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구에 있는 물의 양은 그대로 인가ㅛㅇ?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상에 있는 물의 양은 거의 보존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은 계속해서 순환하므로 거의 보존됩니다.다만, 물을 전기분해하거나 하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 미량 손실될 수 있습니다. 또한 물이 생성되는 반응이나 과정도 있으므로 거의 보존된다고 보시면 됩니다.물이 증발하여도 다시 비로 내리고 우리가 물을 마셔도 변이나 땀으로 나오며, 식물이 물을 흡수하여도 기공을 통해 수증기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3
0
0
우주가 물로 모든 공간에 다 차있고 물 안에 2개에 기포가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이 기포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재미난 질문이네요. 일단 우주가 물로 모든 공간을 가득 채우고 있게된다면 시간이 지나면서 기포는 우주의 표면으로 향해 나아갈 것입니다. 왜냐하면 물은 극성 분자로 서로간에 인력이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공간을 메우려할 것입니다. 또한, 거대한 물 덩어리는 중력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우주의 중심부분에서는 중력에 의한 강한 압력으로인한 수축으로 고온이되며 압축된 유체가 될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3
0
0
계절이 바뀌면서 나무의 잎사귀 들의 색깔이 변화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며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또한 색이 다른 이유는 색소의 종류와 함유량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붉은색은 엽록소가 분해되며 안토시아닌을 생성하며 띠게되고, 노란색은 크산토필, 카로티노이드가 생성되면서, 갈색은 크산토필, 타닌이 생성되면서 띠게되는 색입니다.엽록소가 분해되는 이유는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으로부터 에너지(양분) 공급을 중단 받아 나뭇잎의 농도가 올라 산화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돼 단풍이 들게하며 이후에 낙엽이 되어 떨어지게 만듭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3
0
0
우리나라에도 공룡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리나라에도 공룡을 연구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도 공룡 화석이나 발자국도 나왔고 이를 가지고 연구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3
0
0
수변전설비 근처에 사람이 머물면 빨리 피곤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특고압이고 전파가 강하게 발생하는 전기실이라면 몸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보통은 안전규정이 있으며, 안전 법규상 근로자가 있는 경우는 많이 해로울 정도의 전파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만약 해로운 곳인데 근무를 시키는 것이면 법규에 위반될 것입니다.2. 네, 점검시 뾰족한 것을 가져다 대면 방전이 일어나 전류가 몸에 흐를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하며, 항상 안전장비를 착용하고, 정전기 방지 신발이나 옷, 장갑등을 끼고 근무하시길 바랍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03
0
0
콜라 같은 탄산이 치아를 녹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콜라와 같은 탄산음료는 탄산(이산화탄소)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것이 약간 이온화되어 약한 산성을 띱니다. 그래서 이 약한 산성이 치아를 부식시킬 수 있죠.
학문 /
화학
22.11.03
0
0
일반 향초랑 소이캔들을 태울때 발생되는 해로운 물질이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보통 향초나 캔들을 태우게 되면 향이나게 되는데, 향마다 다 다르겠지만 이러한 향은 분자구조를 가진 물질이며 미세먼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기관지가 좋지 않거나 피부가 좋지 않으면 향초나 캔들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학문 /
화학
22.11.03
0
0
피아노줄의 비저항값은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피아노줄의 비저항은 검색해도 뜨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피아노에 전류를 흘려보내지도 않으며 오로지 건반을 침으로써 진동을 주어 소리를 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피아노줄의 비저항은 꼭 알아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 것이죠. 또한, 피아노 줄의 종류마다 비저항이 다르며 피아노 줄은 탄소, 황, 인, 망간, 규소 등을 섞어 합금으로 만들어 진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03
0
0
바이러스가 물에서는 어느정도 살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코로나 바이러스는 공기중에서 2시간 정도를 버틸 수 있다고하며, 물속에서는 금방 죽어버린다고 합니다. 보통의 수돗물은 순수한 물이아닌 염소나 다양한 물질이 함유되어있는데, 이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살 수 없는 환경이기 때문에 수돗물에 들어간 코로나 바이러스는 금방 죽어버리죠.
학문 /
생물·생명
22.11.03
0
0
잎이 없는 나무는 광합성은 어떻게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잎이 없으면 광합성을 하지 못합니다. 나무가 겨울을 나는 방법은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 하며, 당분 등을 합성해 세포로 보내고 세포 내 수분이 어는점을 낮추며 겨울을 보냅니다. 또한, 열매 맺기나, 꽃 피우기, 나뭇잎을 나게하는 등의 활동을 하지 않아 에너지를 최소화 합니다. 침엽수(소나무처럼 잎이 얇고 뾰족한 나무들)의 경우 온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광합성을 할 수 있으며, 침엽수의 수관(물의 통로)은 얇아 물이 잘 얼지 않으며 설령 얼더라도 조직 피해를 입지 않는다고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3
0
0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