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왼손잡이 부모님 사이에서 오른손잡이 아들이 태어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충분히 가능합니다.왼손 잡이, 오른손 잡이는 선천적인 확률적으로도 가능하며, 후천적으로도 바꿀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30
0
0
ANTIFRAGILE의 과학적 해석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다결정 물질의 경우 잘 쪼개지게된다면 단결정과 단결정으로 분해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단결정이 다결정보다 깨지기 어렵기 때문에 깨짐으로써 강해지는 물질이 되는 경우가 되겠습니다. 극단적인 예시로 다이아몬드를 모아 물에 넣어 얼음으로 얼렸다고 생각하면, 이 자체로는 깨지기 쉬우나, 깨진 뒤 파편이 다이아몬드일 경우 더욱 강한 상태가 된 것이죠.
학문 /
물리
22.11.30
0
0
도심에서 별이 안보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도심지에서는 도시의 빛 때문에 잘 안보입니다. 또한 매연이나 미세먼지에 의해 안보일 수 있습니다. 도시는 아파트, 가로등 등 여러 빛이 존재해 많은 별 빛을 보는데 지장이 됩니다. 물론 매연이나 미세먼지가 많이 낀 날에는 별 빛이 잘 안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요인보다 도심의 빛에 의해 안보이는 영향력이 더 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30
0
0
달 근처의 별은 목성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목성이 맞습니다. 목성과 화성을 하늘에서 육안으로 쉽게 관측할 수 있습니다. 주황, 노란 빛의 별이며 목성이 좀 더 밝습니다. 과거부터 잘 보였으며, 태양 지구 목성, 화성 순의 위상일 경우 밤하늘에서 관측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30
0
0
생명의 탄생 죽음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살아가는 것은 생장하고 생명 활동(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죽음은 생장을 못하며 생명활동을 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죠. 생명 활동으로는 호흡, 운동 등을 포함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30
0
0
뜨거운 음식을 냉장고 넣을때 식혀넣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유리나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 급격한 온도 변화가 일어나면 깨지거나 금이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질의 경우 차가운 곳에서는 수축하며, 뜨거운 곳에서는 팽창합니다. 뜨거운 음식이 담긴 용기는 팽창된 상태인데, 찬 냉장고에 들어가면서 갑자기 수축이 일어나며 균열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30
0
0
비행기에 들어간 생명과학 요소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의 날개, 새의 부리, 새의 체형 등을 모방하여 만들었습니다. 물론 물리적인 요소가 더욱 많긴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30
0
0
햇볕을 장시간 못보다 밝은 곳으로 나오면 왜 눈을 가려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의 눈은 어두운 곳에서 잘 보려고 하기 때문에 동공이 확장되며, 밝은 곳에선 빛의 양을 줄이기 위해 동공이 축소되게끔 진화해 왔습니다.태양 빛은 시신경에 강한 자극을 주고, 자외선에 의해 세포가 파괴될 위험도 있으며, 열에 의해 손상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계속 강제적으로 쳐다보면 실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신경을 보호하기 위해 밝은 곳에서 동공이 축소되며, 눈을 감는 무조건 반사가 일어나게 됩니다. 즉, 눈을 보호하기 위한 반응이죠.어두운 곳에서 장시간 있을 경우 동공이 확장된 채로 약간 굳을 수 있습니다. 밝은 빛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갑자기 밝은 빛을 보게 되어도 동공이 축소가 안될 수 있죠. 그래서 눈을 잠시 가려주는 것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11.30
0
0
입김은 왜 추운날에만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질문자님 예상이 맞습니다. 추운날에 입김이 보이는 이유는 입에서 나오는 수증기가 차가운 공기와 만나 물이되면서 입김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1.30
0
0
체감온도는 어떻게 측정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체감온도는 평균적인 사람의 외 피부 온도를 기준으로 환경의 온도와의 차이를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하지만 질문자님 생각대로 사람마다 충분히 다를 수 있으며, 뉴스에서 말하는 체감온도가 정확한 기준이 되진 않습니다.
학문 /
화학
22.11.30
0
0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