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바코드가 구겨져도 인식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겨지면 잘 인식이 안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금 구겨진 상태에서 바코드를 전부 읽을 수 있다면 인식이 가능합니다. 또한, 위 아래의 구분은 없습니다!바코드의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빨간 레이저 빛을 바코드에 쏘고 바코드에서 반사되어 나온 빛을 판독해 내는 원리입니다. 바코드의 검은 막대선은 빛을 흡수하여 약한 빛이 되돌아가며, 흰부분에서는 빛이 반사되어 강한 빛으로 되돌아가는데, 이를 판독 해독하여 상품 정보를 알아내는 원리입니다.바코드는 물건마다 다 다르며 선의 굵기 간격 등을 조절하여 암호화된 코드 입니다. 이를 바코드 리더기로 읽어 암호를 해독해 무슨 물품이며 가격이 얼마인지 책정할 수 있는것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1.15
0
0
개기 월식이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 지구 달 위치상 달이 보름달일 때 지구의 그림자로인해 가려지며 월식이 일어납니다.아래 그림에서 태양 지구 보름달 순일 때에는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가려질 수 있지만, 초승달이나 반달의 경우에는 지구의 그림자 내에 없기 때문에 월식이 일어나지 않죠.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겨울이 되면 햇빛의 길이가 길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축이 지구의 공전궤도면에 수직하지 않고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계절성을 띠게 됩니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여름과 겨울의 낮의 길이가 달라지며 남중고도(해가 떠있는 높이)가 달라집니다. 겨울에는 남중고도가 낮고 태양에너지가 적은 특징을 가졌으며, 이로인해 여름에 비해 겨울에 햇빛이 집안 거실 깊이 비출 수 있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날개 2개짜리 헬리콥터가 앞으로 가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헬리콥터 날개는 회전도 하지만, 날개 각각의 부분이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방향 전환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앞으로 나아가고 좌 우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기계공학
22.11.15
0
0
밥을 먹고 잠을 자면 소화가 잘 안되는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잠을 자게되면 대부분의 신경이나 근육이 휴식을 취하기 때문에 위의 소화 활동이 줄어들어 소화가 잘 안됩니다. 그리고 깼을 때 더부룩함을 느낄 수 있죠.
학문 /
화학
22.11.15
0
0
곰팡이를 만지면 몸에 옮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옮지 않습니다. 보통 볼 수 있는 곰팡이는 사람 몸에 살기에 적합한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옮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사람 피부에 옮는 곰팡이의 종은 따로 있으며, 간지러움이나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5
0
0
새는 전기줄에 앉아도 감전이 안되는 데, 그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는 전깃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습니다. 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가 전선에 착지하게 되면 전선과 병렬로 연결된 셈이기 때문입니다. 병렬로 연결 된 회로에서는 한쪽 저항이 크게되면 저항이 작은 쪽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새의 몸은 하나의 저항체로 저항이 매우 큰 전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와 병렬로 연결된 전선은 저항이 매우 작은 전선이기 때문에 병렬연결된 상태에서 저항이 작은 전선 쪽으로 전류가 흐르고 새쪽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사람도 매달려 있으면 감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5
0
0
실뱀도 독성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뱀은 사실 공격받거나 위협을 받지 않는 이상 사람을 잘 물지 않습니다. 그래서 실뱀에게 위협적인 행동만 하지 않으시면 물리지 않을 것입니다. 또한, 실뱀은 독이 없는 종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5
0
0
금속은 왜 전기가 통하는 걸까요? 나무 이런 것은 안통하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금속에는 자유전자라는 전자가 다량 분포합니다. 금속 표면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전자(-)가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전압을 걸어주면 이 전자가 전압의 +극으로 이동을 하며 전류가 흐르는 것입니다. 반대로 나무와 같이 자유전자가 거의 분포하지 않는 물질은 비금속이며 부도체라고 분류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5
0
0
광섬유는 빛을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광통신 기술은 광섬유(광케이블)을 사용하여 전파(빛)를 송신하여 신호를 주고받는 원리입니다. 보통 전선을 사용하여 전기 신호를 흘려보내는것보다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광섬유(광케이블)은 빛이 케이블의 시작점부터 끝점까지 이동하게끔 설계가 되어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원리는 빛의 전반사의 원리입니다. 전반사란 매질의 굴절률이 작은곳에서 매질의 굴절률이 큰곳을 지나면서 발생되는 현상입니다. 빛이 매질 경계를 투과하지 않고 모두 반사되어버리는 현상이죠. 이렇게 굴절률이 큰 매질이 바깥쪽, 작은 매질이 안쪽으로 총 두개의 매질로 구성된 광섬유(광케이블)에 들어온 빛이 관의 벽에 부딪히며 전반사가 일어나 끝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5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