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사람은 늙으면 머리가 흰색으로 변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이가 들면 흰머리가 많아지는데 이는 신체의 노화로 인해 생기는 것입니다. 색소를 만드는 세포가 온전한 역할을 못하고 노화되어 죽어버리기 때문에 검은머리가 나지 않고 흰머리가 나는 것이죠.노화를 더디게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유산소, 무산소)과 자외선 차단제 바르기, 신선한 과일을 통한 비타민 섭취, 잘 짜여진 식단으로 식사하기, 불규칙적인 생활하지 않기,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 등이 있습니다. 알고 있는 내용이겠지만, 실천은 정말 어려운 내용들입니다. 꼭 좋은 습관을 만드는데 성공하셔서 노화를 더디게 하시길 바랍니다.
학문 /
화학
22.11.09
0
0
인간이 살수있는 최대한의 수명은 몇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명은 유전자에 의존합니다. 유전 정보를 담은 DNA가 손상되는 정도에 따라 해당 종의 수명이 결정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종마다 수명이 있으며 인간은 대략 70~90세 정도까지 살 수 있습니다. 병의 치료 기술등의 과학 기술이 발달한다해도 100세 정도까지 살 수 있습니다. 만약 DNA의 손상을 막으며 수명을 늘리는 기술이 발달한다면 수명도 늘어날 수 있을것입니다. 현재까지 기록된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산 사람은 프랑스의 잔 칼멘트 입니다. 122세 164일을 살다 돌아가셨죠.
학문 /
생물·생명
22.11.09
0
0
미역,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 섭취가 방사능 물질을 체외로 방출시키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핵무기에서 방출되는 방사선, 방사선 물질(세슘, 요오드) 등이 체내에 유입되면 요오드에 의해 갑상선 암에 걸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방사선에 노출되기 전 요오드제를 미리 복용하면 갑상선 암에 걸릴 확률이 낮아집니다. 이유는, 갑상선에 모이는 요오드의 양이 제한적인데 있습니다. 미리 요오드가 풍부한 해조류를 먹게되면 갑상선에 제한된 양을 채워 놓아 방사선 물질(요오드)이 유입되어도 갑상선에 악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너무 과한 섭취는 몸에 좋지 않으니 적절하게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2.11.09
0
0
소금이 얼음을 녹이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금(염화물계 제설제)은 공기중 수증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강합니다. 그래서 주변으로부터 수증기를 흡수하여 수용액 상태가 되며, 이 수용액이 얼음과 닿아 얼음의 열을 뺏기도하며 얼음과 섞여 어는점을 낮추기도합니다. 어는점이 낮아지게 되면 얼어있던 얼음이 녹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염화물계 제설제를 뿌리면 눈이 금방 녹아버리죠.
학문 /
화학
22.11.09
0
0
태양의 수명은 얼마나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현재 나이는 46억년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태양의 수명은 대략 100억년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54억년 뒤에 태양이 죽음에 다다르게됩니다. 별의 죽음이란 것은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하지 못하여 빛과 열 에너지를 발산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9
0
0
군대에서 먹는 군용 음식의 발열원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투식량의 줄을 당기게 되면 김이나면서 따뜻해지는 원리는 발열 반응 때문입니다.발열팩 내부에는 산화칼슘과 물이 구분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줄을 잡아당기게 되면서 물과 산화칼슘이 만나 수산화칼슘이 되는 반응을 하며 발열을 하게 되는 원리입니다.또한, 마그네슘 가루가 포함된 경우도 있는데, 마그네슘 가루와 물이 만나 발열 반응을 하여 열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11.09
0
0
모기들이 겨울에는 어디에 숨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는 따뜻한 곳에서는 지속적으로 살 수 있습니다. 겨울에 모기는 살 수 없지만 집안과 창고와 같이 따뜻한 장소가 있다면 살 수 있습니다. 또한, 모기는 겨울의 추운 환경에서 동면에 들어가 활동에너지를 줄여 오래 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따뜻해지면 알을 낳아 번성을 하죠. 그래서 모기가 멸종하지 않고 매년 등장하는 이유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9
0
0
붉은 달을 보고 갑자기 궁금해졌어요. 개기월식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아래 그림과 같이 지구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는 현상을 월식이라고 합니다. 지구 그림자에 의해 가려진 달이 어둡게 보이지 않고 붉게 보이는 이유가 있습니다. 태양 빛이 지구의 대기를 지나고 있으며, 달에는 직접적으로 닿지 않습니다. 하지만 태양 빛중 붉은 빛이 두꺼운 대기층을 지나게되면서 굴절, 회절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렇게 굴절, 회절된 빛이 달의 표면에 닿게되면서 달이 붉게 보이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9
0
0
요즘 뉴스를 보면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한다는 말이 많은데 메타버스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상현실은 1인칭 시점으로 가상현실 상황을 체험할 수 있는것입니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 내에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이 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09
0
0
사람들이 빙산의 일각이라고 말하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빙산은 얼음 덩어리입니다. 물의 경우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인 얼음이 될 때 부피가 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고체가 되면서 부피가 증가하여 물보다 밀도가 낮아지게되면서 물 위에 둥둥 뜰 수 있는 것이죠. 또한, 물에서 얼음으로 증가한 부피만큼 수면 위로 나오게 되는데, 그 부피가 증가한 비율이 9%정도 커지므로 9%의 부분이 수면위로 드러나게 되는 것이죠. 즉, 이러한 현상 때문에 빙산의 일각이라는 말이 나온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9
0
0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