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전륜 구동 자동차와 후륜 구동 자동차의 장, 단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륜차의 경우 엔진, 모터가 앞바퀴를 굴려 작동하는 차량이며, 후륜차는 뒷바퀴를 굴려 작동하는 차량입니다.전륜차의 장점은 무게중심이 앞쪽에 있어 비가 오거나 눈이온 미끄러운 도로에서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앞부분에 모터와 엔진등이 있기 때문에 넓은 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회전에 있어 좋지 않으며 코너에서 좋은 효율을 내지 못합니다. 또한 빠르게 달릴 경우 차량의 뒷부분이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후륜차의 장점은 하중에 고르게 분배되어있어 방향전환에 있어 안정적입니다. 또한 빠르게 달릴 때에도 안정성이 있으며 승차감이 좋은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고급세단에 사용되는 방식이죠. 단점으로는 눈길이나 빗길 등 미끄러운길에 불안정합니다. 또한 실내공간이 좁으며 차량 무게도 무거워 연비가 떨어진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1.08
0
0
제주도 돌담은 왜 바람에 강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제주도 돌담의 경우 화강암으로 어느정도 무게도 있으며, 구멍이 나있고 우둘투둘해 돌끼리 쌓아 담을 만들어도 빈 틈이 많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돌담에 바람이 불게되면 돌의 구멍사이로, 또는 돌과 돌 틈 사이로 바람이 지나가기 때문에 바람의 저항을 잘 받지 않아 무너지지 않는 것이죠. 그래서 바람에 강하다는 말이 나온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지구와 달은 어떻게 공전하고 자전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는 설명보다 그림이 훨씬 이해가 빠를듯합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며 스스로 자전도하고 있으며,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며 스스로 자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름달을 보게될 때와 삭(낮에 뜬 보름달)을 볼 때에는 태양 달 지구가 일직선 상에 놓입니다.아래 회색 실선원은 달의 공전 궤도 입니다. 보름달이 될 때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놓이며, 지구의 그림자에의해 달이 가려질 때 월식이 일어납니다.아래 그림은 삭일 때의 모습으로 태양 달 지구 순으로 놓일 때 입니다. 이 때에는 태양 주변에 달이 떠있기 때문에 눈으로 보기 힘듭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오늘 개기월식이 있다고 하던데 월식은 왜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 밤하늘에 떠있는 달은 태양 빛을 반사해서 빛이 나는데, 지구 그림자가 달을 가리면서 월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월식 때에는 달이 붉게 보입니다. 그래서 현재 보름달 위상이며 지구그림자가 가려지는 궤도상에 있기때문에 월식이 일어납니다.참고로 일식은 태양 달 지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하고 달의 위상이 삭일 때 관측되는 현상입니다. 대낮에 일어나며 달에 의해 태양이 가려질때를 일식이라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사과는 깍아놓고 몇시간 지나면 변색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일의 껍질을 벗겨낼 경우 폴리페놀산화 효소가 분비되면서 폴리페놀과 공기중 산소의 반응을 촉진하고, 폴리페놀 성분들을 퀴논 같은 물질로 산화시킵니다. 이렇게 생긴 퀴논은 활성도가 커서 빠르게 산화되는데, 이 때 갈색 물질을 생성합니다. 이를 갈변이라고하죠.참고로 갈변된 부분을 잘라내고 먹는것이 좋습니다. 갈변된 부분을 먹을시 체내에서 활성산소가 생성됩니다. 활성산소는 피부 노화를 촉진하므로 좋지 않습니다.
학문 /
화학
22.11.08
0
0
아이들 잠자는 시간대가 중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잠자는 습관은 중요합니다. 성장 관련 호르몬은 저녁 10-새벽2시 사이에 분비된다고 합니다. 이는 해가 진 뒤부터 생체의 반응으로 일정 시간 뒤에 분비되므로 성장기에 있어 자는 시간은 중요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8
0
0
대기가 있는 행성이 있다면, 산소를 채워넣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행성이 지구와 크기가 동일하다면, 지구에 있는 산소를 전부 옮겨야할지도 모릅니다. 또한, 지구보다 더 크면 모든 산소를 옮겨도 부족할 수 있습니다. 만약 식물을 기를 수 있는 환경이라면 이산화탄소와 산소를 운반하여 광합성을 시켜 산소를 생산해낼 수 있을 듯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7
0
0
지구를 지배했던 공룡의 정확한 멸종 원인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크게 소행성 충돌, 화산 폭발, 기후 변화를 강한 후보로 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소행성 충돌에 대한 근거와 화산 폭발의 가능성은 적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적이 있습니다. 아직 정확하게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라는것을 들은적이 없기에 답변이 어렵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7
0
0
공룡이 멸종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크게 소행성 충돌, 화산 폭발, 기후 변화를 강한 후보로 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소행성 충돌에 대한 근거와 화산 폭발의 가능성은 적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적이 있습니다. 아직 정확하게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라는것을 들은적이 없기에 답변이 어렵겠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7
0
0
AI가 정말 사람을 아득히 뛰어넘을 수 있나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컴퓨터는 사람에 의해 코딩 된 부분만 작동하게 되어있습니다. 우리가 무언갈 작동하게 끔 해놓지 않으면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인공지능(딥러닝) 또한 마찬가지로 스스로 학습하여 무언갈 판단하거나 결과를 내놓는 일을 한다고는 하지만 전부 알고리즘을 짜놓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만약, 사람이 코드를 잘 짜놓아 인공지능이 자연 현상을 관측하여 데이터화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법칙이나 사실을 내놓는다면 과학자를 대신할 수도 있다고 판단합니다. 이러한 인공지능을 위해서는 먼저 사람의 코딩 능력이 갖춰져야 하기 때문에 그러한 말이 나오는 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7
0
0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