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X-RAY촬영시 인체속에잇는뼈를 촬영어떤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xray는 높은 진동수를 가진 빛으로 가시광선을 넘어 자외선보다도 센 에너지를 가진 빛입니다.Xray로 몸 속 뼈를 찍을 수 있는 이유는 Xray가 우리의 살은 잘 투과하지만 뼈는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뼈사진을 찍을 수 있는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0
0
0
쉬지않고 새가 우는건 무슨 이유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들이 우는 이유는 구애활동, 소통, 영역을 알리고자 하는 등의 이유로 울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0
0
0
가축분퇴비 보면 톱밥원료가 들어가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톱밥을 이용하는 이유는 발효과정에서 효모, 곰팡이, 세균 등에 양질의 영양분을 제공 할 수 있고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분을 조절하는 역할도 해줍니다. 톱밥을 대체할만한 것으로 왕겨도 존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0
0
0
엘리베이터가 처음 만들어진 시기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의 엘리베이터는 1852년 미국의 엘리샤 오티스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화물을 옮기는데 사용됐습니다. 이후 1856년 뉴욕에 최초로 사람을 태우는 엘리베이터를 만들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0
0
0
고지대에 가서 밥을 지으면 밥이 덜익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이나 고지대에서는 공기의 기압(압력)이 떨어집니다. 압력이 감소하면 액체의 끓는점이 낮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밥이 설익게 되는 것이죠.물이나 액체가 끓어 기체가 되는 것은 분자간 인력(전기력)을 끊고 자유로워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액체를 누르는 공기 압력이 강해지면 자유로워지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압력이 약해지면 더 쉽게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압이 낮아지면 기체가 되는데 비교적 쉬워져 끓는점이 낮아지는 것이죠.그리고 산에서는 밥을 지을 때 돌을 얹혀놔 압력을 강하게 만들어줘 밥을 잘 익게 만들 수 있습니다.다른 국 음식도 마찬가지구요! 구이나 조림 같은 것은 지상과 동일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9
0
0
삼중 수소는 어떤 화학적 구조를 가지며 생명체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는 원자번호 1번 원소로 전자(-) 1개, 중성자 1개, 양상자(+) 1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이와 동위원소인 중수소는 전자(-) 1개, 중성자 2개, 양상자(+) 1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즉, 수소보다 중성자 한개를 더 가지고 있죠.삼중수소는 불안정한 원소입니다.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서 붕괴됩니다. 이 때 에너지가 방출되게되는데, 약한 에너지이며 우리의 몸이나 피부를 투과하지 못하는 에너지입니다. 하지만 삼중수소가 체내에 흡수되어 쌓이면 좋지않은 영향을 끼칠 수는 있다고 합니다. 다소 낮은 확률이지만 다수의 삼중수소의 붕괴과정을 거치며 내부 피폭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조직이나 DNA구조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하지만 방사선량은 매우낮아 Xray보다 조금 센 정도라는 보고도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0.19
0
0
플라스틱도 화학적 구조에 따라서 용도와 환경 호르몬 유무가 다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화학적 구조가 다른 플라스틱을 만들어 환경 호르몬이 나오지 않게도 만들 수 있으며, 조건에 따라 환경 호르몬이 나오는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습니다.식물에서 얻어지는 원료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으며 연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석유를 기반으로 만든 플라스틱 중(구조나 혼합되는 물질이 다름) 고온에서도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않게끔 만들 수 있죠.우리가 배달시켜 먹는 음식에 사용하는 플라스틱은 고온에서 버틸 수 있는 플라스틱입니다.
학문 /
화학
22.10.19
0
0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고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지구 환경을 생각해 많은 학자와 연구원분들이 플라스틱 분해기술을 개발하였고 현재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화학적분해 방법, 미생물(분해효소)을 이용한 방법등을 개발했습니다. 이러한 분해는 플라스틱이 분해되는 기간인 몇백년의 시간을 수일, 수개월, 수년단위로 줄였죠.
학문 /
화학공학
22.10.19
0
0
멀리있는 불빛은 보기에 아른아른 거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중요하지만 보이지 않는 공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공기는 기체 분자들이 가득 모여있습니다. 빛이 이 공기를 지나 우리 눈에 들어오기까지, 빛과 공기의 상호작용, 산란, 굴절 등이 일어나게됩니다. 그래서 완벽히 직진하여 우리눈에 들어오지 못하죠. 그래서 아지랑이가 생기거나 아른아른하게보이며, 반짝거리기도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벚나무는 왜 잎이 나기전에 꽃부터 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벚나무의 경우 꽃을 피우기위한 적정온도가 잎이 자라나게하는 적정온도보다 낮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수분을 위해 꽃가루를 날리는데, 잎이 있으면 잘 날아가지 않기 때문에 꽃이 먼저핀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9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