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버스 안내방송이 나오는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버스의 GPS 시스템과 연동되어있기 때문입니다. GPS는 버스의 위치와 속력을 정확하게 측정해냅니다. 그래서 정거장 정보를 사전에 입력해두고 도착전 위치에서 안내방송이 나오게끔 시스템이 설계되어있습니다. 또한, 우리가 어플이나 인터넷을 사용하여 버스의 도착 정보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이유가 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08
0
0
겨울철 도로위의 블랙 아이스는 어떻게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 아이스의 경우 도로에 물이 얇게 퍼진 상태에서 영하의 기온으로 얼어 붙어 아주 얇은 빙판을 의미합니다. 눈으로 잘 분간이 안돼 사고가 잦죠.
학문 /
토목공학
22.11.08
0
0
오늘 개기월식이라는데 쉽게 설명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아래 그림과 같이 지구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는 현상을 월식이라고 하는데, 초승달 반달의 경우 지구의 그림자 밖부분이기 때문에 월식이 일어나지 않죠.
학문 /
생물·생명
22.11.08
0
0
안녕하세요. 지하철내 여름철 겨울철 적정온도는 어느 정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21~26도의 온도와 40~50% 정도의 습도에서 쾌적함을 느낍니다. 하지만, 지하철의 경우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하게 만들기 때문에 여름에는 냉방, 겨울에는 난방을 시행합니다. 칸마다 온도의 정도가 달라 강냉난방, 약냉난방 칸이 따로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08
0
0
물이 돌을 깎을 수 있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물질은 원자,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원자, 분자간 전기력으로 인한 결합으로 형태를 이루고 있죠. 이러한 결합을 깨뜨리기위해서는 결합력(전기력)보다 강한 에너지를 전달해주면 됩니다. 강한 에너지를 만드는 데에는 높은 운동에너지가 있습니다. 즉, 아주 빠르게 충돌시키면 결합력을 깨뜨릴 수 있는 것이죠.그래서 물을 아주 강한 수압으로 분사시키면 높은 에너지를 가진 물 분자가 됩니다. 이는 마치 발사된 총알과도 같죠. 이러한 높은 에너지를 가진 물 분자가 돌이나 다른 물질에 부딪혀 물질의 결합력을 깨뜨리게됩니다. 그래서 물로 연마가 가능한 것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11.08
0
0
이번에 개기일식이 일어난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늘 개기월식이 일어났습니다. 월식이나 일식의 경우 흔하지 않으며 보기 드문 현상이 맞습니다.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들어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을 월식이라하며, 완전히 가려지는 현상을 개기 월식이라고 합니다.<일식>해가 떠 있을 때에도 달이 보일 수 있습니다. 달은 지구 주변을 공전하고 있고, 우리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태양이 떠있을 때 태양 주변으로 달이 위치할 수 있으며 달의 모습을 어렴풋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상은 보름달과 반대로 삭이라고 하죠. 또한 태양-달-지구 순으로 놓일 때 태양이 달에 의해 가려지는 일식이라는 현상도 일어나기도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베르누이 법칙에 대해서 문의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베르누이의 원리베르누이 원리란 유속이 빨라지면 압력이 낮아지며, 유속이 느리면 압력이 증가하는 원리입니다.베르누이 법칙은 액체나 기체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상적인 유체가 관을 통과할 때 관의 반경이 커지면 유속이 줄어들고 관의 반경이 작아지면 유속이 빨라집니다. 이유는 유체가 입자들로 구성되어있고, 관의 반경에 따라 한 단면에 들어갈 수 있는 입자수가 정해지기 때문이죠. 반경이 클수록 많은양의 입자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유속은 느려집니다. 반경이 작으면 적은양의 입자가 들어가므로 유속은 빨라질 수 밖에 없죠. 더욱 빨리 밀어내니까요.
학문 /
물리
22.11.08
0
0
우주의 끝은 어디인가요 정말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쉽게도 우주의 끝을 알 수 있는 사람이 아직 없습니다.우주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지구 중심으로부터 관측 가능한 우주까지의 거리가 465억 광년(빛의 속도로 465억년 이동해야 갈 수 있는 거리)이라고 합니다. 이는 관측 가능한 선 내에서 우주의 크기를 추정한 것으로 실제로는 더 클 수 있습니다. 우주는 굉장히 광활하며 아직 밝혀지지 못한 것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그래서 인류는 호기심을 가지고 우주를 이해하고 밝혀내려고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 있죠. 또한 안타깝게도 현재 우주의 끝을 알 수 있는 사람이 단 한사람도 없습니다. 아직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죠. 언젠가는 밝혀질 것이라 믿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겨울은 해가 짧아서 추운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이 바뀌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수직하지않고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네, 겨울의 경우 해가 짧기도하고 태양과 북반구(우리나라)사이 거리가 늘어난 상태이기 때문에 태양에너지가 줄어들어 추워지는 것입니다. 아래는 여름일 때 북반구가 태양과 가까운 상태이며, 겨울에는 자전축이 반대로 놓인 상태가 되기 때문에 북반구가 태양과 멀어져 태양에너지가 줄어듭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배고픔을 느끼는건 어떤작용으로 인해 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위장 속이 긴시간 비게되면 그렐린이라는 물질이 분비되어 뇌로 전달됩니다. 이러한 물질의 분비로 뇌의 자극을 받는데, 이 때 우리는 배고픔을 느끼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11.08
0
0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