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튀김같은 기름으로 음식을 할때 물이 섞이면 물방울같은것이 튀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식용유의 끓는점은 물보다 2배 이상 높습니다. 이 식용유가 뜨거워지면 물의 끓는점을 넘을 수 있는 온도가 되는데, 이 때 기름에 물을 넣게 되면 물은 기름보다 밀도가 커 가라앉게 되고 가라앉은 물이 급격하게 뜨거워져 팽창하면서 수증기가 되버립니다. 그래서 다시 공기중으로 나오려고 하기 때문에 수증기가 빠르게 나오며 기름이 튀는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0.21
0
0
종이자석의 원리가 궁금해요.(플라스틱포함)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 종이자석은 유연성이 좋은 물질에 자성을 갖는 입자나 분자를 섞어 하나의 자석을 만든것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딱딱한 자석을 잘게 부숴 넓게 붙이면 종이 자석처럼 유연한 자석이 되죠.2. 자연계에는 자화가 잘되는 물질과 잘 되지않는 물질들이 있으며 자화가 굉장히 잘된 물질이 자석의 세기가 센물질입니다. 대표적인것이 네오디뮴자석이 있죠. 가장 강한 자석입니다. 그리고 자석을 인위적으로 만들수 있는데, 쇠막대에 코일을 감아 전자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전류의 세기에 따라 자석의 강도가 바뀌죠.
학문 /
화학공학
22.10.21
0
0
수맥찾을때 봉의 원리가 무엇이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맥의 봉은 과학적인 원리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단순히 봉을 크기가 있는 구멍에 꽂아 이동하는 움직임과 진동으로 봉이 움직이는 것이죠. 봉이 모아지는 것 또한 하나의 움직임 중 하나로 수맥에 의한 과학적인 원리는 없습니다.
학문 /
물리
22.10.21
0
0
아침에도 달이 보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은 지구를 공전하고 있고 지구는 자체적으로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대낮이나 아침에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간혹 달이 태양을 가리는 일식이나 부분일식도 볼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1
0
0
종이컵 내부는 어떤 소재로 코팅이 되어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회용 종이컵 내부는 폴리에틸렌(PE)로 코팅돼있으며, 플라스틱 성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폴리에틸렌 코팅은 105도 이상의 온도에서 녹으므로 뜨거운물이나 찬물을 담아도 환경호르몬이 나오질 않습니다.이러한 폴리에틸렌은 우유팩, 전선피복, 코팅,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21
0
0
'동결 건조'가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동결건조는 열에 의해 변형이 되거나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물질을 보존하며 건조시키는 방법입니다. 물질을 얼린 뒤 얼음이 승화되면서 수증기가 빠져나가며 건조되는 방식입니다.주로 식품을 동결건조시키며 동결건조된 식품의 내부는 수분이 빠져있기 때문에 운반시 무게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동결건조시 수분이 있던 공간에서 수분이 빠져도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형태를 보존하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리고 후에 이 공간에 수분이 다시 차기 때문에 식품을 거의 동결전의 상태와 유사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도 있죠. 하지만, 동결건조는 비용과 에너지 소모(전력 소모)가 크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학문 /
화학
22.10.21
0
0
자석에서 N 극과 S 극은 어떻게 결정이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석의 자기력(자기장)을 만드는 것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첫번째로 전자, 원자핵의 스핀에 의해 자기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두번째로 전류의 흐름에 의해 자기력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보통 자석(완구, 교구, 막대자석, 말굽자석 등)의 경우는 스핀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입니다. 물질 중에는 자화(스핀이 정렬하여 N극 S극을 띠는 것)가 영구적으로 돼있는 물질이 존재합니다. 이를 자석이라고 하죠. 그리고 자석이 될 수 있는 물질에 따라 자기력의 강도가 다르죠. 네이디뮴 자석의 경우 가장 강한 자기력을 갖는 자석입니다. 이 자석의 N극 S극이 붙어있으면 사람의 손으로 떼어내기 힘들죠. 그리고 다칠 위험도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1
0
0
건전지의 +, - 는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건전지 내부에는 화학적 전해액이 존재합니다. 이 전해액은 +극을 띠는 분자, 원자와 -극을 띠는 분자, 원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극의 전해액은 윗부분(볼록 나온 곳)에 몰려있고 -극의 전해액은 아랫부분에 몰려있습니다. 그래서 전극을 만들어 건전지 역할을 하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0.21
0
0
레코드판은 어떻게 음악소리를 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레코드판의 원리는 레코드 판의 핀이 레코드의 울퉁불퉁한 곳을 지나면서 진동하게 되는데, 이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원리입니다. 레코드판을 자세히 보시면 홈이 나있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레코드판이 돌아가면서 레코드판의 핀이 이 홈을 치면서 진동하게 됩니다. 이 진동을 전기신호로 전달하여 소리로 변환해 우리에게 음악을 들을 수 있는것이죠. 이 레코드판의 원리를 이용한 예시로 고속도로에서 차가 지나갈 때 노랫소리가 나는 것을 들어본적이 있으실텐데 레코드판과 같은 원리로 제작한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1
0
0
‘타르’라는 성분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타르(TAR)란 total aerosol residue의 약자로 총 에어로졸 잔여물을 뜻합니다.여기서 에어로졸이란 공기중에 떠있는 고체, 액체 상태의 작은 입자를 의미합니다.즉, 담배연기는 작은 입자들과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에어로졸의 잔여물을 타르라고 합니다. 연기중 수분과 니코틴을 뺀 고체, 액체의 잔여물이죠.담배의 타르는 석유에서 나온 타르와 다릅니다. 타르라는 이름이 같아 혼동되지만 성분이 다른 타르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타르의 뜻은 동일합니다.석유의 타르는 석유를 가공하고 남은 잔존물을 의미합니다. 역시나 담배의 성분과는 다른 성분입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외관상 검고 진득한 고체, 액체의 잔여물입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학문 /
화학
22.10.21
0
0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