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인공 눈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 제설기를 통해 물을 아주 작은 입자로 분사시킵니다. 물이 아주 작은 입자가 되면 물의 온도를 변화시키가 쉬워지는데, 추운 겨울에 분사시켜 물이 지면에 닿기전에 얼게하여 인공눈을 만들어 내는것입니다.인공눈의 경우는 우박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유사합니다. 그래서 얼음 알갱이의 크기가 크며 딱딱하죠. 하지만 자연눈의 경우는 아주 작은 수증기로부터 얼음이되며 주변으로 얼음결정이 자라나기 때문에 훨씬 더 부드러운 눈이 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6
0
0
저희 고향 마을 앞에 수령이 약 400년 된 은행나무가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이테가 생기는 이유는 일년동안 나무의 세포분열속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햇빛이 강하고 양분이 많은 여름에는 세포분열속도가 빠르며, 반면 겨울에는 춥고 양분이 없어 느린 세포분열을 합니다. 이러한 세포분열 주기성으로 인한 성장 때문에 나이테가 형성되는 것이죠. 나이테는 이름 그대로 나무의 나이를 알 수 있는 테입니다. 위의 원리에 따라 나이테는 곧 1년의 주기를 의미하므로 나이테를 셈으로써 나무의 나이를 알 수 있죠.
학문 /
생물·생명
22.11.16
0
0
핵융합 에너지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중인데 실현 가능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핵융합 발전은 신에너지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사실 아직 핵융합이 일어날만한 환경을 구현하기가 현실적으로 힘이듭니다. 핵융합은 고압, 고온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주로 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입니다. 핵융합 발전을 만든다는것은 곧 작은 별을 만든다는것이나 다름 없는 일이죠. 핵융합보다 위험도가 크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한 에너지는 핵분열 발전입니다. 주로 원자력에너지라고 하는것은 핵분열에서 나온 에너지를 사용하는것이죠. 핵융합 발전이 실현 가능하려면 핵융합이 가능할만한 환경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며 언제가 될지는 아직 정확하게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6
0
0
계절이 일정한 나라도 단풍이 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계절이 일정한 나라는 단풍이 들지 않습니다. 단풍이 날이 추워지면서 드는 것이기 때문에 1년 내내 온난하고 따뜻한 기후를 가진 나라에서는 날이 추워지지 않아 단풍이 들지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6
0
0
곤충들도 추위를 느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곤충들도 추위나 더위를 느낍니다. 그래서 더운 시기에는 휴식을 취하거나 수분을 보충하기도 하며, 추운 시기에는 동면에 들어가거나 죽게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6
0
0
달에는 어떠한 자원이 얼마나 매자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에 얼마나 많은 자원이 있는지는 지속적으로 탐사중에 있습니다.달 탐사 로봇, 달 탐사 등을 통해 달에는 물, 헬륨3, 우라늄, 희토류 등의 희귀 자원이 있기 때문에 달로 진출하려는 계획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자원의 양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달에서 자원을 채취해 지구로 가져와 사용하려는 계획인 것이죠. 우리나라의 경우 달탐사 로봇을 개발중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달탐사를 계획하고 있죠. 그래서 머지않아 우리나라도 달에 탐사로봇을 보내 탐사를 시작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6
0
0
은하의 사진은 어떻게 촬영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은하수란 태양계가 속해있는 은하의 모습이 밤하늘에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은하란 별과 행성들의 집합체를 의미합니다. 은하 내에는 태양계와 같이 별과 행성으로 구성된 집단이 여럿 존재하며, 은하의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면서 은하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우리 태양계도 우리은하에 속해있으며 우리 은하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태양계는 은하의 중심에 있는 것이 아닌 은하의 중심에서 27000광년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특정 시기의 밤에 우리 은하의 모습을 밤하늘에서 볼 수 있으며 이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죠.또한, 우리 은하가 아닌 멀리 있는 다른 은하의 경우 거리가 멀기 때문에 작게 보입니다. 그래서 이를 망원경으로 확대하여 모습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6
0
0
귀지가 많으면 소리가 잘 안들리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귀지가 많아 귀구멍을 거의 막게되면 소리가 잘 안들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평소에 귀지관리를 해주는 것이 좋으며, 귀지가 많다면 이비인후과에 가시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학문 /
화학
22.11.16
0
0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달은 위성이며, 위성이나 지구와 같은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습니다. 핵융합 반응을 통해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를 항성(별)이라고 정의하였기 때문이죠.하지만, 엄밀하게는 달이나 지구, 사람을 포함한 모든 물질은 빛을 내고 있습니다. 이는 복사열에 의한 것입니다. 모든 물질은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차갑든 뜨겁든 이 온도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이 방출되고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물질에서 나오는 빛이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이 아닌 적외선이나 이보다 긴 파장의 빛을 내뿜기 때문이죠. 그래서 엄밀하게 달도 온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외선이나 그 이상의 파장의 빛을 내뿜고 있습니다. 하지만 별과 같은 핵융합반응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가시광선의 빛을 내는 것은 아닙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6
0
0
해질녘과 동이 틀때를 육안으로 구분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미묘하게는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으나 해가 뜨고, 질 때 그 광경의 모습이나 사진만 보고는 구분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동쪽인지 서쪽인지로 판단이 가능하며, 기온차이로도 분간이 가능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6
0
0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