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봉래산제일봉
봉래산제일봉22.11.07

오늘 개기월식이 있다고 하던데 월식은 왜 생기는건가요?

오늘 개기월식이 있다고 하던데 월식은 왜 생기는건가요? 그리고 천왕성 엄폐도 있다고 뉴스에서 봤는데 이건 무슨 현상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일식과 월식은 지구의 공전, 달의 공전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태양과 지구 사이에 달이 놓이게 되어 일직선상이 되면 나타납니다.

    태양을 달이 전부 가려버리면 개기일식, 일부만 가리면 부분 일식입니다.

    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들어오는 것이고, 태양 - 지구 - 달로 일직선상이 되면 나타납니다.

    지구의 그림자 안으로 달이 완전히 들어가면 굴절에 의해 빨간색 빛을 반사시키게 되고 달이 붉게 보입니다.

    천왕성 엄폐도 비슷한 원리인데 달이 천왕성까지 가리는 경우입니다.

    다만 천체 망원경이 없으면 관측하기 힘듭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달과 지구가 공전을 하고 있다가 태양과 일직선이 되면 발생합니다. 태양 빛이 지구가 가려주면서 그 그림자가 달에 생기면서 월식이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달이 우리 눈에 보이기 위해서는 태양빛이 달에 닿아 달의 지면에 반사되는 빛이 우리 눈까지 도달해야합니다.

    월식은 태양빛이 지구에 가려 달까지 도달하지 못할 때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들어오면 생기는 현상입니다.

    개기월식은 달의 전체가 지구 그림자에 들어오는 현상, 부분월식은 달의 일부분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입니다.

    천왕성 엄폐는 멀리있는 천체(천왕성)가 가까이 있는 천체(달)에 가려지는 현상으로

    정리하자면 태양 지구 달 천왕성이 일직선 구간에 놓인다는 뜻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월식은 태양 지구 달이 이렇게 배치 될 때 태양의 빛을 지구가 완전히 가려 달이 햇빛을 못 받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런 현상이 이러나는 이유는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가 회전을 하고 달은 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해서 일어나는 일 즉 중력이 원인입니다. 엄폐는 가까이 있는 물체가 멀리 있는 물체를 가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달이 천왕성을 가려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원리는 앞에서 말한 공전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 밤하늘에 떠있는 달은 태양 빛을 반사해서 빛이 나는데, 지구 그림자가 달을 가리면서 월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월식 때에는 달이 붉게 보입니다. 그래서 현재 보름달 위상이며 지구그림자가 가려지는 궤도상에 있기때문에 월식이 일어납니다.

    참고로 일식은 태양 달 지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하고 달의 위상이 삭일 때 관측되는 현상입니다. 대낮에 일어나며 달에 의해 태양이 가려질때를 일식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 상에 놓여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오늘 저녁 7:16부터 8:41까지 1시간 25분가량 개기월식이 이어져 붉게 변한 보름달을 볼 수 있데요.

    동시에 천왕성이 개기월식이 일어난 달의 뒤로 숨었다 나타나는 엄폐현상도 나타나는데 이건 수백년에 한번 있는 신기한 현상이라고 합니다.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져 나타나는 현상인데 붉게 보이는 건 빛의 산란으로 보라색은 파장이 짧아 사라지고 적색은 긴 파장으로 달의 표면까지 도달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영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월식은 월면 전부 또는 일부가 지구의 그림자에 가리워져서 지구에서 본 달의 밝은 부분이 일부 또는 전부가 어둡게 보이는 현상으로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할 때에 일어나게 되는데 만월일 때에만 일어납니다. 그러나 달의 궤도면(백도면)이 지구의 궤도면(황도면)과 약 5˚ 기울어져 있으므로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에 놓일 기회가 적기 때문에 만월 때도 월식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구의 본그림자에 달의 일부가 들어갈 때 부분월식이 일어나며, 달의 전부가 들어갈 때 개기월식이 일어납니다. 이때 지구 대기를 통과한 빛 중 붉은 빛만 굴절되어 달에 도달하게 되고, 이 빛이 다시 반사되어 희미한 붉은색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천왕성 엄폐 현상은 반지름 25,559km의 구형의 행성이 1977년 어떤 행성이 다른 별의 표면을 통과하는 엄폐(掩蔽)현상이 이 천왕성에게 나타났기 때문에 이름지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토성의 지름의 약 1/2보다 조금 작고 목성 지름의 약 1/3, 지구보다는 약 4배나 큰, 망원경으로 보아도 아주 작고 흐려 크기를 결정할 수 없었던 천왕성의 지름을 측정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