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적으로 내리는 눈과 인공적으로 만드는 눈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겨울에 스키장에 눈이 안내리면 인공눈을 만듭니다.
자연적으로 내리는 눈과 달라서 부상이 많이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자연눈과 인공눈은 무엇이 다른건가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 결정의 모양이 다릅니다. 자연설을 결정의 모양이 꽃모양인것에 반해 인공설은 육각형의 모양을 띄고 있습니다. - 그래서 눈이 쌓였을때 자연설은 결정간의 공간이 많아 푹신하게 충격을 흡수해 주지만 6각형인 인공설의 경정은 밀도가 촘촘하여 자연설에 비해 푹신함이 덜합니다. - 그리고 자연설에 비해 인공설은 더 미끄럽습니다. - 그래서 자연설보다 사고가 많이 나고 더 크게 다칠 수 있습니다. 
- 결정의 차이 입니다. - 자연눈은 결정이 육각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눈과 눈사이에 공간이 많이 생겨 잘 뭉쳐지게 됩니다. - 인공눈은 뽀족한 형태로 되어 있어 잘 뭉쳐지지 않고 결정이 딱딱합니다. - 인공눈은 물을 뿌려 대기중에서 순간적으로 얼게 하기 때문에 결정이 눈보다는 얼음 알갱이에 가깝다고 보시면 됩니다. - 이런 이유로 인공눈 밭이 자연눈밭보다 더 미끄럽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눈은 얼음 30% 공기 70%에 반해 자연눈은 얼음 10%, 공기 90%입니다.- 즉, 인공눈은 얼음의 양이 많기때문에, 더 쉽게 얼음화가 되고, 부드러운느낌이 떨어집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 인공 제설기를 통해 물을 아주 작은 입자로 분사시킵니다. 물이 아주 작은 입자가 되면 물의 온도를 변화시키가 쉬워지는데, 추운 겨울에 분사시켜 물이 지면에 닿기전에 얼게하여 인공눈을 만들어 내는것입니다. - 인공눈의 경우는 우박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유사합니다. 그래서 얼음 알갱이의 크기가 크며 딱딱하죠. 하지만 자연눈의 경우는 아주 작은 수증기로부터 얼음이되며 주변으로 얼음결정이 자라나기 때문에 훨씬 더 부드러운 눈입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 인공눈은 급속 냉동으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결정체가 형성될 시간이 없어 자연눈과 차이가 크게 납니다. - 인공눈을 움켜쥐어도 잘 뭉쳐지지도 않습니다. 
- 인공눈이 더 미끄럽습니다. - 인공눈은 제설기로 만들 수 있는데, 물을 공중에 뿌려 아주 작은 입자로 나눈 후, - 이 작은 입자가 땅에 떨어지기 전에 순식간에 얼려버리면 인공 눈이 됩니다. - 이 수증기가 눈으로 변하는 것이 단열 팽창으로 인해 가능합니다. - 외부와 열 교환이 없는데 갑자기 부피가 팽창하면 기온이 떨어지는 것을 단열 팽창이라고 합니다. - 이때 인공눈은 보통 얼음 3 : 공기 7 정도 됩니다. - 반면에 자연눈은 자연에서 서서히 얼어서 만들어진 눈의 결정체입니다. - 그리고 자연눈은 얼음 1 : 공기 9 정도입니다. - 이러한 차이로 인해 인공눈이 밀도가 더 높아 더 미끄러지기 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