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정전기 생기는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습도가 낮을 수록 잘 발생합니다.우리몸에는 미세한 전류가 흐르고 있습니다. 이 전류는 전자(-)의 이동으로 만들어지죠. 이 말은 우리 몸에 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전자가 문 손잡이, 철판, 철 등으로 이동할 때 정전기가 발생하죠.그런데 습도가 높을 때에는 정전기가 덜 발생합니다. 습도가 높으면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많다는 의미이고, 또 이 물 분자는 +, - 극을 가지고 있어서 전자를 잘 끌어당겨 우리 몸을 중성으로 만들죠. 그래서 습한 여름에는 정전기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반대로 건조한 겨울에는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없고 우리 몸에는 전자(-)가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잘일어납니다.정리해서 습도로 기준잡으면 습도가 60%이상일 경우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습도가 30%이하이면 정전기가 잘 발생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06
0
0
추운 날씨에 배터리는 방전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베터리, 건전지는 화학 전지로 내부에 전해액 성분이 존재합니다. 이는 전해질 역할로 +, -극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전압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건전지로 전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전해액은 전류를 만들어내면서 점점 에너지를 잃게되며 방전이 됩니다. 하지만 추운날의 경우 전해액이 굳게 되는데, 전해액이 굳어짐으로써 원래 낼 수 있는 효율을 다 내지 못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일부 굳은 전해액은 극성을 띠어도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죠. 그래서 추운날에는 배터리의 방전이 빠릅니다.
학문 /
화학
23.01.06
0
0
블루투스는 어떻게 작동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루투스는 2402~248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총 79개의 채널을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이러한 고주파를 저전력 전파로 발생시켜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하게 합니다. 이 때 79개의 채널을 1초당 1600번 전송하는데, 패턴을 다르게 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와 간섭을 최소화 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06
0
0
무선충전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선 충전기는 베터리를 충전시킬때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충전시킵니다. 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휴대폰에 코일을 내장시켜두고, 무선 충전기에도 코일을 내장시켜둡니다. 이 때 무선 충전기에 코드를 꼽고 전압을 걸어주면 무선 충전기 내에 있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우리는 교류 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코일에 흐르는 전류 또한 수시로 변화합니다. 그런데, 코일이나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주변에 자기장을 만들어 냅니다. 즉, 전자석이 되는것이죠. 그리고 전류가 수시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자기장 또한 변화합니다. 그래서 휴대폰을 무선충전기에 가져다 대면 무선 충전기의 자기장 변화로 휴대폰의 코일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것이죠. 그리고 이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베터리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06
0
0
얼음이 언 곳에 혀를 갖다 대면 혀와 얼음이 붙는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주 차가운 얼음에 손이나 혀를 대면 달라 붙는 경우가 있는데요. 혀에 있는 수분과 우리 손에 있는 수분이 순간적으로 얇게 얼어서 달라 붙는 현상이 일어나는것입니다. 손에 물기가 없어도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증기방울이 우리 몸에 달라 붙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수분이 아예 없는 상태라도 손의 열기가 얼음을 만질때 얼음의 표면을 조금 녹게하는데, 얼음이 매우 차가우면 녹은 얼음이 다시 얼게되어 손과 얼음이 달라 붙는 것이죠.
학문 /
물리
23.01.06
0
0
막걸 리 마시면 트름을 나오는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막걸리나 맥주 탄산음료에는 탄산이 함유되어이있습니다. 탄산을 마시면 위속에서 이산화탄소 기체가 발생하는데 이 또한 같은 원리로 이산화탄소가 배출 가스가 발생되면서 위를 채워 트름이 나오게 되는것이죠.
학문 /
화학
23.01.06
0
0
우주밖 평균 온도가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평균온도는 2.726K입니다. ℃로 환산하면 -270.43℃입니다.그래서 우주에 맨몸으로 나가면 순식간에 얼 수 있습니다.우주의 온도가 낮은 이유는 우주의 공간은 대부분 빈 공간이고 물질, 가스가 희박하기 때문입니다.물리적으로 온도라는 것은 입자, 분도의 평균 운동에너지(운동의 활발성)입니다. 운동 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온도를 수치화하여 약속하였습니다. 즉, 입자가 정확하게 멈춰 있으면(정지해 있으면) 0K(-273도씨) 입니다. 우리 우주는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자들은 운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빈공간이 많고 물질이 거의 없기 때문에 평균적인 운동 에너지를 계산해서 온도로 환산해보면 대략 2.726K입니다. 그래서 우주에 맨몸으로 나가면 순식간에 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5
0
0
별마다 빛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별(태양 등)에서 빛(열)이 나는 이유는 핵융합 반응에 의한 것입니다.태양은 별 중에 하나로, 별은 주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빛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별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은 원자(원자핵) 2개가 더 큰 원자(원자핵)이 되는 반응입니다. 이 과정에서 반응전 원자(원자핵) 2개의 질량을 더하면 반응 후 원자(원자핵) 질량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는데, 반응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에너지(빛, 열)로 변한 것이죠.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합니다. 이 때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은 E=mc^2을 통해 계산할 수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5
0
0
운석이 바다에 떨어진다면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운석에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커다란 운석이 바다에 떨어지면 큰 해일과 지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충격파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참고로 300km~500km 정도의 소행성이 떨어지면 지구의 생명체가 멸종할 수 있다고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5
0
0
전구에 원리는 무엇인가요? 어떤 과학적 원리로 불빛이 생기고 유지되게 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구의 원리는 전구 내에 있는 필라멘트에 전류가 흐르면서 필라멘트의 저항 때문에 마찰열과 빛이 발산되며 전구가 불빛이 생기는 원리입니다. 빛이 발하는 이유는 마찰열에 의해 높아진 온도 때문에 물체에서 빛이 나오는 현상입니다. 마치 나무에 불을 붙였을 때 나무가 타면서 빛을 발하는 현상과 같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05
0
0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