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비행기가 지나간 뒤에는 구름처럼 왜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운은 하늘에 차가운 공기가 비행기 엔진을 통과하면서 만들어 집니다.일반 여객기에도 비행기 엔진이 있기 때문에 비행운이 만들어집니다.찬공기가 비행기 엔진을 통과하면서 비행기 엔진의 뜨거운 열기와 마주합니다. 그리고 엔진을 통과하며 찬공기의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이 배출되면서 구름과 같이 만들어 지는데 이를 비행운이라고합니다.또한 비행운은 습도가 높은 날에 잘 나타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30
0
0
지구 둥근모양을 하고있는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를 포함하여 거대한 천체와 같이 질량을 가진 물질은 만유인력(중력)을 온 공간에 균등하게 작용시킵니다. 그래서 중력으로인해 뭉친 물질이 구형으로 뭉치게 되는 것이죠. 또한, 찌그러진 모양으로 뭉쳤다 하더라도, 오목한 부분에서 중력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뾰족한 부분보다 오목한 부분으로 물질이 들러붙습니다. 그래서 결국 구형을 이루게 되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30
0
0
김치는 어떤 원리로 유산균이 만들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김치에는 효소가 있는데, 이 효소가 김치 내에 있는 물질을 먹고 소화를 시키며 발효된 김치를 만들죠. 이 때 이 효소가 유산균입니다. 유산균은 증식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유산균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30
0
0
지하수는 어딜 파나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무곳에나 있는것은 아닙니다. 지표면 밑에 지하수가 이동하는 길, 통로가 있으며 이를 따라 지하수가 이동하기 때문에 아무위치나 선정하여 땅을 파신다고 지하수가 발견되는것은 아닙니다. 지하수는 지표면 아래에 있는 물로 지상에서 물이 스며들거나, 산에서 흐르는 물이 스며들거나, 강에 일부에서 스며들어 생겨날 수 있습니다. 즉, 지하수의 공급지가 있기 때문에 지하수가 지표면으로 솟아 오를 수 있습니다. 특히, 물의 공급이 원활한 곳에서 지하수가 솟구치며, 대부분은 땅속에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30
0
0
골반 불균형이 달리기 할때 더 강한 추진력을 일으킬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추진력이 강해질 수 있지만,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달리는데 있어 힘의 균형이 깨져 몸에 무리가 발생하거나 방향성에 있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11.30
0
0
자기부상열차는 어떻게 이동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기부상열차는 자석의 극을 이용해 끌어당기거나 미는 힘을 작용해 가속, 감속을 하는 것입니다. 이때 단순히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전자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자성을 갖게 만드는 것이죠. 또는, 초전도체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자석은 같은 극 끼리 밀어내고 다른 극 끼리 잡아당깁니다. 이를 이용한 원리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1.30
0
0
사람은 왜 소화가 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소화액에 의해 소화되지 않는 이유는 위장이나 장 내에는 소화액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막이 있으며, 다른 분미물을 분비해 중화시킴으로써 소화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만약 우리가 다른 동물에게 먹히게 된다면 소화될 수 있습니다. 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위액에 의해 화학적 소화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30
0
0
날씨가 갑자기 추워진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는 이유는 기단의 영향 때문입니다. 비가 올 경우 찬 기단과 따뜻한 기단이 만나면서 비가 내릴 수 있는데, 비가 내리고 난 후 찬기단이 우리나라를 점유하며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11.30
0
0
인간과 컴퓨터의 결합 언제쯤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상상의 기술이며, 현실화가 되기에는 이른 감이 있습니다. 또한, 당장 인간과 컴퓨터의 결합이 일어나면 많은 이점도 있지만 많은 문제점도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언제라고는 감히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학문 /
전기·전자
22.11.30
0
0
목소리를 변형시키는 가스는 어떤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습니다. 가볍죠. 그래서 헬륨을 주입한 풍선은 둥둥 잘 뜨는것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헬륨가스를 먹게되면 폐에 헬륨이 차게되는데, 헬륨은 체내로 흡수되지않고 입 밖으로 다시 나옵니다. 그리고 우리가 말을 하거나 소리를 내는것은 성대의 진동에 의해나는것입니다. 그런데 평소 공기를 마시고 공기가 입 밖으로 나오면서 성대를 진동시켜 목소리를 내는데, 헬륨을 마시게 되면 헬륨이 우리의 성대를 떨리게합니다. 헬륨은 공기보다 가벼워 성대를 지나는 속력도 공기에 비해 훨씬 빠릅니다. 그래서 헬륨을 마셨을때 성대가 더 빨리 진동하게 되는것이고 빨라진 진동수는 높은 소리를 나게 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1.30
0
0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