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낙엽이 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낙엽이 떨어지는 이유는 나무의 겨울나기(월동준비)준비를 하는것입니다.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으로부터 에너지(양분) 공급을 중단 받아 나뭇잎의 농도가 올라 산화되면서 낙엽이 되어 떨어지게 만듭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7
0
0
내일 저녁 개기월식이 펼쳐진다하는데 개기월식과 개기일식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개기)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 밤하늘에 떠있는 달은 태양 빛을 반사해서 빛이 나는데, 지구 그림자가 달을 가리면서 월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월식 때에는 달이 붉게 보입니다.(개기)일식은 태양 달 지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하고 달의 위상이 삭일 때 관측되는 현상입니다. 대낮에 일어나며 달에 의해 태양이 가려질때를 일식이라고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7
0
0
태풍은 왜 봄 겨울에는 생기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강한 저기압(상승기류)과 다수의 수증기량이 있을 경우에 생성될 수 있습니다.태풍은 수증기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때 강한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9월 경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것이죠. 하지만, 봄 겨울에는 해수의 온도가 낮은 시기이며 물의 증발량이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태풍이 잘 형성되지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7
0
0
높은곳에 귀가 멍한 이유는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은 지대에 올라가거나 빨리 달리는 차에서 귀가 먹먹해지는 느낌을 받는 이유는 외부의 압력의 변화로인해 신체 내부의 압력을 맞춰주기 때문입니다. 이는 귀에 있는 유스타키오관에서 외부 압력과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게끔 조절을 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7
0
0
회오리 바람은 어떻게 발생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회오리 즉, 토네이도는 기체나 유체의 흐름 중 난류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즉, 토네이도는 강한 상승기류(저기압)와 강한 바람이 합쳐지며 생성됩니다. 보통 우리 주변에서도 난류가 흔히 발생하지만 강한 상승기류(강한 저기압)와 강한 바람을 만나지 않는 이상 토네이도가 쉽게 생기지 않습니다. 미국에서는 강한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 난류가 발생해 상승기류를 거대한 토네이도가 자주 생기죠. 우리나라에서도 상승기류와 난류(바람)가 있어 토네이도가 가끔 생기지만 크지도 강하지도 않아 금방 소멸됩니다. 우리나라에도 토네이도가 발생한 사례가 있으며, 토네이도와 같은 원리인 용오름도 관측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7
0
0
우주에 있는 블랙홀 연구가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을 관찰하려는 이유는 블랙홀의 존재와 블랙홀의 외부는 아주 잘 이해하고 있지만, 블랙홀의 내부에 대해서는 우리가 전혀 알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블랙홀은 아주 강한 중력으로 질량체가 수축하여 만들어진 존재입니다. 이 블랙홀은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물질의 밀도보다 높은 상태로 수축한 상태입니다. 흔히 양자역학에서 설명하는 축퇴압이라는 압력이 있는데, 입자와 입자 사이에 좁혀질 수 없는 거리를 의미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블랙홀은 이 축퇴압도 깨버리며 수축합니다. 그래서 기존에 이론으로 블랙홀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죠. 그래서 블랙홀에 대한 연구의 가치가 매우 높으며 블랙홀의 내부를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물리학(과학)을 탄생시킬 수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이 블랙홀에 대해 연구하고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7
0
0
왜 사탕이나 캐러멜같은 단음식을 먹으면 침이 맑고 끈적이게 바뀌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탕이나 카라멜 뿐아니라 음식을 먹게되면 뇌에서 음식이 들어왔다는 것을 인식해 소화작용을 시작합니다. 그래서 침을 평소보다 많이 분비하여 소화작용을 일으키죠. 그래서 사탕이나 카라멜을 먹으면 침이 많아집니다. 또한, 끈적이는 이유는 사탕이나 카라멜에 함유된 설탕 성분이 침에 녹아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침이 끈적이게 바뀌게 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7
0
0
소주와 맥주병은 왜 색깔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주의 경우 자외선이나 햇빛에 의해 술의 맛이나 질이 변하지 않는 점이 있어 색깔에 있어 자유로운 선택이 있습니다. 그래서 소주의 경우는 깨끗함을 강조하기 위해 투명하거나 푸른 빛을 띠게 하였습니다.하지만 맥주의 경우 자외선에 의해 술의 맛이나 질이 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맥주 병을 어둡게 만들어 병이 자외선을 흡수하게 끔하여 술의 맛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어두운색이나 갈색을 사용하죠. 맥주 뿐 아니라 와인도 마찬가지의 이유입니다.
학문 /
화학
22.11.07
0
0
우주 끝으로 가면 우주의 탄생을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질문자님 생각이 맞습니다. 우주탄생시 빛이 현재 우주 끝 부분에 놓여 있으니, 우주 끝으로 가면 우주의 탄생을 목격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7
0
0
우주 탐사선은 목표지점까지 방향을 어떻게 해서 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 탐사선을 목표지점으로 향하게 하는데에는 곧장 가게하는 방법도 있지만, 중력을 활용하여 추진력을 얻어 날아가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한, 목표지점이 행성이나 위성이라면 이 천체의 움직임을 예측하여 발사시점부터 최단거리가 오는 지점을 계산하여 날리는 방법을 사용하죠. 우리가 무언가를 맞출 때 예측샷을 날리는 거처럼 말이죠. 만약 화성까지 탐사선을 보내고 싶다면 화성이 지구와 가장 가까워지는 시점을 예측하고, 그 시점에 맞춰 최단거리로 도달하게끔 탐사선을 발사하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7
0
0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