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기압 관련해서 궁금한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이나 고지대에서는 공기의 기압(압력)이 떨어집니다. 압력이 감소하면 액체의 끓는점이 낮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밥이 설익게 되는 것이죠.물이나 액체가 끓어 기체가 되는 것은 분자간 인력(전기력)을 끊고 자유로워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액체를 누르는 공기 압력이 강해지면 자유로워지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압력이 약해지면 더 쉽게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압이 낮아지면 기체가 되는데 비교적 쉬워져 끓는점이 낮아지는 것이죠.그리고 산에서는 밥을 지을 때 돌을 얹혀놔 압력을 강하게 만들어줘 밥을 잘 익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21
0
0
파도는 어떻게 해서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파도는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발생합니다.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바다와 호수에 작용하므로 물결이 이는걸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넓고 깊은 바다에 비해 호수는 좁고 얕으므로 파도가 크게 일렁이지 않습니다. 만약 큰 태풍이나 바람이 분다면 호수에도 파도가 칠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비행기와 헬리콥터가 나는 원리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한 비행체는 새, 비행기가 있습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이를 이용한 비행체는 헬리콥터, 드론이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11.21
0
0
적외선 망원경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좋은 질문입니다. 적외선은 사실 사람의 눈으로 감지할 수 없는 파장영역대의 빛입니다. 즉, 가시광선이 아닌 빛이며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빛이죠. 이러한 적외선을 보여주게하는 원리는 적외선에 해당하는 파장을 가시광선의 파장으로 치환(바꿔줌)하여 우리눈에 보이게끔 가시화한 것입니다. 즉, 적외선 망원경이나 카메라를 통해 보는 빛은 실제로 적외선이 아닌 가시광선입니다. 적외선이 방출되긴 하지만 이를 사람이 볼수 있게끔 가시광선 빛으로 바꿔준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김치가 발효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발효는 효모(미생물)가 음식을 분해하거나 다른 물질을 생성시키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발효는 부패와 크게 다르지 않는데 그 차이가 존재합니다. 발효와 부패는 모두 미생물이 음식물을 분해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유익하고 유용하게 사용되는 음식물이나 물질이 만들어지면 발효라고 말하며, 우리에게 해롭고 악취가 나며 별로 좋지않은 물질이나 음식물이 만들어지면 부패라고합니다.발효 음식은 맥주, 막걸리, 술, 김치, 요구르트, 치즈, 메주 등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학문 /
화학
22.11.21
0
0
전구 빛의 속도 와 태양 빛의 속도는 동일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속력은 같은 매질에서 동일한 속력을 가집니다. 태양에서 나온 빛이 우주를 지나 지구에 도달하여 대기 중에서의 속력은 전구에서 나온 빛의 속력과 동일한 속력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자연적으로 내리는 눈과 인공적으로 만드는 눈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 제설기를 통해 물을 아주 작은 입자로 분사시킵니다. 물이 아주 작은 입자가 되면 물의 온도를 변화시키가 쉬워지는데, 추운 겨울에 분사시켜 물이 지면에 닿기전에 얼게하여 인공눈을 만들어 내는것입니다.인공눈의 경우는 우박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유사합니다. 그래서 얼음 알갱이의 크기가 크며 딱딱하죠. 하지만 자연눈의 경우는 아주 작은 수증기로부터 얼음이되며 주변으로 얼음결정이 자라나기 때문에 훨씬 더 부드러운 눈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21
0
0
비행기와 제트기의 평균 속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는 평균 900km/h~1000km/h 속도로 운항합니다. 제트기의 속도는 2222km/h(1.5마하) 정도를 낼 수 있으며, 더욱 빨리 속도를 낼 수도 있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1.21
0
0
비가 내리면 미세먼지 수치가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에 미세먼지가 녹거나 충돌해 지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가 줄어 들기 때문에 기상현상에 의해 미세먼지 농도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21
0
0
시멘트 담벼락에 해도 식물이 살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시멘트에서는 살수 없습니다. 단지, 시멘트 틈에 있는 모래나 흙에서 양분이나 수분을 얻어 살아가는 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21
0
0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