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주에서 보내오는 사진들이 어떻게 가능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위성에 전파를 송수신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입니다. 우주에 날려보낸 탐사선에서도 마찬가지로 우리 지구로 전파를 송신하여 이를 거대한 안테나 등을 통해 수신 받는 것이죠. 물론 우주에 있는 인공위성을 거쳐서 전달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9
0
0
성경을 보면 예수님께서 물위를 걸으셨다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성경에 나오는 신(God)은 전지전능하여 모든것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그러한것도 가능하죠.과학적으로는 어려운일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8
0
0
구리가 항균 효과가 있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항균 필름의 원리는 구리성분을 함유하여 만들어 바이러스, 균을 제거하는 원리입니다. 바이러스, 균이 구리이온을 영양소로 착각하고 흡수하는데, 실제 영양소가 아닌 구리가 바이러스와 균의 세포막을 뚫어 죽게 만드는 원리이죠. 항균 구리 합금에서 바이러스는 30분 이내 사멸했다는 연구도 존재합니다.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결과는 구리 합금이나 구리로 만든 물체에서의 결과이므로 항균필름 내에 구리의 성분이 얼마나 함유돼있는지에 따라 수명이 각기 다릅니다. 구리 자체의 항균 효과는 6개월 정도 지속된다고 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28
0
0
활화산인 백두산이 다시 폭발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산, 지진을 연구하는 전문가의 연구 결과와 역사에 따르면 백두산은 1925년에 마지막으로 분화했으며 대략 100년에 한번 씩(1세기에 한번) 분화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앞으로 언제 터질지 모르기 때문에 화산폭발 전조증상을 잘 확인하여 대비해야합니다. 화산 폭발의 전조 증상은 지진이 발생하거나, 화산의 수온 변화, 화산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성분 변화 등이 있습니다. 이를 분석해 화산 폭발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8
0
0
지구에서 제일 가까운 블랙홀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은 블랙홀 자체로 빛을 흡수하여 보이지 않지만 블랙홀 뒷편에서 나오는 빛을 휘게 만들어 특정한 모양을 만듭니다. 또한 주변에 중력을 행사하여 중력렌즈 효과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그리고 블랙홀이 빛을 휘게 하여 특정한 모양을 갖음을 이론적으로 풀어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관측했는데 그게 블랙홀인지 어떻게 알 수 있냐 라는 질문을 할 수 있는데, 원리는 간단합니다. 주변에 블랙홀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천체들의 운동을 풀어내면 블랙홀의 질량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천체들이 공전 궤도 운동을 하기 위해서 구심력을 만드는 질량체가 존재해야하는데 중심에 별다른 별이 관측이 안된다면 블랙홀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8
0
0
썰물과 밀물의 원리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8
0
0
양자역학의 다세계 우주 해석의 연구는 어디까지 진행 됐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자 얽힘 현상이 노벨상을 받았죠. 이외에도 양자역학과 관련된 많은 현상들이 있습니다.예시로는 제비 뽑기가 있습니다. 1이적인 종이와 2가 적힌 종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질문자님과 저와 만나서 제비뽑기를 합니다. 질문자님이 하나 뽑고, 다른 하나는 제가 뽑습니다. 그리고 저와 질문자님은 다시 집으로 돌아갑니다. 그 상황에서 저와 질문자님께서는 결과를 확인하지 않았기 때문에 1인지 2인지 모릅니다. 단순히 확률만 존재할 뿐이죠. 이러한 상황을 양자역학에서는 1과 2가 중첩된 상태로 표현합니다. 그런데, 만약 질문자님께서 너무 궁금해 종이를 펼쳐보게 되었는데 1이 나왔습니다. 그러면 상태는 더 이상 중첩되지 않고 1로 결정되었죠. 그 순간 저의 결과도 2로 결정된 것이죠. 먼거리에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문자님께서 하신 행동하나로 저의 상태가 결정되버린 것이죠. 즉, 저와 질문자님은 제비뽑기로인해 얽힌 상태가 된 것입니다. 이러한 것을 양자 얽힘이라 합니다.빅뱅이론에 따르면 우리 우주가 한점에서 시작되었고 모든 물질은 한 곳에서 나오게 되었습니다. 그러면, 초기에 있던 물리량 중 보존되는 물리량이 있을 텐데, 이러한 것들이 흩어지면 전부 얽힌 상태가 된 것이죠. 그렇지만 이러한 얽힘을 이용하기에는 세상에 물질은 너무 많고 복잡하여 다룰 수도 없으며, 해석도 힘든 현실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8
0
0
우주가 팽창을 계속해서 먼 후대에는 별을 볼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팽창하면서 우리 지구와 별이 멀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후퇴로 인해 도플러효과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면 도플러효과의 적색편이로인해 별빛의 가시광선 빛이 적외선영역으로 넘어가며 볼 수 없는 것이죠. 먼 미래에는 우주가 계속 팽창할지 아니면 다시 수축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결과에 따르면 물질이 만드는 중력에의한 에너지와 팽창하는 에너지가 거의 동등하여 등속 팽창할것이라는 측정결과가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8
0
0
바다의 소금물은 어떻게 생성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역적으로는 비슷하나 전 세계적으로 조금씩 다릅니다. 바다의 염분은 바다 속 암석이나 광물로부터 발생합니다. 바다 속 암석, 광물에 함유된 나트륨이 바닷물에 용해되며 바다의 염분 농도가 올라가는 것이죠. 때문에 어느 바다에서나 염분 농도가 같지 않은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8
0
0
양자역학에서 말하는 평행이론이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평행우주, 다중우주와 같은 개념은 양자역학을 고려하여 생겨난 개념입니다. 평행우주, 다중우주는 아직 증거가 없으며 앞으로도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그래서 하나의 가설입니다. 먼저, 모든 물질은 입자성과 파동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를 물질의 이중성이라고 하죠. 그리고 원자, 전자 단위의 물질은 양자역학을 따릅니다. 양자역학에서는 물질의 상태가 결정되어있는 것이 아닌 확률적으로 존재한다고 봅니다. 잘 와닿지 않으실거 같아 예시를 들자면, 포장된 선물을 받았는데, 그안에는 어떠한 것이 들어있을지 모릅니다. 연필, 지우개, 장난감, 스마트폰 등 여러가지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가 결정되지 않은 중첩된 상태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상자를 뜯어보았는데 스마트폰이 들어있었다면 이러한 행위를 관측이라고 합니다. 즉, 관측하기전에는 중첩된 상태가 되는 것이죠. 우리의 우주는 빅뱅 이론에 의하면 한점에서 폭발하여 생겨났습니다. 또한, 우리는 우리의 우주 안에서만 살고 있으며, 다른 우주를 관측하거나 할 수 없습니다. 다중우주에 따르면, 우리는 여러 중첩상태중 하나일 뿐입니다. 다른 상태(다른 우주)는 우리와 다른 모습을 하고 있거나 다른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이죠. 물론, 이러한 것을 보이기는 어렵습니다. 양자역학는 여러 중첩 상태 중, 상태끼리는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0.28
0
0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