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달이 가끔씩 더 커보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자전하고 달이 공전하며 달이 떠오르는 거처럼 보이는데, 이때 달과의 거리가 미묘하게 달라지기도 하지만 떠오를 때의 주변 건물, 산 등과 가까운 상태에 놓여 주변 환경에 의해 우리의 인지능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마치 착시효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인지의 문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시로 에빙하우스의 착시를 보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우주가 팽창하는속도는 빠른데 사람은 못느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좋은 질문입니다!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는 허블의 법칙을 따릅니다.우주의 팽창속도는 허블의 법칙에 따라 팽창하므로 73km/s/Mpc로 멀어지고 있습니다. 허블의 법칙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팽창속도가 커진다는 법칙으로 1Mpc떨어진 거리에서 서로간 멀어지는 속도는 73km/s라는 의미입니다. 즉, 이에 따르면 지구와 태양 사이에 3.54*10^(-7)m/s로 멀어지고 있습니다. 태양과 지구사이에 초당 머리카락 두께 정도만큼 멀어지고 있어 거의 느낄 수 없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멸균우유과 생우유 맛이 다른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생우유와 멸균우유의 차이는 멸균처리를 하고 하지 않고의 차이입니다. 또한, 모든 우유는 맛이 미묘하게 다릅니다. 그래서 멸균우유가 기존에 먹던 우유와 다른 맛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08
0
0
높은 곳에서 귀가 멍해지는건 왜그러고 침삼키면 왜 괜찮아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은 지대에 올라가거나 빨리 달리는 차에서 귀가 먹먹해지는 느낌을 받는 이유는 외부의 압력의 변화로인해 신체 내부의 압력을 맞춰주기 때문입니다. 이는 귀에 있는 유스타키오관에서 외부 압력과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게끔 조절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침을 삼키면서 압력이 맞춰지기 때문에 귀가 먹먹해지는게 풀릴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티비 화질이 좋아질수록 눈건강에 끼치는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TV 화질이 좋아진다고해서 눈이 나빠진다면, 우리는 훨씬 화질이 좋은 자연만 봐도 눈이 나빠져야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죠. TV화질이 좋아져도 눈에 나쁜영향을 끼치진 않습니다. 오히려 편안하게 볼 수 있죠. 하지만 빛의 세기가 강해지게 된다면 눈의 피로감을 줄 순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08
0
0
물리학과 생물학이 충돌하면 물리학이 맞다고 봐야하는 것 아닐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열역학 2법칙인 엔트로피 증가 법칙은 계(system)에서 일어나는 자연적인 변화에 대한 법칙입니다. 즉, 우주라는 system 내에서 봤을 때 열역학 2법칙은 틀리지 않으며, 생명이 탄생하는 것도 전체적으로 봤을 때 열역학 2법칙을 위반하지 않습니다. 생명체만 집중해서 본다면 갑자기 만들어진것이기 때문에 위반되지만 열역학 2법칙은 이러한 상황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잘못된 적용입니다. 마치 냉동고속 얼음이 어는데, 얼음만 보고 열역학 2법칙을 위반했다라고 판단하는 것과 같죠. 얼음이 냉동고와 열교환을 통해 얼음이 되며, 냉동고와 얼음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엔트로피가 증가하므로 열역학 2법칙이 맞다고 말할 수 있죠.다만, 빅뱅 폭발의 경우 우리가 폭발전의 상황은 모르므로 어떠한 계에서 어떤식으로 일어난지에 대해 모르기 때문에 논하기가 어렵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차가운 걸 먹으면 두통이 오는데 건강에 지장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찬 물을 빠르게 마시거나, 슬러쉬, 얼음, 아이스크림을 먹게되면 가끔 머리가 띵한 경험을 하셨을 겁니다.찬 물질이 입에 들어오고 그 냉기로인해 모세혈관에서 열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수축하는 반응이 일어납니다. 그리고 다시 이완하는데, 이 때 얼굴에 분포해 있는 뇌의 신경이 자극을 받기 때문에 머리가 띵한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1.08
0
0
철은 왜 부식이 되면 표면이 갈색으로 변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철이 부식된다는 것은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결합돼 산화철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산화철은 철과는 다르며 다른 색을 띠고 있습니다. 보통 붉거나 갈색을 띠고 있죠.
학문 /
토목공학
22.11.08
0
0
바다에서 염분이 나오는 이유는 과학적으로 증명이 됐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에는 Na+이온, Cl-이온 등 염분(소금)이 다수 존재하고, 또 다양한 이온과 미네랄 등의 성분도 있기 때문에 바닷물이 짜며 독특한 맛을 냅니다.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역적으로는 비슷하나 전 세계 어느 바다에서나 같은것은 아닙니다. 바닷물의 농도가 짙은 바다인 사해가 대표적인 예가 되겠습니다. 바다의 염분은 바다 속 암석이나 광물로부터 발생합니다. 바다 속 암석, 광물에 함유된 나트륨이 바닷물에 용해되며 바다의 염분 농도가 올라가는 것이죠. 때문에 어느 바다에서나 염분 농도가 같지 않은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방구를 참으면 몸속에서 분해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방구는 몸속에서 분해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방구를 참으면 내부 장기에 가스가차 부풀어오르기 때문에 좋지 않죠. 생리현상은 즉시즉시 해결하는것이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2.11.08
0
0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