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과자 질소 포장은 왜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소는 대기중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원소이며, 반응성이 굉장히 낮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과자 포장이나 음식 포장에 질소를 사용하며 부패하거나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죠. 이 때 부패나 상하는 것은 산소가 존재하기 때문이며, 질소를 가득채움으로써 산소와 음식물의 접촉을 차단해 보존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2.30
0
0
UFO는 정말 있는걸까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한다고 보고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30
0
0
현장화재에 파이어볼이라는 것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파이어볼은 일시적인 폭발을 일으켜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파이어볼을 화재가 발생한 지역에 던지게 되면, 파이어볼이 터지면서 주변에 충격파를 만들어냅니다. 이 충격파가 공기의 밀도를 급격히 낮춰 산소를 제거하게 되는데, 산소가 제거됨으로써 화재가 번짐을 막고 화재를 잔잔하게 하며 제거할 수 있죠.
학문 /
화학
22.12.30
0
0
과학적 이론상으로 공간이동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순간이동이란 먼거리를 짧은 시간에 이동하는 기술입니다.이를 가능하게 하려면 기존의 속도보다 굉장히 빠른 이동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빛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이동을 하여 순식간에 이동을 하는 것이죠. 하지만 아직 사람이나 큰 물체를 빛의 속도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기술은 없습니다. 나사에서는 빛의 속도에 근접하게 낼 수 있는 엔진을 개발중이라고 합니다.다른 방법으로는 사람이나 물체의 입자구조, 배열, 구성 요소 등의 정보를 파악해 정보를 전달하여 똑같은 모습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모든 물질은 전자, 쿼크(쿼크로 이루어진 양성자, 중성자), 빛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입자들에 대해 구성하는 종류와 존재 위치, 배열, 간격 등 정보를 치밀하게 파악하여 전달한 뒤 똑같은 물체를 복제하듯이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그러면 순간이동을 한 셈이죠. 하지만 문제가 생깁니다. 이것이 정말 순간이동하기 전의 물체와 똑같은 것인지 아니면 다른 존재인지에 대한 문제가 생기죠.또 다른 방법으로는 웜홀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웜홀은 상대성이 이론에서 나온 이론적인 것으로 관측하지 못한 존재입니다. 우리가 살고있는 공간에서 먼거리를 짧게 이어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그래서 먼거리를 아주 단시간에 이동이 가능하죠. 하지만 웜홀이 존재한다면 불안정하고 금방 소멸된다고 하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이동이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30
0
0
달이 없어지면 밀물 썰물 없어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달의 만유인력은 밀물 썰물에 영향을 줍니다. 게다가, 태양의 만유인력으로 인해 밀물썰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만약 달이 사라진다면, 밀물 썰물의 영향이 달이 있을 때에 비해 약하지만, 여전히 태양이 있기 때문에 밀물썰물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30
0
0
에어프라이기는 왜 음식이 말라버리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프라이기는 뜨거운 열기를 사용하여 음식을 익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에어프라이기 내부에서 뜨거운 공기를 순환시키며 음식을 익히는 것이죠. 이 뜨거운 열기에는 수분이 없으며, 음식물에 있는 수분을 가열해 증발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에어프라이기로 음식을 하면 음식의 수분이 증발해 건조하게 말라버리게 되죠.
학문 /
화학
22.12.30
0
0
거미는 왜 곤충이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거미가 곤충이 아닌 이유는 다리가 4쌍 즉, 8개 이기 때문입니다. 곤충의 경우 다리가 3쌍으로 6개의 다리를 가진 동물을 분류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30
0
0
동물들의 울음소리는 왜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를 결정짓는 요소는 기관지의 모양, 목젖의 유무, 성대의 두께와 크기 등이 있습니다. 또한 입모양을 어떤식으로 움직이냐에 따라 소리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즉, 이러한 요소들이 조금이라도 다르면 다른 소리가 나옵니다. 고양이, 강아지, 새, 사자, 호랑이 등은 모두 소리를 결정짓는 요소가 다 다릅니다. 그래서 각자 특정 주파수 대의 소리나 특유의 소리가 나오는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2.30
0
0
안경세척기계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음파 세척기의 경우 초음파를 발생시켜 매우 빠른 진동을 가하는 원리입니다. 보통 초음파 세척기에 사용되는 진동수는 25kHz 이상으로 1초에 2만 5천번 진동시킵니다. 보통 물에 알코올을 희석한 용액을 사용하며, 여기에 안경을 넣어 작동시킵니다. 그러면 용액이 진동하면서 안경 틈새에 이물질을 튕겨내 제거하며 세균도 박멸시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2.30
0
0
계절마다 해가 뜨고 지는 시간이 달라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마다 해가 뜨고 지는 시간이 다른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지구가 공전하면서 우리나라가 어느 위치에 있냐에 따라 해가 뜨고 지는 시간이 달라지는 것입니다.이는 그림으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여름의 경우이며, 초록색은 우리나라, 노락색은 해가 비치는 부분이고, 회색 점선은 우리나라가 지구 자전에 따라 이동하는 경로입니다. 이 때 흰색 부분을 지날 때보다, 노란색 부분(해가 비치는 부분)을 지날 때의 길이가 긴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이것이 해가 떠있는 시간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겨울의 경우는 태양이 반대 편에 위치하여 반대의 경우이고, 해가 여름보다 짧게 떠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30
0
0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