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해일은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수있을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해일은 거대한 파도가 해안가로 밀려오는 현상으로 강한 폭풍이나 태풍에 의해 발생이 가능하며, 지진이나 화산활동등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강한 바람이나 진동으로 인해 거대한 파도가 형성돼 해안가로 밀려오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맹장이 퇴화하지 않고 남아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불필요한 부분은 퇴화되거나 사라져 남아있지 않게끔 진화하는데요. 맹장은 쓸모없다고 많이 알려져 있지만, 사실 역할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맹장의 역할에 대해 더 연구를 하시는 분들도 계시구요. 알려진 맹장의 역할은 소장에서 소화가 끝나 남은 음식물에서 수분과 염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또한 면역체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도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9
0
0
북극과 남극중에 어디가 더 추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남극이 북극보다 더 춥습니다. 남극의 경우 북극보다 해발고도가 높기 때문에 더욱 추운 이유입니다. 북극은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고, 남극은 대륙위에 얼음이 뒤덮여 있습니다. 그래서 남극 대륙이라고 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입자가 진동하는 이유와 그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온도의 정의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온도란 입자, 분자들의 평균 진동, 운동에너지입니다.온도가 높다는 것은 입자, 분자들의 움직임(진동이나 속력을 가진 병진운동)이 활발하다는 의미입니다.입자가 진동을 하기위해서는 단일 입자가 아닌 두 개이상의 입자가 결합되어있어야합니다. 그래야만 두 입자사이의 결합력(인력)으로 진동을 할 수 있죠.(하지만 혼자 있을 때도 외부 힘이 작용해 평형을 이루고 있다면 진동이 가능합니다. 그릇 속 구슬을 놔두는 것처럼 말이죠.)만약 두입자가 결합력을 가지고 서로 쌍을 이루어 다니는데, 외부의 충돌이나 힘의 전달로 인해 진동이 빨라지게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에너지를 전달받아 진동 운동이 빨라지면 진동에너지가 증가한 것이죠. 그리고 외부의 힘이나 충돌은 열 에너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열 에너지를 받아 온도가 증가했다고 말할 수 있죠.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학문 /
물리
22.10.19
0
0
껌은 왜 은박종이로 포장을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은박지로 포장한 이유는 내부의 열을 쉽게 빼내려함입니다.껌을 감쌈 은박지는 내부의 종이 외부의 알루미늄 막으로 얇게 되어있습니다. 이렇게 은박지로 쌓여있는 껌은 외부로 부터 오는 열을 차단받고 내부의 열은 빠져나가 녹지 않고 제품의 상태를 유지하죠.은박지에서 종이의 역할은 외부 열이 알루미늄막을 통해 전달됨을 방지하고, 내부의 열을 은박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해줍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9
0
0
소나기가 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나기가 오는 이유는 두꺼운구름이 빠르게 형성돼 좁은 지역에 일시적으로 급격히 비가 내리기 때문입니다.찬 기단이나 공기가 따뜻한 기단이나 공기를 파고들어 갑작스런 상승기류가 형성돼 지면과수직으로 두꺼운 적란운 구름이 형성되어 소나기를 내리게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지구로부터 멀어지면 시간이 천천히 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와 멀어지게 되면 중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상대성 이론에 따라 시간이 더 빠르게 흘러갑니다.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중력이 큰 부분에서는 가속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와 등가이기 때문에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중력이 약하면 가속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으로 시간이 빠르게 흘러갑니다.혹시나 더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시다면 댓글 남겨주실 바랍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잠수함의 잠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잠수함의 원리는 물을 채우고 빼는 과정을 통해 가라앉았다 수면위로 올라왔다 합니다. 잠수함 내에 부력을 조절하는 공간이 있는데, 이부분이 공기로 차있으면 뜨고, 물을 채우면 가라앉게됩니다. 비교적 간단한 원리를 이용해 부력을 조절하죠.
학문 /
전기·전자
22.10.19
0
0
회성에는 왜 유인 우주선을 보내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장 큰 이유는 연료와 발사대와 같은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거리가 멀어 왕복시간이 길기 때문입니다.우주선을 발사해 화성에 착륙까지는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화성에서 다시 우주로 나오기 위해서는 발사대나 강한 추진력을 발휘하는 엔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아직 이러한 기술이 없어 화성에 보내기에는 무리가 있죠. 또한 추진력을 얻을 시 연료가 굉장히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도 극복해야 유인탐사가 가능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레이져 온도계는 어떤 원리로 온도가 측정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레이저 온도계, 적외선 온도계라고도 불립니다.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는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 온도가 빛으로 방출이 됩니다. 온도에 따라 특정한 파장의 빛으로 방출이 되죠. 그래서 레이저 온도계를 통해 물체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온도를 계산해 내는 것입니다. 레이저 온도계에서 나오는 빛은 물체를 잘 조준하기 위한 빛으로 온도 측정을 위한 빛이 아닌 온도 측정에 도움을 주는 빛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