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2.11.07

태풍은 왜 봄 겨울에는 생기지 않을까요?

태풍은 여름에 오지만 가끔 가을에도 생기는 경우를 봤습니다

그런데 겨울이나 봄에는 태풍이 발생했다는 소리를 들어본 적도, 그리고 경험해본 적도 없습니다

봄 겨울에도 비는 내리는 데 왜 태풍은 안생기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7

    북반구 기준으로 태풍은 늦여름과 초가을에 집중하여 발생됩니다.

    이는 북태평양의 해수면온도가 올라가서 다량의 수증기기 발생되기 때문입니다.

    태풍은 해수면의 온도가 올라가고 다량 발생된 수증기가 상승기류에의해 상층의 차가운

    대기를 만나 구름이 형성되면서 발달되게 됩니다.

    한반도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한반도는 여름과 초가을 덥고 습한 북태평양 기단의 세력이 강하여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고,

    봄.가을이 되면 건조한 대륙성 기단인 양쯔강 기단의 영향을 받고

    겨울이 되면 역시 대륙성 기단인 춥고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설사 봄,가을,겨울에 북태평양에서 태풍이 발생 했다고 해도

    해수면의 온도가 높지 않아 세력이 약해저 있는 북태평양기단이

    세력이 강한 대륙성기단에 밀려 올라오지 못하게 되고

    태풍도 세력을 확장시키지 못하고 소멸하게 됩니다.


  • 태풍은 보통 고온이면서 습기가 많은 공기가 조건부로 불안정한 환경에서 상승하게 될 때 형성됩니다.

    지면에서 수직으로 적란운의 숨은 열이 구름 속의 공기를 데우게 되면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점점 커지면 태풍이 됩니다.

    따라서 태풍이 해수면 온도가 낮은 지역으로 오면 주변의 수증기양도 줄어들어 약해지게 됩니다.

    이런 기후 조건이 보통 늦여름과 초가을이므로 봄, 겨울에는 태풍을 보기가 힘듭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기본적으로 해수면의 온도가 올라가 발생하는 수증기로부터 시작이 되기 때문에 여름에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강한 저기압(상승기류)과 다수의 수증기량이 있을 경우에 생성될 수 있습니다.

    태풍은 수증기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때 강한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9월 경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것이죠. 하지만, 봄 겨울에는 해수의 온도가 낮은 시기이며 물의 증발량이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태풍이 잘 형성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