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과학영상을 보다 우리는 블랙홀에 들어와 있는 것일 수 도 있다는 가설을 봤는데 신빙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의 내부는 아직 관측도 안되고 어떠한 실험적인 측정결과가 없어서 어떠한 상상이라도 펼칠 수 있고 어떠한 가설이라도 펼칠 수 있습니다. 모든 가능성이 열려있죠. 그래서 저러한 가설도 펼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상상하시는 블랙홀 내부의 모습도 질문자님의 상상이 맞을 가능성이 있으며 과학영상에서 소개한 가설과 거의 동일한 확률로 실제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블랙홀 내부를 알기 전 상태이니 어떠한 말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다만 그렇다고해서 물질이 블랙홀에 들어갈 경우 정상적으로 물질이 보존되는 것은 아닙니다. 블랙홀에 들어가게 되면 갈기갈기 찢겨 죽을 것입니다. 블랙홀에 빠지는 것은 마치 싱크대에 있는 배수관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단순히 몸이 온전하게 블랙홀로 떨어지는것이 아닌 좌우로도 짓눌리는 힘이 존재하여 몸에 압력이 느껴지며, 블랙홀과 가까운 신체 부위가 블랙홀과 멀리 있는 신체 부위보다 더 빨리 빨려 들어가기 때문에 몸이 위아래로 잡아 당겨지는 힘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마치 싱크대로 빨려 들어가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아래로 몸은 찢기고, 사방에서 압력이 가해져 몸을 짓누르는 느낌이 들것입니다.하지만 과학영상에서의 상상한 것 처럼 이미 들어온 물질이 우리 지구와 우리를 구성하여 생명체로 존재할 수도 있겠습니다. (어디까지나 블랙홀 내부를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2
0
0
우주의 끝은 있는 건가요. 도달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허블의 법칙이 맞다는 전제하에, 우주의 팽창속도는 허블의 법칙에 따라 팽창하므로 73km/s/Mpc로 멀어지고 있습니다. 허블의 법칙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팽창속도가 커진다는 법칙으로 1Mpc떨어진 거리에서 서로간 멀어지는 속도는 73km/s라는 의미입니다. 즉, 이에 따르면 우주의 끝은 우리로부터 빛보다 빠르게 후퇴하고 있습니다.우주가 팽창하고 있는 사실은 관측을 통해알 수 있습니다. 우리 우주에는 수없이 많은 별들이 존재하고 이 별들은 하늘 어디를 찍어도 보여야 할 것입니다. 즉, 밤 하늘이 별로 가득차있어 밝아야 하죠. 하지만 밤하늘에는 별이 빛나는 부분이 있으면, 어두운 부분도 있습니다. 이것은 우주가 팽창하여 도플러 효과로 인해 적색편이가 일어나 별의 빛이 가시광선이 아닌 적외선 영역으로 바뀌었기에 우리가 볼 수 없습니다.우주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지구 중심으로부터 관측 가능한 우주까지의 거리가 465억 광년(빛의 속도로 465억년 이동해야 갈 수 있는 거리)이라고 합니다. 직경 930억 광년이죠. 이는 관측 가능한 선 내에서 우주의 크기를 추정한 것으로 실제로는 더 클 수 있습니다. 우주는 굉장히 광활하며 아직 밝혀지지 못한 것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그래서 인류는 호기심을 가지고 우주를 이해하고 밝혀내려고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2
0
0
우주의 끝에 도달하지 못하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허블의 법칙이 맞다는 전제하에, 우주의 팽창속도는 허블의 법칙에 따라 팽창하므로 73km/s/Mpc로 멀어지고 있습니다. 허블의 법칙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팽창속도가 커진다는 법칙으로 1Mpc떨어진 거리에서 서로간 멀어지는 속도는 73km/s라는 의미입니다. 즉, 이에 따르면 우주의 끝은 우리로부터 빛보다 빠르게 후퇴하고 있습니다.-그리고 인류는 어떻게 우주 먼곳까지 직접 가지않아도 행성이나 그곳에있는걸 알수있는건가요??A.인류가 먼곳까지 가지 않아도 되는 이유는 허블 망원경, 제임스 웹과 같은 성능이 좋은 망원경이 있기 때문입니다. 망원경을 통해 관측하여 멀리 있는 행성이나 별을 알아낼 수 있는 것이죠.우주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지구 중심으로부터 관측 가능한 우주까지의 거리가 465억 광년(빛의 속도로 465억년 이동해야 갈 수 있는 거리)이라고 합니다. 직경 930억 광년이죠. 이는 관측 가능한 선 내에서 우주의 크기를 추정한 것으로 실제로는 더 클 수 있습니다. 우주는 굉장히 광활하며 아직 밝혀지지 못한 것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그래서 인류는 호기심을 가지고 우주를 이해하고 밝혀내려고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2
0
0
지진 후 여진이 일어나는 이유와 대비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지진이 발생하면 판과 판이 움직여 마찰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고, 판의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여진이 있을 수 있습니다.지진이 있은 뒤에 모두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게 되면 여진의 피해에 대해 대비가 가능합니다.
학문 /
화학
22.11.02
0
0
같은 태양아래 일교차가 생기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같은 태양아래 있지만, 태양이 비춰지는 각도나 태양 빛이 대기를 뚫고 지나온 정도가 다릅니다. 아침과 저녁의 경우 넓은 영역의 대기를 뚫고 우리에게 전달되는데, 여기서 진동수가 높은(파란 계열의 빛)빛은 산란이 일어나 우리에게 거의 도달을 못하여 햇빛의 정도가 약해집니다. 하지만 대낮의 경우 대기층을 뚫고 들어오는 두께가 아침과 저녁에 비해 얇기 때문에 강한 햇빛이 들어오게 되죠. 그래서 일교차가 생겨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1.02
0
0
머리카락은 염산에 녹지 않는다는 데 왜 그런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염산(HCl)에는 수소이온이 포함되어있고, 염산이 금속과 반응하며 금속의 전자를 수소이온이 빼앗아 수소가 되어 날아가고, 금속을 이온화 시킵니다. 그러면서 금속이 녹아드는 것이죠. 하지만 머리카락에는 금속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염산의 수소 이온이 빼앗을 전자가 없기 때문에 녹지 않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11.02
0
0
성경은 과학적인 책인가요. 여러분의 의견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성경은 하나님(God)의 말이 담긴 책입니다. 또한, 기독교에서 믿는 태초부터 현재까지의 역사서입니다.현재 성경이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아닙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2
0
0
선속도 개념과 rpm과의 관계식 설명좀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 네, 회전운동에서 선속도는 회전 중심과 물체 사이를 이은 선에 수직한 방향, 즉 운동 방향으로의 속도를 의미합니다.2. rpm은 분당 회전수로 진동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선속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총 이동거리를 걸린시간으로 나누면 되므로, 질문자님께서 생각하신대로 2 Pi r * rpm을 해주시면됩니다.
학문 /
물리
22.11.02
0
0
인간의 진화는 우리가 생각하는 외계인 형태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진화론이 맞고 계속해서 컴퓨터와 휴대폰 등을 사용한다면 그러한 형태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봅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조금 더 다른 형태에 전자기기가 나온다면 다른 방향으로도 흘러갈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2
0
0
태양광은 설치대비 효율은 어떠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 에너지를 얻어 전기로 전환하는것은 태양광, 태양열 발전기의 전력은 평균적인 값이라 제품에 따라 다르겠지만 햇빛이 잘 비출 때 대략 시간당 3kW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월 5만원 정도의 전기를 절약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화학
22.11.02
0
0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