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뜨거운 물이 차가운 물보다 빨리 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펨바 효과라고 하죠. 아직 음펨바 효과인 찬물과 뜨거운 물 중 어느 것이 더 빨리 어느냐에 대해 완벽히 풀리지는 않았습니다. 찬물이 뜨거운 물보다 빨리 어는 것이 상식적이고 어느 정도 맞는 이야기지만, 뜨거운 물이 찬물 보다 빨리 어는 것을 관측한 사실도 있기 때문이죠. 또한, 이 관측 사실에 대해 실험조건이나 환경등에 영향을 받아 뜨거운물이 찬물보다 빨리 얼었다라는 반박도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로썬 다양한 변수에 의한 조건과 환경에 따라 뜨거운물이 빨리얼수도 있고 찬물이 빨리 얼수도 있다라고 밖에 대답을 못드리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독감이 위험할까요?코로나가 더 위험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통계적으로 봤을 때 코로나가 더 위험합니다. 하지만 독감 또한 위험하므로, 손씻기를 잘하며, 외부 바이러스와 접촉할 경우를 따져 최대한 피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5
0
0
밤낚시할때 야광찌는 액상이 일정시간 발광하던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야광 물질의 원자내 전자는 가시광선(일반 빛)의 에너지에 의해 들뜬 상태(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곧바로 낮은 에너지 상태가 되며 빛을 방출합니다. 이 때 방출된 빛은 가시광선 영역의 빛이기 때문에 밝게 빛나며 우리눈에 비치는 것이죠. 또한, 들뜬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되는 양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일정시간동안만 발광합니다.조금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원자내에는 원자핵과 원자핵 주위로 전자가 존재합니다. 전자는 안정적인 위치(바닥 상태)에 존재하게 되는데, 외부에서 에너지를 받으면 이를 흡수하여 불안정한 상태(들뜬 상태)가 되며 높은 에너지를 갖게됩니다. 그리고 전자는 안정적이게 되려하는 성질이 있어 다시 안정적인 상태(바닥 상태)인 에너지가 낮은 상태로 돌아갑니다. 그런데, 곧바로 안정적인 상태가 되는 것이 아닌 들뜬 상태와 바닥 상태 사이에 중간 에너지 상태의 단계를 거쳐 서서히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갑니다. 즉, 높은 에너지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로 단계를 거쳐 바뀌면서 에너지를 내놓게 되는데, 빛(가시광선) 에너지로 방출됩니다. 그래서 불을 꺼도 어느정도 빛을 발하는 것이죠.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바닥상태로 되돌아가 더 이상 빛을 내지 못하게 됩니다.여기에 사용되는 형광물질은 황화광물, 보석류, 황화아연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4
0
0
별은 어떻게 해서 빛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과 같은 별은 주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빛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은 수소핵 2개가 헬륨핵이 되는 반응입니다. 이 과정에서 수소핵 2개의 질량을 더하면 헬륨핵 질량보다 큰것을 알 수 있는데, 반응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에너지로 변한 것이죠.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합니다. 이 때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은 E=mc^2을 통해 계산할 수있습니다.별이 반짝 반짝 빛나는 이유는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중요하지만 보이지 않는 공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공기는 기체 분자들이 가득 모여있습니다. 빛이 이 공기를 지나 우리 눈에 들어오기까지, 빛과 공기의 상호작용, 산란, 굴절 등이 일어나게됩니다. 그래서 완벽히 직진하여 우리눈에 들어오지 못하죠. 그래서 아지랑이가 생기거나 아른아른하게보이며, 반짝거리기도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4
0
0
몸이 아프면 왜 몸에서 열이 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면역 반응 때문입니다. 몸에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이 바이러스를 죽이기 위해 몸에 체온을 높여 바이러스가 죽게끔 만듭니다. 바이러스는 단백질 구조로 열에 약한 특징이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우리몸에 세포나 항체 등도 단백질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고열은 위험합니다.
학문 /
화학
22.11.14
0
0
요즘 하늘에 별 하나가 엄청 잘 보이는데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목성입니다!노랗고 큰 빛을 내고 있으며, 현재 떠 있는 행성입니다. 요새 밤마다 볼 수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4
0
0
우렁이를 몇마리 키우는데 가끔씩 물위를 뒤집어서 움직이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는 표면장력이라는 물 분자간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합니다. 전기력을 기반으로 한 힘이죠. 컵에 물을 가득 따르고 난 뒤 조금 씩 물을 따라도 물이 바로 쏟아지지 않는 이유입니다. 이런 표면장력에 의해 물수제비도 가능한것입니다. 비스듬히 날아가는 돌멩이 입장에서 물표면이 마치 땅바닥처럼 결합력 있기 때문에 돌멩이가 물표면에 부딪혀 다시 튀어오를 수 있는 이유입니다. 소금쟁이도 물위에서 떠다닐수 있는 이유죠. 이런 원리로 우렁이도 물위에 거꾸로 기어가는듯 합니다. 신기한 광경이네요 저두 처음 알았습니다. 혹시 사진이 있으시면 첨부 해주셨으면 더 좋았을거 같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4
0
0
열을 가하면 줄어드는옷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반대로 늘리기는 힘듭니다. 나일론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게되면 열에 약하기 때문에, 열을 받으면 응력이 생겨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4
0
0
선풍기를 켜고 자면, 아침에 선풍기 주변에 모기가 왜 죽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가 선풍기 앞으로 날아가면 바람에 날리기 때문에 선풍기 날개에 부딪혀 죽지 않지만, 선풍기 뒤로 들어갈 경우 바람에 휩쓸려 쉽게 들어갈 수 있으며, 날개와 부딪혀 죽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선풍기 밑에 벌레들의 사체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14
0
0
버뮤다 삼각지대에서 선박과 항공기가 실종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버뮤다 삼각지대 내에 매장된 메탄가스가 대량 분출되며 선박이 부력을 잃어 가라앉거나, 메탄가스로 인해 비행기 엔진에 불이 붙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는 연구결과와 논문이 있습니다. 즉, 메탄가스로 인해 실종사고나 사고가 발생한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4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