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별들은 어떻게 빛이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은 별 중에 하나로, 별은 주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빛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은 수소핵 2개가 헬륨핵이 되는 반응입니다. 이 과정에서 수소핵 2개의 질량을 더하면 헬륨핵 질량보다 큰것을 알 수 있는데, 반응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에너지로 변한 것이죠.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합니다. 이 때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은 E=mc^2을 통해 계산할 수있습니다.또한,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중요하지만 보이지 않는 공기가 있기 때문에 별이 반짝 거립니다. 공기는 기체 분자들이 가득 모여있습니다. 빛이 이 공기를 지나 우리 눈에 들어오기까지, 빛과 공기의 상호작용, 산란, 굴절 등이 일어나게됩니다. 그래서 완벽히 직진하여 우리눈에 들어오지 못하죠. 그래서 아지랑이가 생기거나 아른아른하게보이며, 반짝거리기도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3
0
0
지진 후에 여진이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지진이 발생하면 판과 판이 움직여 마찰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고, 판의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여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3
0
0
하늘위에서 번개는 어떻게 발생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천둥은 두꺼운 구름이 형성 됐을 때 그 안에 분포하는 물과 수증기의 음전하가 강해지면서 높은 전압을 형성해 공기를 방전시키며 천둥이 치게 됩니다.구름에는 전자(-)가 분포하는데, 전자가 많아지면 땅과 구름사이에 전압이 높아져 공기 중 존재하는 기체로 전하의 이동이 발생하며 방전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때 전하가 기체들을 타고 지면으로 이동하면서 빛에너지 뿐 아닌 소리 에너지도 발생하면서 우르르쾅쾅 소리가 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3
0
0
하늘에서 천둥번개는 어떻게 만들어. 우당쾅쾅번쩍번쩍 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에는 전자(-)가 분포하는데, 전자가 많아지면 땅과 구름사이에 전압이 높아져 공기 중 존재하는 기체로 전하의 이동이 발생하며 방전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때 전하가 기체들을 타고 지면으로 이동하면서 빛에너지 뿐 아닌 소리 에너지도 발생하면서 우당쾅쾅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3
0
0
물수제비는 어떻게해서물위로날아갈수잇는1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는 표면장력이라는 물 분자간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합니다. 전기력을 기반으로 한 힘이죠. 컵에 물을 가득 따르고 난 뒤 조금 씩 물을 따라도 물이 바로 쏟아지지 않는 이유입니다. 이런 표면장력에 의해 물수제비가 가능한것입니다. 비스듬히 날아가는 돌멩이 입장에서 물표면이 마치 땅바닥처럼 결합력 있기 때문에 돌멩이가 물표면에 부딪혀 다시 튀어오를 수 있는 이유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3
0
0
고향 시골집에서 자고나면 머리가 맑고 개운해지는 과학적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몸이 따뜻해지면 혈액순환이 잘되게 되는데, 온돌방에 잠으로써 혈액순환이 잘 돼 푹 개운하게 잘 주무신거 같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3
0
0
아침에 눈꼽끼는 이유가 궁급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눈에서는 안구를 보호하기 위해 눈물샘에서 미량의 눈물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자는 동안에도 눈물이 나오고 있는데, 이 눈물이 눈커풀 밖으로 나와 공기와 만나 물의 증발을 일으켜 굳어지거나, 공기 중 먼지와 만나게 되며 눈곱이 생기는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13
0
0
수영하면 물안경에 습기가 차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안경의 방수기능이 떨어져 습기가 차는 거 같네요. 물안경을 파는 곳이나 수영 용품 전문점에 가서 방수처리를 부탁하시거나 새로운 물안경을 구매하시는게 나을듯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3
0
0
비가온 뒤 무지개는 어떻게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내린 뒤 대기중에는 수증기, 물이 가득 분포하여 습한 상태가됩니다.무지개는 햇빛이 수증기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이 물방울이 마치 프리즘 역할을 하여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것입니다. 이 분산된 빛이 빨간색파장부터 파란색 파장, 보라색 등 여러 색을 띠는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게되며 무지개가 형성되는것이죠.네, 무지개가 생기면 색의 배열은 항상 똑같습니다. 이유는 무지개의 경우 항상 태양의 반대편에서 생기기 때문입니다. 태양이 있는 곳에서는 굴절된 빛이 태양 방향으로 돌아 들어가기 때문에 우리눈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태양 빛이 굴절되며 빛의 파장에 따라(,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 등)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에 매번 같은 색의 배열로 분산돼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3
0
0
중력이 어떤원리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이란 만유인력으로 질량(무게)과 질량(무게)사이에 작용하는 힘입니다. 즉, 질량만 있으면 중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도 질량을 가지고 있고, 아이들도 질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힘이 매우 작기 때문에 느끼긴 어렵죠. 그리고 중력은 질량이 클수록 커지며, 거리가 가까울수록 세기가 강해집니다.지구는 거대한 질량체로 우리를 끌어당기고 있죠. 그래서 우리가 점프해도 다시 땅에 달라 붙는 이유입니다.
학문 /
물리
22.11.13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