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동물들의 꼬리는 무슨역할을 하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들의 꼬리는 몸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꼬리부분에 무게중심,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동물이 달리다 방향을 틀때 꼬리를 이용하여 조금 더 쉽게 방향 전환이 가능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6
0
0
날씨가 우중충한 날, 하늘이 검은 이유는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유는 먹구름에 있습니다.먹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방울의 크기가 큽니다(비내리기 직전,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 그래서 빛이 먹구름 내에 물방울에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두운 먹구름이 되는 것이죠. 그리고 햇빛이 먹구름에 흡수되기 때문에 우리가 있는 지면까지 잘 닿지 못하여 우중충하고 어두운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겨울철 혹은 낮은 기온에서 배터리의 방전이 빠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건전지는 화학 전지로 내부에 전해액 성분이 존재합니다. 이는 전해질 역할로 +, -극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전압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건전지로 전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전해액은 전류를 만들어내면서 점점 에너지를 잃게되며 방전이 됩니다. 하지만 추운날의 경우 전해액이 굳게 되는데, 전해액이 굳어짐으로써 원래 낼 수 있는 효율을 다 내지 못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일부 굳은 전해액은 극성을 띠어도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죠. 그래서 추운날에는 배터리의 방전이 빠른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0.26
0
0
항성을 행성이 돌고 행성을 위성잖아요. 위성 주변을 도는 것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위성 주변을 도는 것은 우주쓰레기나 우주 가스, 우주에 있는 작은 운석 알맹이들이 돌 수 있습니다. 위성 주변을 도는 물체는 운석만한 크기이므로 따로 이름이 있는것은 아닙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밤하늘에 오로라는 왜 생기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하전입자)이 대기의 기체와 부딪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 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지구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지구 자기장에의해 나선운동을 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고합니다.빛이 나는 원리는 기체 분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외부 우주선과의 충돌로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려고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손실 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는것이죠. 기체의 종류와 에너지의 차이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므로, 빛의 색도 달라지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냉장고에 얼려 놓았던 생수병을 꺼내 놓은면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는데 이런 현상은 뭐라고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중에는 수증기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수증기는 물이 증발하여 물이 기체상태로 존재하는것이죠. 그런데 찬물을 컵에 떠놓게 되면 컵은 차가운 상태고, 컵 주변에 공기에 접촉하는 부분에서 열교환이 일어납니다. 컵은 차갑기 때문에 컵이 주변 공기로부터 열을 훔쳐오게되죠. 그러면 공기중에 있던 수증기가 컵과 접촉하면서 열을 빼앗깁니다. 수증기가 열을 뺏기면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더 이상 기체로 존재하지않고 물이되죠. 그래서 컵주변에서 수증기들이 전부 물로 변하여 물방울이 송골송골 맺히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많은 사람들 얼굴은 왜 각각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DNA가 다르기 때문이며, 구성된 분자의 배열이 각기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몸을 구성하는 분자의 배열(세포의 배열이) 어느 정도비슷하나 완벽하게는 똑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6
0
0
운동 에너지 등 이런 에너지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힘을 정의하여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힘을 물체를 움직이거나 변형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물체가 정지해있다가 힘을 받아 움직인 다는 것은 속력이 생긴것으로 가속을 받은것입니다. 그리고 가속을 가할 시 질량이 큰 물체와 질량이 작은 물체에 대해 어느것이 더 어렵냐를 따질 때 힘을 쓰는 것이죠. 그래서 힘의 정의는 질량과 가속도를 곱한 값입니다.에너지는 힘이 한 일이나 할 수 있는 일입니다. 물리학에서 말하는 일은 힘을 주어 물체를 이동시켰을 때, 힘의 방향으로 물체가 이동할 때 일을했다고 정의합니다. 즉, 힘과 힘의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곱하는 것을 정의합니다. 보이지 않는 것을 정의하여 수치화해 표현함으로써 물체의 운동을 예측할 수 있고 이러한 것들이 쌓여 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10.26
0
0
하늘을 봤을 때 대한민국 영토에 있는 사람들은 다 똑같은 별을 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별을 굉장히 멀리 있기 때문에 다 똑같은 별을 봅니다. 하지만, 지평선 부근에서의 별을 관측할 때에는 미묘하게 다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엄밀하게 위도 경도가 다르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진자운동에서 질량에 관계없이 주기가 일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미 답을 알고 계실 수 있습니다. 마찰, 공기저항이 없는 상황에서 같은 높이의 무거운 물체와 가벼운 물체를 동시에 놓을 때 어느것이 지면에 먼저 떨어지는지를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 상황에서 작용하는 중력은 다르지만, 중력가속도는 동일하죠. 즉, 물체가 특정 높이를 떨어지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중력가속도이죠. 또한, 높이가 높아질수록 오래걸립니다.따라서 마찰이 없는 상황에서 진자운동은 질량과 관계없으며 중력가속도와 관계있습니다. 중력가속도가 클수록 주기가 짧고, 줄의 길이가 짧을수록 주기가 짧죠.
학문 /
물리
22.10.25
0
0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