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왜 매운 떡볶이를 먹으면 항상 쿨피스를 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쿨피스나 우유는 매운맛을 완화시켜줍니다. 그래서 매운음식이나 매운 떡볶이를 먹을 때 쿨피스를 주거나 파는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15
0
0
얼마 전에 친구가 겨울이 되니 타이어를 겨울 타이어로 바꾸라고 이야기 하던데 겨울 타이어가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겨울에 사용하는 윈터 타이어, 겨울용 타이어가 따로있습니다. 겨울용 타이어는 실리카 함량이 높으며, 한 겨울이나 추운 날씨에도 말랑한 성질을 유지해주며 마찰력과 접지력을 유지시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타이어의 경우 겨울이나 추운날씨에 타이어가 굳어 말랑한 성질이 사라지며 마찰력이 떨어지죠.
학문 /
토목공학
22.11.15
0
0
자동차 사이드 미러에 붙어있는 글씨처럼 정말 그렇게 보이는데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이드 미러에 있는 거울은 평면거울이 아닌 볼록거울입니다. 볼록거울은 넓은 범위를 보여주는 대신 크기가 작게 보여 실제 거리보다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볼록 거울은 사이드 미러에도 사용되지만, 편의점이나 마트 내에 모서리 부분에 사용되는 방범용 거울로도 사용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락스가 손에 닿으면 왜 미끌거리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락스는 강염기성으로 단백질을 조금씩 녹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의 맨 피부에 락스가 닿게되면 피부에 있는 단백질이 조금씩 녹으면서 미끌거림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래서 락스의 경우 맨손으로 만지는 것이 좋지 않으니, 고무장갑을 끼고 다루시길 바랍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1.15
0
0
지구공동설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지구공동설은 소설이나 판타지로 사용하기에 흥미롭고 재미난 소재입니다. 과학적으로는 지구 내부가 멘틀, 외핵, 내핵으로 이루어져 있고 구성 성분 또한 무엇인지 측정, 관측을 통해 알아내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지구와 달이 부딪히지 않는 원리는 어떤 원리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이나 인공위성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떨어지지않는 이유는 원운동(공전 궤도 운동) 하기 때문입니다. 인공위성이나 달은 지구 중력을 구심력으로 하여 원운동을 하기 때문에 관성력으로 원심력이 작용해 중력과 평형을 이룹니다. 그래서 지구로 떨어지지 않는 이유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기상청에서 강수확률 몇퍼센트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하여 예측합니다. 각 지역에 풍향, 풍속, 강수량, 온도 등을 측정하는 관측장비가 있으며 여기서 관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모델링을 통해 비가 올지, 바람은 얼마나 어디로 불지, 온도는 어떻게 될지, 강수확률, 강수량은 어떻게 될지 예측을 합니다. 예측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온도, 습도, 풍향 등 다양한 변수를 담고 있는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어내어 해를 구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특정 시간에 어떤 상태일것이라는것을 예측하는것이죠. 또한 비구름의 이동 경로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도 대략적인 예측도 가능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붉은 달은 과학적으로 어떻게 설명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아래 그림과 같이 지구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는 현상을 월식이라고 합니다. 지구 그림자에 의해 가려진 달이 어둡게 보이지 않고 붉게 보이는 이유가 있습니다. 태양 빛이 지구의 대기를 지나고 있으며, 달에는 직접적으로 닿지 않습니다. 하지만 태양 빛중 붉은 빛이 두꺼운 대기층을 지나게되면서 굴절, 회절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렇게 굴절, 회절된 빛이 달의 표면에 닿게되면서 달이 붉게 보이는 것이죠.이러한 원리로 만약 미세먼지가 짙은 날이나 대기중에 먼지나 수증기가 많은 경우에도 붉게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요즘 드론으로 다양한 공연하는 것을 보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혹시, 그림판에서 그림을 그려본 적이 있으실진 모르겠지만, 컴퓨터의 그림이나 글자를 확대해보면 픽셀 단위로 이루어져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미술에서는 점묘화라는 기법이 있으며, 점을 찍어 하나의 그림을 표현한 기법입니다. 또한, 우리의 자연은 모두 입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은 입자가 구성돼 물질을 이루고 있는것이죠.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드론 하나하나를 작은 단위로 취급하여 드론 여러개를 이어 붙여 형상이나 그림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그림이나 형상을 표현할 때 드론 하나하나에 좌표(x,y,z)를 부여하여 위치하게 끔 프로그래밍 한 원리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왜 지구에만 생명체가 살고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아니며, 태양계가 아닌 다른 행성에서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 또한, 우리가 생명체로 태어 났기 때문에 그러한 의문도 품을 수 있는 것이구요. 다른 행성에 존재하는 생명체가 있고 생각을 한다면 질문자님과 같은 생각을 할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우리 인류는 다른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해서 끝없이 탐사를 이어가고 있으며, 언젠간 다른 생명체의 존재를 밝혀낼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