우주는 빅뱅 이론에 의하면 한점에서 폭발하여 생겨났다는 이론입니다. 빅뱅 폭발로 우리 우주가 만들어 졌다는 이론으로 한점에서 고온 고밀도의 고에너지가 사방으로 퍼져 서서히 식으면서 별, 행성 등 다양한 천체들이 생겨났다는 이론입니다. 그리고 빅뱅폭발 후 현재의 우주는 팽창하고 있습니다. 우리 우주가 계속해서 팽창 할지, 아니면 팽창을 멈추고 평탄한 우주가 될지, 팽창을 멈추고 수축을 시작할지는 아직 연구중에 있으며 어떤 우주가 될지는 미지합니다. 현재 우주는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기 전인 변곡점에 걸쳐 있는것으로 연구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물질과 빛의 양의 밀도를 계산하여 우주가 팽창할것이라 추정도하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의 양의 정도에 따라 우주가 어떻게 변할지 바뀔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직은 미지의 영역이고 앞으로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를 연구하여 밝혀냄으로써 우주의 미래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우박이 생기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 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그런데, 우박이 어느정도 크기를 가지고 떨어져야하는데,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게 되면 떨어지다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주변 수증기를 머금어 크기가 더 커지게 됩니다. 이를 반복하다 더이상은 상승기류가 우박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할 때 떨어지게 되는 것이죠. 즉, 상승기류의 세기와 수증기량이 우박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풍선에 테이프를 붙이고 바늘로 찔렀을때 풍선이 터지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풍선은 고무로 되어있으며 늘어나면 수축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풍선을 분 상태에서 바늘로 구멍을 내게되면 그 주변으로 풍선이 수축하려하기 때문에 구멍의 크기는 순간적으로 커지게됩니다. 그래서 펑하면서 큰 구멍을 만들면서 터지게 되는 것이죠.
학문 /
물리
23.01.09
0
0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동물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광합성을 하는 동물도 있습니다. 엘리지아 클로로티카라는 동물은 민숭달팽이 종류로 광합성을 한다고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1.09
0
0
수증기는 100% 순수한 물이라고 보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물을 가열하게 될 경우 99%이상의 H2O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100%물일 순 없습니다. 기체나 다른 물질이 조금이라도 섞여있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1.09
0
0
혜성이 대기권을 지나면서 왜 타오르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혜성의 경우 태양을 기준으로 궤도운동을 하는 천체입니다. 혜성은 꼬리를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는데, 혜성을 차가운 얼음덩어리이며 가스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혜성이 태양 근처를 지나게 되면 열에의해 녹아 가스가 더욱 많이 분출되거나 얼어있던 물질이 액체나 기체가 되어 꼬리가 됩니다. 혜성이나 다른 우주의 물질이 지구에 떨어질 경우 지구에 존재하는 대기(산소, 수소, 질소, 헬륨 등등)와 부딪히며 마찰이 가해집니다. 이 때 마찰열에 의해 물질이 뜨거워지며 타버리는 것이죠. 이러한 예시로 별똥별이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하늘에서 내리는 눈의 종류가 어떤게 있고 어떻게 다르게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은 구름 내에서 수증기가 물이되고 작은 물 알갱이가 얼게 됩니다. 이 작은 눈 알갱이는 주변의 수증기나 물이 달라붙어 그 크기가 커져 눈이 됩니다.눈의 종류는 함박눈, 진눈깨비, 싸락눈, 가루눈 등등이 있습니다.함박눈은 크기가 큰 눈이며 보통 영하 15도 정도에서 내립니다. 진눈깨비는 크기가 작고 비와 함께 내리는 눈입니다. 싸락눈은 백색의 불투명한 얼음 알갱이로 영하 30도 정도에서 내립니다. 가루눈은 말그대로 가루처럼 내리는 눈을 의미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