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은하 사진은 만들어낸 사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은하수란 태양계가 속해있는 은하의 모습이 밤하늘에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은하란 별과 행성들의 집합체를 의미합니다. 은하 내에는 태양계와 같이 별과 행성으로 구성된 집단이 여럿 존재하며, 은하의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면서 은하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우리 태양계도 우리은하에 속해있으며 우리 은하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태양계는 은하의 중심에 있는 것이 아닌 은하의 중심에서 27000광년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특정 시기의 밤에 우리 은하의 모습을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것입니다.마치 우리가 운동장에 많은 사람들과 함께 있는 상황에서 옆을 보면 많은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은하를 찍는 것도 이와 같은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2
0
0
질소를 흡입할 경우 목소리가 변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소가 아닌 헬륨을 마시게 되면 목소리가 변합니다.일단 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습니다. 가볍죠. 그래서 헬륨을 주입한 풍선은 둥둥 잘 뜨는것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헬륨가스를 먹게되면 폐에 헬륨이 차게되는데, 헬륨은 체내로 흡수되지않고 입 밖으로 다시 나옵니다. 그리고 우리가 말을 하거나 소리를 내는것은 성대의 진동에 의해나는것입니다. 그런데 평소 공기를 마시고 공기가 입 밖으로 나오면서 성대를 진동시켜 목소리를 내는데, 헬륨을 마시게 되면 헬륨이 우리의 성대를 떨리게합니다. 헬륨은 공기보다 가벼워 성대를 지나는 속력도 공기에 비해 훨씬 빠릅니다. 그래서 헬륨을 마셨을때 성대가 더 빨리 진동하게 되는것이고 빨라진 진동수는 높은 소리를 나게 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1.02
0
0
소행성은 어떻게 생겨난거에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행성은 보통 크기가 작고 중력이 작습니다. 소행성은 우주의 먼지와 가스들이 뭉쳐 중력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행성이 외부 소행성이나 다른 천체와 충돌 과정을 통해 모양이 변형될 수도 있습니다.또한 소행성은 행성의 파편으로 만들어지거나 두 천체의 충돌 과정에서 형성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2
0
0
지금 계절에 밤하늘에 볼수있는 별자리는 모가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양자리, 황소자리, 물고기자리, 페가수스자리, 기린자리, 카시오페아자리 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대표적인 별자리로 황도 12궁이 있습니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면서 계절 별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별자리입니다.양자리(10~11), 황소자리(11~12), 쌍둥이자리(12~1), 게자리(1~2), 사자자리(2~3), 처녀자리(3~4), 천칭자리(4~5), 전갈자리(5~6), 사수자리(6~7), 염소자리(7~8), 물병자리(8~9), 물고기자리(9~10)가 있습니다.또한, 우리가 잘 아는 작은곰자리(북두 칠성) (봄과 여름 초저녁에), 카시오페아자리(W) (가을과 겨울 초저녁에), 오리온 자리(겨울철 별자리)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여러 별자리가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2
0
0
직류 전기가 교류보다 안전한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직류와 교류 중 어느 것이 더 안전한 지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어디서 나온 이야기인지 잘은 모르겠지만 제 생각에는 교류로 인해 전자기파를 발생될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며 이야기가 나온듯 합니다. 교류와 같이 변화하는 자기장, 전기장은 전자기파(빛)를 생성해 냅니다. 그래서 직류보다 조금 더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죠.
학문 /
전기·전자
22.11.01
0
0
미확인 비행물체 UFO와 외계인은 실존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1
0
0
기체로 된 천체는 어떻게 자기장이 형성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기장(자석)을 갖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전류, 스핀이 있는데 이에 대한 개념 설명을 먼저 드리겠습니다.전류란 전하량(전기적 +, - 극)을 가진 물질이 움직이게 되면 이를 전류라고 합니다. 즉, 시간당 이동한 전하량입니다. 전류가 흐르게 되면 흐르는 전류 주변으로 자기장이 생깁니다. 이러한 현상을 패러데이라는 과학자가 발견하였습니다.스핀이란 자연을 이루는 기본적인 입자, 전자, 광자(빛), 양성자(쿼크 3개), 중성자(쿼크 3개) 등이 가지고 있는 물리량으로 자기장에 반응(상호작용)하며 스핀 간의 상호작용도 합니다. 또한, 스핀이 자기장을 만들기도 하죠. 스핀은 질량, 전하량 처럼 물질이 가지고 있는 물리량입니다.즉, 기체로된 천체나 고체, 액체로 된 천체에도 분자나 원자 전자 양성자 등이 있기 때문에 자기장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1
0
0
전분물에 대한 영상을 봤는데 전분물에 총을 쏴도 뚫리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강한 충격에 고체가 되지만, 총을 견딜만큼 강한 고체가 되진 못합니다. 저도 예전에 궁금해서 유튜브에 찾아봤던 경험이 있습니다.(참고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Gg7sLAHiAk4)그러한 액체는 비뉴턴 유체로 분류됩니다. 보통의 유체와 달리 외부에서 힘(충격)이 가해지면 고체의 성질을 띠거나 더 액체처럼(더 잘 흐르는=점성이 적어지는) 되는 물질을 의미합니다.예시로, 질문자님께서 보신 영상의 액체가 있으며 그러한 액체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고체가 되버립니다. 또한 케첩의 경우 외부 충격이나 진동을 주면 더욱 잘 흐르게 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1.01
0
0
원전 냉각수에 포함된 삼중수소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는 원자번호 1번 원소로 전자(-) 1개, 중성자 1개, 양상자(+) 1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이와 동위원소인 중수소는 전자(-) 1개, 중성자 2개, 양상자(+) 1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즉, 수소보다 중성자 한개를 더 가지고 있죠.삼중수소는 불안정한 원소입니다.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서 붕괴됩니다. 이 때 에너지가 방출되게되는데, 약한 에너지이며 우리의 몸이나 피부를 투과하지 못하는 에너지입니다. 하지만 삼중수소가 체내에 흡수되어 쌓이면 좋지않은 영향을 끼칠 수는 있다고 합니다. 다소 낮은 확률이지만 다수의 삼중수소의 붕괴과정을 거치며 내부 피폭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조직이나 DNA구조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하지만 방사선량은 매우낮아 Xray보다 조금 센 정도라는 보고도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01
0
0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가얼마나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는 달의 공전 주기를 알고 있으며, 지구의 질량을 알고 있습니다. 물리학에서는 궤도 운동하는 물체의 공전 주기는 중심에 위치한 물체의 질량과 거리와 관계된 식으로 주어집니다.(이부분에 대해 질문 사항이 있으시면 답글 남겨주세요) 즉, 달까지의 거리와 공전 중심에 위치한 지구의 질량, 그리고 달의 공전 주기간의 관계식을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모르는 양은 달까지의 거리이므로 이를 미지수로 두고 나머지 알고있는 값들을 대입함으로써 구할 수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1
0
0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