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주인이 입고 있는 우주복의 기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방사선의 경우 태양으로부터 오고 있습니다. 태양이나 태양과 같은 별에서는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고 있으며, 핵융합 반응으로 인해 에너지가 높은 빛으로 방사선으로 방출되기 때문이죠. 또한, 우주선(우주에 존재하는 입자, 하전입자)이 지구의 자기장이나 다른 행성의 자기장에 의해 극지방으로 이동하면서 행성 내의 기체와 충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도 방사선이 방출될 수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게 된 이유와 그로 인한 지구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전축이 기운 이유는 지구가 생성될 당시상황이나, 생성 후 외부 소행성과의 충돌 상황을 고려해야합니다. 만약 먼지나 가스가 뭉쳐 지구가 생성될 당시 회전량(각운동량)이 공전 궤도와 수직하지 않고 조금 기울어진 채로 되어 있었다면, 현재까지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만약 지구가 생성될 당시 공전궤도면과 자전축이 수직하게 놓여있었다면, 현재까지 시간이 흐르면서 소행성과의 충돌이나 외부 운석과의 충돌로인해 자전축이 기울어지게끔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그리고 변경된 자전축에 대해서는, 회전 운동량(각운동량)이 보존되기 때문에 현재까지 이어진 것이고요.우리 지구는 마치 팽이가 힘을 잃고 흔들거리며 돌아가는 운동과 비슷한 자전 운동을 합니다. 자전축이 기울어진채로 이리저리 회전하며 아주 긴 주기를 가지고 세차운동을 하고있죠. 그래서 오랜 시간이 지나면 자전축은 지금과 반대 방향으로 놓일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현재 겨울 계절은 여름이되고, 여름은 겨울이 됩니다. 즉, 계절이 완전히 반대가 되죠. 그리고 이렇게 계절만 변할 뿐이지 다른 것은 크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인간은 적응하는 동물이며, 기술도 굉장히 많이 발전했기 때문에 온도 변화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최루탄은 어떤 성분으로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최루탄의 성분으로는 클로로피크린, 클로로아세토페논 가스가 주로 쓰입니다. 훈련이 아닌 전쟁시에는 눈, 코, 입이나 피부 등을 통해 인체에 흡수되어 인체에 큰 손상을 주는 겨자 가스를 포함하기도 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1.10
0
0
굉음이 안나는 비행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는 제트 엔진이나 강한 엔진을 사용하여 추진력을 얻어 뜨기 때문에 안타깝게도 큰 소리를 내지 않는 비행기는 없습니다. 단순히 드론만해도 굉장히 큰 소리가 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공기의 온도는 어느정도 돼야 상승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풍선 안의 공기를 데워 뜨게할 수 있습니다. 조금만 데워도 공기보다 밀도가 작아지므로 금방 뜰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의해야할 점은 풍선이 열에 강한지에 대한 테스트부터 하셔야합니다. 고무는 열에 굉장히 약하기 때문에 자칫 잘못 데우면 터질 수 있죠. 공기의 온도는 상온으로 23~26도 정도되며, 현재는 10~19도 정도 됩니다. 이 온도보다 높은 30~40도 정도만 되도 뜨게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0
0
0
미세먼지 농도가 왜 이렇게 안 좋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을의 경우 양쯔강 기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 우리나라로 미세먼지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고기압(하강기류)의 영향을 받기도 하여 미세먼지가 짙어질 수 있죠.
학문 /
화학
22.11.10
0
0
보름달이 뜨면 통증을 더 잘 느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름달이 뜨면 신장에 통증이 생겨 아플 수 있습니다. 신장은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고, 보름달이 뜨는 경우 달의 중력(인력)이 강할 때이기 때문에 보름달에 신장내에 물이 끌려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보름달이 아니더라도 낮에 태양 근처로 달이 뜨는 삭일 때에는 대낮에 신장의 통증이 유발되기도 한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남극의 기생충과 미세한 생물체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남극에 얼음사이에 있던 바이러스나 세균이 공기중으로 나와 증식할 경우 우리가 보지 못한 새로운 형태의 바이러스나 세균이 등장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병이 생길 가능성도 있죠. 하지만 새로운 종이 갑자기 등장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새로운 종이 등장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에 걸쳐 진화를 하거나 다음세대나 다다음 세대에 돌연변이가 탄생하며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10
0
0
출렁다리는 어떻게 끊어지지않고 출렁거리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출렁다리는 오히려 흔들리기 때문에 더욱 오래갈 수 있습니다. 흔들리기 때문에 공명 진동수가 매우 높으며, 지진의 흔들림이나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잘 무너지지 않죠. 만약 딱딱하고 견고하게 짓게되면 흔들림에 금방 부러지고 맙니다. 마치, 스파게티면으로 만든 다리와 고무줄로 만든 다리를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하실 겁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0
0
0
지구의 모든 물질의 양은 보존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모든 원자(나트륨Na, 염소Cl, 수소H, 산소O 등등)는 계속해서 순환하게 됩니다. 그래서 물질의 양은 보존되죠. 하지만 엄밀하게는 핵융합 반응이나 핵분열 반응 등 원자의 종류가 바뀌는 반응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원자의 종류의 변화가 생기고 또한 원자를 구성하는 전자, 원자핵(양성자, 중성자) 중 양성자나 중성자의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결국 전체적으로 에너지는 보존된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